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더마 스킨케어 브랜드 ‘스위스킨’, 비건 지향 ‘수이스킨’으로 새롭게 론칭 2020-12-04 11:00:03
‘쉽게’, ‘수월하게’라는 의미의 순우리말 ‘수이’를 담은 수이스킨은 매일의 일상에서 걱정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건강한 클린뷰티 브랜드이다. 수이스킨은 동물성 원료 사용을 지양하는 비건 화장품을 만드는 데 힘쓰고 있다. 자작나무 수액과 청정 발아 새싹수, 아보밥 오일 등의 천연 유래 클린 파워 표뮬라...
세종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학교 누리집 우리말 이름 짓기 공모전’ 개최 2020-11-30 12:15:04
외래어/외국어를 순우리말로 바꿔 주세요!’로, ‘홈페이지’를 ‘누리집’으로 순화한 것과 같이 세종사이버대학교 누리집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외래어나 외국어를 아름답고 창의적인 한글로 바꾸는 것이다. 접수 기간은 2020년 12월 1일부터 20일까지이며, 국적과 거주지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퀴즈 위의 아이돌' 뼈 때린 팩폭 최유정+초성퀴즈 퀸 김도연 2020-11-28 19:31:03
것. 장규리는 ‘정말, 엄청, 진짜 중 순우리말’에 대한 퀴즈가 나오자 “한자어를 방송에서 쓸 때 우리말로 순화해서 표기하지 않아요?”라며 자막 표기에 대한 전문 지식을 뽐내 시청자들을 감탄시켰다. 또한 ‘건빵에 별사탕을 넣는 이유’를 묻는 퀴즈에서 “건빵 자체가 뻑뻑하기 때문에 별사탕이 침샘을 자극해 수분...
'안동 유교랜드' 아시나요…5000억 들인 관광단지의 실상 [세금 먹는 하마] 2020-10-31 08:30:24
꽃을 피운다'는 순우리말)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안동시는 다시 수천억원이 투입되는 3대(유교·가야·신라) 문화권 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미 거듭 적자를 내고 있는 관광단지 사업도 마무리 못한 가운데 또 다른 관광단지를 추가 조성한다는 얘기다. 이름도 생소한 유교랜드 직접 가봤습니다...
배성우·배성재, 서로 배척하는 형제? 집에서 나눈 이야기가… 2020-10-30 09:03:18
한글을 좋아하신다. 순우리말로는 형제, 자매 모두 언니라고 부를 수 있다고 하더라. 그래도 밖에서 그렇게 부르면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느냐. 실제로 언니라고 한 지는 오래됐다"고 전하기도 했다. 한편 권상우, 배성우 주연의 SBS '날아라 개천용'은 억울한 누명을 쓴 사법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세상에 대변하는...
빛글림, SPC 해피스크린에 디지털 문화예술 콘텐츠 선보여 2020-10-13 14:08:21
대상으로 해피포인트를 지급했다. 기업명인 빛글림은 순우리말 '빛'과 빛나는 물체를 뜻하는 '글림'의 합성어다. 모니터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해 다채로운 문화예술 콘텐츠를 제공하자는 의미다. 빛글림은 디지털 문화예술 콘텐츠를 제작·유통하고 있으며, 총 5만여 점의 디지털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아파트 이름에서도 단지 이름에서도 사라져가는 우리말 2020-10-09 14:33:50
이름에서도 사라져가는 우리말 순우리말 상표만 쓰는 건설사 '0', LH마저 외국어 작명에 가세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지 574주년이 되는 한글날을 맞은 가운데, 생활 터전인 주거 단지의 이름에서 우리말이 사라지는 경향이 거세지고 있다. 9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국내서 가장 긴 우리말 지명은?…9자 '옥낭각씨베짜는바위' 2020-10-06 13:25:44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고유어 지명은 1만1771개, 한자어는 4만5961개, 혼합어 지명은 1만7657개다. 고유어 지명 중 ‘새로 마을이 생겼다’다는 의미의 ‘새터’가 가장 많았다. 전국에 273개다. ‘절골(142개)’, ‘새말(110개)’, ‘안골(96개)’, ‘큰골(68개)’, ‘뒷골(66개)’ 등도 많이 쓰였다. 한자어 지명은 새로...
가장 긴 우리말 지명은…대구 주암산 '옥낭각씨베짜는바위' 2020-10-06 11:38:53
고유어와 한자어, 둘의 조합으로 이뤄져 있다. 그중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고유어 지명은 1만1천771개, 한자어는 4만5천961개, 혼합어 지명은 1만7천657개다. 고유어 지명 중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새로 마을이 생겼다'라는 의미의 '새터'로,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비롯해 전국에 273개가 있다. 그...
'공란'→'빈칸' '개호'→'간병'…법령 속 일본식 용어 바뀐다 2020-10-06 11:00:03
등 순우리말이 사용된다. 법제처는 6일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일본식 용어 정비 사업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법제처는 국립국어원과 함께 지난해부터 법령 속 일본식 용어 361개를 찾아내 국어·일본어·법률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일괄 정비가 필요한 용어 50개를 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