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024 인천강소연구개발특구 기업 CEO] 무기 바인더 기반의 친환경 주물사를 개발하는 기업 ‘신영에스앤씨’ 2024-06-19 16:27:19
인문학을 전공했으나, 대학 휴학 후 창업하면서 일찌감치 사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이후에도 IT 업계에서 경영 전략 및 R&D 기획을 오랫동안 담당했다. 제조업에 IT 시스템을 도입하는 컨설팅을 하면서 제조업과 인연을 맺기도 했다. 신영에스앤씨는 자동차 부품 제조 산업 그리고 각종 기계 장치 제조 산업의 핵심이...
반도체·AI 열풍에…"문송합니다" 2024-06-16 18:26:25
인문학과 역사 분야 등은 위기에 처했다고 대만 언론은 진단했다. 실제로 성공대학의 역사학과에는 지원자가 한명도 없었으며, 몇몇 공립대학과 사립대의 중문학과는 지원자가 대폭 감소했다. 서남부 자이의 국립 중정대학 중문학과와 동부 화롄 국립 동화대학의 중문학과의 지원자는 각각 2명과 9명에 불과했다. 사립대...
"AI시대, 소통·창의력 지닌 리더 필요…인문학 더 중요해질 것" 2024-06-16 18:04:15
“인공지능(AI) 시대에 인문학은 오히려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창의력, 의사소통 능력, 사람을 이해하는 능력이 AI 시대에 더욱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명문 리버럴아츠 칼리지로 꼽히는 애머스트대 마이클 엘리엇 총장은 지난 10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AI 시대에는 다른 사람과 소통하며 문화, 역사, 언어의...
'반도체·AI붐'이 뭐길래…대만 대입서 이공계 쏠림 심화 2024-06-16 17:57:27
이공 계열에서 입학 열기가 높지만, 인문학과 역사 분야 등은 위기에 처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성공대학의 역사학과에는 지원자가 한명도 없었으며, 몇몇 공립대학과 사립대의 중문학과는 지원자가 대폭 감소했다는 것이다. 서남부 자이의 국립 중정대학 중문학과와 동부 화롄 국립 동화대학의 중문학과의 지원자는 각각...
[윤혜준의 인문학과 경제] 여전히 유효한 맬서스의 인구론 2024-06-16 17:48:58
한국인들이 급속히 늙어가고 있다. 새로 태어나는 생명은 급속히 줄어들었다. 일할 젊은 사람은 드물고 늙고 병든 사람만 우글거리는 사회로 변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최대 고민거리는 인구절벽이어야 마땅하다. 인구 문제를 주요 논제로 세워놓은 사상가는 토머스 맬서스다. 1798년 익명으로 출간한 그의 저서 제목을...
[오늘의 arte] 전준혁 발레리노 독무, 너무 인상적 2024-06-14 19:11:45
- 칼럼니스트 한국신사의 ‘스타일 인문학’ ● 베를린 필 현악 4중주의 예리한 앙상블 베를린 필하모닉 스트링 콰르텟의 공연이 제주에서 열렸다. 조지가 리드한 슈베르트의 현악 4중주는 투명하고 예리한 앙상블 사운드로 비장한 분위기와 시적인 감흥을 전달했다. 2악장에서 첼리스트 리니커의 심금을 울리는 표현력이...
[삶] "생활비 모자라 강남 집 팔자 했더니 아내가 결사반대한다네요" 2024-06-14 06:00:01
때 인문학 서적과 고전을 많이 읽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당시는 집이 가난해서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독서할 시간이 없었다. -- 본인은 일본에서 8년 이상 근무하면서 일본 관련 책을 많이 읽지 않았나. ▲ 한국에 들어와서도 3개월에 한 번 정도 주말을 이용해 일본에 갔다. 대형 서점에 찾아가서는 쓸만한...
서울 뚝섬이 정원으로…코리아 가든쇼에 도전하세요 2024-06-13 13:52:40
문을 열다’로 건축, 미술, 음악, 의학(치유), 인문학 등 다양한 분야와 접목한 것이 특징이다. 참가 자격은 실제 정원을 조성할 수 있는 정원 전문가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작품 접수는 다음 달 8~10일 16시까지 출품신청서와 작품도판, 작품설명서 등을 제출하면 된다. 공모 요강 및 출품 신청서 등 공모전에 대한...
랩코리아, AI 콘텐츠 자동화 솔루션 도입 예고...국내 비즈니스 본격화 나서 2024-06-12 11:12:48
대표는 "데이터 추출 결과를 인문학적인 통찰력으로 해석하는 것, 일례로 세대별 문화와 소비 트렌드를 식별하고 예측하는 접근은 정확한 고객행동 예측으로 이어진다."며 "향후 AI 기반의 알고리즘과 함께 개인화 메시지와 창의적 아이디어를 통합해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토지는 이제 쓸모 없어진 생산 요소인가? [마스턴 김 박사의 說] 2024-06-12 10:20:46
노동 자원과 관련해서는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인문학, 철학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학문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렇다면 토지는 이제 생산 요소가 아니거나, 의미가 감소하였는가? 토지가 모든 요소 대비 우위에 있다는 경제학 이론 하나를 살펴보자. 토지와 관련된 경제학자인 헨리 조지(Henry George) 만큼 국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