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롯데케미칼, 지난해 영업손실 8948억원…3년째 적자 2025-02-07 17:11:39
롯데케미칼이 지난해 적자 폭을 확대하면서 3년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20조4,304억원, 영업손실 8,948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2.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이 157.3% 감소했다. 전년 영업손실 3,477억원 대비 적자 폭을 키웠다.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공급...
환율 약보합세...물가지표·파월 연설 분수령 2025-02-07 16:37:18
미국 고용지표에서는 비농업 고용자 수의 증가폭이 시장의 관심사로, 17만 5천 명 가량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연초의 고용지표는 변동성이 높은 경향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음 주 12일에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될 예정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 상승했을 것으로 예측되나 3%를 넘어설...
롯데케미칼 작년 8천948억원 영업손실…3년 연속 적자(종합) 2025-02-07 16:28:29
영업손실이 8천948억원으로 전년(3천477억원)과 비교해 적자 폭이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이로써 롯데케미칼은 2022년, 2023년에 이어 3년째 연간 적자를 기록했다. 작년 매출은 20조4천304억원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순손실은 1조8천20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회사 측은 "글로벌 공급...
127만명 연봉 깠더니 '충격'…반도체·IT 직군 확 뛰었다 2025-02-07 16:22:03
직군 평균 연봉 인상률은 8.5%로 조사됐다. 전년보다 5.6%포인트 증가했다. 코로나 기간 누적됐던 연봉 상승분이 엔데믹 이후 반영된 것으로 풀인된다. 연차별 인상률도 확대됐다. 저연차인 1~3년차 연봉 인상률은 2023년 2%에서 지난해 7.7%로 뛰었다. 10년차도 같은 기간 1.5%에 머물렀다 5.2%로 확대됐다. 인적자원(H...
미래에셋증권, 3년만에 '1조 클럽'…지난해 영업익 1.2조 2025-02-07 16:03:07
만에 1조원 가량 증가했다. 이번 1조 클럽 복귀를 이끈 것은 브로커리지 성과와 자산관리, 그리고 해외법인 실적 개선 등이었다. 미래에셋증권 측은 "브로커리지를 포함한 자산관리(WM)와 트레이딩 부문을 중심으로 경상이익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고 인도 비즈니스 확대를 위해 해외법인 자본 재배분 과정에서 발생한...
롯데케미칼 작년 영업손실 8천948억원…적자 확대 2025-02-07 15:53:00
폭이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20조4천304억원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순손실은 1조8천20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4분기 영업손실은 2천348억원으로 전년동기(3천158억원)와 비교해 적자 폭이 줄었다. 이 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4조8천961억원과 1조1천206억원이었다. 4분기...
한화시스템, 컨센서스 상회..."향후 가이던스 주목" 2025-02-07 13:36:30
증가했으며 이익 기준으로는 2200억 원임. - 주가는 2만 7천원 수준이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함. - 그러나 최근 큰 폭으로 상승한 종목들에 비해선 상승폭이 크지 않아 눈치를 보는 중인 것으로 보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이익 등 전반적인 흐름이 좋고 방위산업체 전반으로도 실적 기반으로...
미래에셋증권, 작년 영업익 1조1590억…'1조 클럽' 복귀 2025-02-07 12:03:19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1조1590억원으로 122% 늘어났다. 2021년(1조4855억원) 이후 3년 만에 1조원대를 회복한 것이다. 세전이익과 당기순이익은 1조1845억원, 8937억원으로, 각각 217%, 168% 증가했다. 자기자본은 12조2000억원으로, 전년 11조원을 넘어선 지 1년 만에 1조가량 증가하는 등 업계 최대 규모를...
'흑자 전환' SK이노, 올해 정유·E&S 사업 동반 호조세 기대감↑ 2025-02-07 11:35:29
소폭 증가 추세에 있어 생산 세액공제(AMPC) 증가와 적자폭 축소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발 정책 리스크와 전기차 수요 둔화로 눈높이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면서도 "최악의 구간을 지난 상황에서 북미 고객사용 출하량 증가와 생산 효율화 작업 등을 통해 점진적인 수익성...
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률 41.4%…3개월만에 40%선 회복 2025-02-07 11:03:45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와 함께 감정가 9억원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고 지지옥션은 설명했다. 경기도 아파트 낙찰률은 45.6%로 전월(45.8%)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낙찰가율은 86.9%로 전월보다 1.3%포인트 상승하며 5개월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서울 접근성이 양호한 신축급 아파트에 응찰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