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재닛 옐런과 '예일 거시경제 패러다임'…한국은? 2020-11-29 17:13:58
단기 과제는 총수요와 총공급(혹은 IS/LM) 곡선으로 이해하고, 지속 가능 성장과 고용 창출 등의 장기 과제는 토빈과 로버트 솔로 모델을 선택했다. 정책 수단은 재정정책보다 통화정책이 더 유용하다고 봤다. 이 때문에 재정정책은 경기 부양을 위해 일시적으로 적자 폭이 커지더라도 ‘재정 건전화’ 틀은 깨지 않아야...
[한상춘의 world View] 한은법 개정 '길들이기' vs '밥그릇 지키기' 안되려면 2020-11-24 17:41:54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이다. 국제 유가 급등과 같은 총공급 요인에 경기가 침체되고 물가가 오르는 종전에 볼 수 없던 새로운 현상을 맞아 미국 중앙은행(Fed)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었다. 폴 볼커 당시 Fed 의장은 과감하게 금리를 올려 물가를 잡을 수 있었다. 인플레이션 파이터로 중앙은행의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했...
일본 11년만에 가장 심각한 수요 위축…"디플레이션 우려" 2020-10-12 11:00:35
살피는 지표다. 마이너스인 경우 총공급이 총수요보다 많아 디플레이션 경향이 있다고 평가하며 플러스인 경우 총수요가 총공급을 웃돌아 인플레이션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리먼 브러더스 파산 사태의 충격을 받았던 시기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공급과 비교한 수요가 저조한 셈이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따른...
‘작은 정부론’과 ‘중앙은행 만능시대’가 간다…‘큰 정부론’과 ‘케인즈언’ 부활하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0-09-14 10:11:38
정책으로 재정인플레이션 우려를 완화시키는 것은 총공급 곡선(AgS·노동시장과 생산함수에 의해 도출)과 총수요 곡선(AgD·투자와 저축을 의미하는 ‘IS 곡선’, 유동성 선호와 화폐 공급을 의미하는 ‘LM 곡선’에 의해 도출)을 통해 보면 쉽게 이해된다. 세금 감면으로 AgS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성장률이 높아지고 물...
코로나 영향?…추석 철도 예매, 지난해 절반 수준 2020-09-08 18:14:55
이날 진행한 경부선 등 9개 노선의 올해 추석 승차권 예매에서 결과 총공급좌석 50만석 가운데 26만3000석이 팔려 52.6%의 예매율을 기록했다. 예매 노선은 경부, 경전, 동해, 대구, 충북, 경의, 경원, 경북, 동해남부선 등 9개다. 첫날 예매된 26만여석은 지난해 추석 같은 노선 예매객 47만명의 55% 수준이다. 정부 권고...
추석 철도예매 첫날 26만석 판매…예매율 52.6% 2020-09-08 18:14:37
진행한 경부선 등 9개 노선의 `2020년 추석 승차권 예매` 결과 총공급좌석 50만석 중 26만3천석이 팔려 52.6%의 예매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예매 노선은 경부, 경전, 동해, 대구, 충북, 경의, 경원, 경북, 동해남부선 등 9개였다. 첫날 예매된 26만여석은 지난해 추석 같은 노선 예매객 47만명의 55%에 불과한 수준이다....
[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2020-07-21 18:20:27
(5) E [해설] 총수요(Y)=소비(C)+투자(I)+정부지출(G)+순수출(X-M)이다. 따라서 민간 소비인 C의 증가는 총수요 증가 요인이다. 즉, 총수요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국제 원유 가격 상승은 생산비 상승을 의미한다. 이는 총공급이 감소하는 요인이다. 즉, 총공급 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에 해당하는 적절한...
제로금리·부동산 규제…고배당주·리츠로 투자 방향 돌려라 2020-07-01 15:16:09
위축이다. 고령화는 잠재성장률을 낮추고, 총공급과 총수요 모두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고령화에 수반되는 수명 연장 현상으로 미래 소비를 위한 저축 선호가 과도해짐에 따라 현재의 소비, 즉 ‘시간 선호’에 대한 보상인 금리가 지속해서 하락하게 된다. 공유경제, 네트워킹,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산업 기술혁신에...
"文정부 부동산 대책은 시장 작동원리 거슬러…성공하기 힘들다" 2020-06-30 17:28:18
급격히 떨어지는 등 총공급도 줄어들고 있다”며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위축되는 등 1998년 외환위기 때보다 충격이 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정부가 코로나19에 대한 방역에는 성공했다”면서도 “코로나19에 대응한 경제정책은 ‘답안을 써놓지 않은 시험지’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로나19...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물가상승률 2020-06-29 09:00:22
생산성이 향상돼 총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총수요가 감소해 발생하는 디플레이션이 있다. 총수요 측면에서 수요 감소는 물가와 자산 가치 하락, 기업의 생산량 감소, 기업 수지 악화, 실업 증가, 임금 하락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경기침체가 심화된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