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토성 위성서 1만㎞ 수증기 기둥 포착…역대 최대 크기" 2023-05-31 16:38:54
우주국(NASA)은 "나사 연구진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에서 6천 마일(약 1만㎞) 길이의 수증기 기둥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분출한 수증기 기둥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까지 도달한 것과 같은 수준이다. 엔켈라두스 지름(약 500㎞)보다도 20배 길다....
[사이테크+] "우리은하에 생명체 존재 가능영역 외계행성 수억개 달할 듯" 2023-05-30 10:43:12
연구원(박사과정)은 이 연구에서 미항공우주국(NASA)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외계행성 관측 데이터와 우리은하 내 수십억개 별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가이아 망원경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들은 케플러 망원경으로 우리은하에 있는 목성 크기 정도의 왜소항성 주위에 있는 외계행성 150여개가 중심별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데...
초기 은하서 태양 질량 5천~1만배 가설속 초대형 별 흔적 포착 2023-05-18 15:34:36
이 은하는 지난 2015년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처음 관측돼 한때 가장 오래된 은하 기록을 갖고 있기도 했다. 연구팀은 웹 망원경 관측을 통해 GN-z11 은하 내 구상성단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별이 모여있는 밀도를 갖고있고, 질소도 많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질소를 만들려면 초고온에서 수소가 연소돼야 하고,...
목성 위성 '이오'처럼 화산활동 많은 외계행성 관측 2023-05-18 10:32:08
c 행성은 차세대 망원경으로 성능을 인정받고 있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관측이 이미 승인된 상태인데, d 행성도 웹 망원경으로 대기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비상한 후보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NASA 외계행성과학연구소의 제시 크리스티안센 박사는 "우주생물학의 가장 큰 질문은 지질 구조나 화산 활동이...
"목적지는 화성"…'우주의 조약돌' 2기 뽑는 한화 2023-05-16 18:29:58
우주공학과 교수진, 석·박사 멘토와 함께 ‘주제 선정-논리 구체화-결과 도출’에 이르는 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경험형 우주 미션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우주 인문학 콘퍼런스엔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유현준 홍익대 건축도시대학 교수, 제임스웨브 우주망원경을 직접 다루는 손상모 박사, 과학 유튜브...
소행성대 혜성서 수증기 첫 확인…CO₂ 없어 새 수수께끼 2023-05-16 10:35:41
우주국(NASA)에 따르면 메릴랜드대학 천문학자 마이클 켈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소행성대에 있는 '혜성 238P/리드(Read)'에서 처음으로 수증기를 포착한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의 근적외선분광기(NIRSpec)를 이용해 혜성 주변의 가스를...
[사이테크+] "토성 고리 나이 4억년 안됐다"…45억살 토성보다 훨씬 어려 2023-05-13 03:00:00
적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CU 볼더) 대기·우주물리학 연구소(LASP) 사샤 켐프 교수팀은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서 토성 주변의 먼지들을 분석해 고리들이 4억년 이내에 형성됐다는 강력한 증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
초신성 밝기 10배…80억 광년 밖서 가장 강력한 우주폭발 관측 2023-05-12 15:35:18
처음 포착됐으며, 지구근접 천체를 감시하는 광역 망원경 체계인 '소행성 충돌 최종 경보시스템'(ATLAS)에도 잡혔다. 와이즈먼 박사는 "초신성을 찾아내는 탐색 알고리즘에 잡혀 존재를 알게됐다"면서 "대부분의 초신성과 TDE는 두 달 정도면 사라지는데 추가적으로 2년 더 빛나고 있어 아주 이례적"이라고 했다....
웹 망원경이 빗장 푼 미니해왕성 수증기 대기 2023-05-11 15:25:29
망원경이 빗장 푼 미니해왕성 수증기 대기 태양계 안에 없는 행성 이해 실마리 마련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보다 질량이 훨씬 크지만 천왕성보다는 작은 '미니해왕성'은 우리은하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외계행성이지만 태양계 안에는 비슷한 행성이 없어 상대적으로 밝혀진 것이 적다. 하지만 제임스...
'포말하우트' 웹망원경으로 봤더니 행성잔해 고리 두 개 더 존재 2023-05-09 11:28:38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안쪽으로 이런 고리가 두 개가 더 존재하는 것이 새로 확인됐다. 미국 우주항공국(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와 외신 등에 따르면 애리조나대학 천문학 연구조교수 안드라스 가스파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포말하우트 주변의 따뜻한 먼지를 웹 망원경의 '중적외선장비'(MIRI)로 관측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