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아이센스 "내달 글로벌社와 CGM 공급 계약" [KIW2024] 2024-09-09 17:18:11
"당뇨 사업군에서 오랫동안 활약해왔고, 미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업체로 아이센스 CGM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이센스에서 최고재무책임자를 맡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전통적인 혈당측정기 시장의 규모는 약...
GC녹십자 "헌터증후군 치료제, 장기 연구서 안전·유효성" 2024-09-09 13:45:45
증후군 치료제다. 이번 장기 연구는 지난해 종료된 헌터라제 임상 3상에 참여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2년간 진행됐다. 그 결과, 헌터라제를 주 1회 정맥 투여한 환자군, 이두설파제를 1년간 투여한 후 헌터라제로 전환한 환자군에서 모두 6분 보행 검사 및 요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변화율이 기저치와 비교해 유의미한 수치를...
"불륜 의심"…도 넘은 '응급실 근무 의사' 블랙리스트 2024-09-09 12:08:18
'000 선생님 감사합니다. 불법파업을 중단하고 환자 곁을 지키시기로 결심한 것 감사합니다' 식으로 근무 의사의 실명이 적혀 있다. 또 "복지부 피셜 '응급실 의사가 부족한데도 응급의료는 정상가동 중' 이를 가능하게 큰 도움주신 일급 520만원 근로자분들의 진료정보입니다", "인근 지역 구급대 및...
응급실 파행 지속...정부 파견 군의관들, 근무 못하겠다며 ‘복귀’ 2024-09-06 19:45:04
알고 있다"고 했다. 파견 군의관 2명이 모두 응급의학과 전문의인 세종 충남대병원에서도 군의관들이 환자 진료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데 따라 모두 복귀했다. 의료계에서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군의관이라고 해도 전공의 과정을 마친 지 얼마 되지 않아 임상 경험이 풍부하지 않은 탓에 현장에 투입되는 걸...
유한양행 렉라자, 단독요법 효과…"타그리소 7조원 시장 가져오나" 2024-09-06 13:58:15
렉라자를 각각 사용했는데, 렉라자 사용군 환자의 생존 기간(무진행생존기간)이 더 길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뇌전이 동반 환자 등 고위험군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학회에서는 기존 승인 병용요법과 관련해 리브리반트의 제형을 정맥주사(IV)에서 피하주사(SC)로 변경했을 때의 유효성에 대한...
젬백스 “세계 최초 진행성핵상마비 증상 개선 치료제 개발 도전” 2024-09-06 09:25:58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고 있다”고 했다. 현재 젬백스는 PSP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국내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위약군, GV1001 0.56㎎, GV1001 1.12㎎으로 24주 동안 피하로 투약한다. 첫 4주는 주 1회, 나머지 20주는 2주 1회 투약한다. 유효성 평가는 마지막 투약을 마치고 2주 후 진행한다. 1차지표는...
대웅제약 "당뇨병 신약 엔블로, 원외처방액 100억원 넘어" 2024-09-05 13:51:40
향후 인슐린 병용요법, 신장 장애를 동반한 당뇨병 환자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엔블로의 처방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엔블로군이 월평균 14%씩 성장하며 빠르게 처방액 100억원을 달성한 것은 당뇨병 치료제도 국산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hyunsu@yna.co.kr (끝)...
코로나 재택 치료 중 숨진 11세 아들…정부 상대 소송 '패소' 2024-09-05 10:49:21
때다. 전국에서 병상이 모자라 모든 코로나19 환자는 재택 치료가 원칙이었다. 재택 치료자 중에서도 증상이 악화한 환자만 응급실을 이용하거나 병상을 배정받을 수 있었다. A군도 확진 후 재택 치료를 했다. 감염 엿새째인 같은 해 3월 30일, A군 어머니 B씨는 인천소방본부 상황실에 전화를 걸어 "아이가 지금 코로나에...
휴대전화 전자파가 뇌암 일으킨다?…WHO 결론은 "관계없다" 2024-09-04 11:39:19
분류하면서다. 그러나 이는 일부 뇌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제한된 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해당 분류가 전자파를 확실한 발암 물질로 규정한 것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해당 분류의 기반이 된 초기 연구들은 뇌암 환자들이 직접 밝힌 휴대전화 이용 시간과 뇌암에 걸리지 않은 비교군의 휴대전화 이용...
샤페론, 아토피 치료제 ‘누겔’ FDA 임상 2상 안전성 확인 2024-09-03 16:03:39
지난해 국내 임상 2a상에서 0.5% 용량에서 전체 환자군의 80%에 이르는 바이오마커 양성군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됐다”며 “IDMC의 결정은 2% 고용량에서 안전성이 검증된 것으로, 국내 임상보다 4배 높은 용량뿐 아니라 다양한 인종의 환자군에서 얻은 임상 결과이기 때문에 매우 고무적인 성과”라고 말했다. 그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