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럼프 취임 D-1] 취임 첫날 나올 행정명령 100건…관세, 韓에 미칠 영향 주목 2025-01-19 06:11:04
하나의 중요한 부분은 화석 에너지원 개발 확대를 통한 에너지 자립 관련 내용이다. 퇴임을 앞둔 조 바이든 대통령은 대서양과 태평양, 멕시코만 등에서 한반도 면적(22만3천617㎢)의 약 11배에 달하는 해역에 걸쳐 신규 원유·가스 시추를 금지한다고 지난 6일 발표했는데, 트럼프 당선인은 첫날 이를 뒤집는 일과 관련된...
트럼프 2기 '탄소세' 만지작…韓 철강·자동차 '사정권' 우려 2025-01-19 06:00:01
동향분석실장은 "일반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 철강업계가 힘들어진다는 것은 공식과도 같기 때문에 일단 좋은 뉴스는 아닌 것 같다"면서 "대미 수출이 중요한 자동차 업계 역시 마음을 졸일 수 있는 소식"이라고 말했다. 홍 실장은 "다만, 한국의 철강 산업은 개도국과 비교하면 유럽연합(EU) 등의 강화된 탄소 기준에...
"로봇, 챗GPT 모멘트 임박"…먼저 뛸 로봇주는 [투자의 재발견] 2025-01-18 11:25:13
'로봇'을 꼽았습니다. 챗GPT로 AI가 본격 개화한 중요한 변곡점, 앞서서는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연 '아이폰 모멘트' 같은 순간이 AI를 만난 로봇에게 왔다는 것입니다. 이날 소개된 엔비디아의 AI 플랫폼 '코스모스'는 "로봇이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어느 기업이나...
버핏이 또 팔았나…실적 우려 깊어진 애플 4% 급락 [글로벌마켓 A/S] 2025-01-17 08:14:02
행정부의 중요 과제 가운데 세제 감면의 연장을 꼽았다. 그는 “감세 연장 없다면 경제적 재앙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의 경제 문제는 세입 아닌 지출에서 발생한다”면서 향후 지출 축소 추진하는 트럼프 정부 기조를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중국과의 무역 마찰을 예고하는 발언도 이어졌다....
KGM, 수소 엔진 개발 위해 피니아와 기술 협력 2025-01-16 12:15:42
있다. 이 과제는 질소산화물(NOx) 배출량 규제를 만족하고, 주행거리 500㎞ 이상을 달성하는 2L급 디젤 기반 수소 엔진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KGM은 이번 기술협력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국책과제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두 기업은 다목적 엔진과 차량 기본설계를 시작으로 주행 거리 연장형 전기자동차인...
알체라, 원격 의료 서비스 기업 RCP와 MOU 체결…"미국 의료 AI 시장 진출" 2025-01-16 11:09:24
기술 도입 지원과 규제 완화로 인해 의료와 헬스케어 분야에서 AI 활용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실제, 미국 의료 영상용 AI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33.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약 29억 3,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알체라는 높은 보안 수준이 요구되는 금융권에서 얼굴인식 AI 기술을 확산하며, 국내...
"올해 제약·바이오 M&A 트렌드는 중국과 AI" 2025-01-16 10:57:33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의 규제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의 영향으로 대형거래가 줄어든 영향”이라며 “대형 제약사들에게 있어 지난해는 ‘리셋’의 해”라고 말했다. 올해는 ‘딜 메이킹의 해’가 될 것이란 게 EY의 분석이다.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중국 기업과의 협력, 떠오르는 AI 분야 등을 포함해 새로운...
KGM, 수소 엔진 원천기술 확보 앞장…피니아와 기술협력 2025-01-16 09:56:04
배출량 규제 수준 만족과 주행거리 500km 이상 달성 등을 목표로 ‘산업용 및 차량용 등 다목적 활용이 가능한 2리터급 디젤 기반 수소 엔진과 차량 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피니아는 엔진제어시스템인 EMS(Engine Management System)와 인젝터, 펌프 등 수소와 디젤 엔진의 핵심적인 부품을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염블리·유동원·빠숑에게 새해 재테크의 길을 묻다 2025-01-16 06:30:03
& Silent)을 가장 중요한 트렌드로 꼽았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부터 패션, 휴가와 내향성 경제(Introvert Economy)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로 확산한 경향에 대해 소개한다. 김 소장은 한경닷컴 등 언론사 칼럼니스트로 활동했고 휴넷 최고경영자(CEO)로도 활약한 바 있다. 국내외 주식과 부동산 등 재테크 트렌드에...
"그린벨트에 묶여"…기아 소하리공장 '54년 족쇄' 풀렸다 2025-01-15 18:08:55
“규제개선은 단순히 기업의 편의를 넘어 국민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라며 “규제개선은 중단없이 꾸준히 이뤄지는 것이 중요한 만큼 기업현장의 규제와 투자애로 해소를 위해 대한상의 규제애로접수센터와 국조실 규제개혁신문고 연계운영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