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다목적 원자로 '스마트' 건설 전담 '한-사우디 합작사' 설립 2020-01-03 09:54:11
역할을 명문화하는 등 사업추진체계를 정비했다"면서 "한-사우디 양국 협력의 기틀이 마련되며 SMART 사업 추진이 더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마트 원자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소형 원전(전기출력 약 110MWe·열출력 약 365MWt)이다. 노심, 증기발생기, 가압기, 냉각펌프 등이 원자로 압력 용기 안에...
두산重, 소형 모듈원전사업 진출 가시화..."美 원전업체 지분투자 마무리" 2019-12-22 17:14:47
있는 첫 소형 원전 프로젝트에 소형모듈원전을 공급할 예정이다. 나기용 두산중공업 원자력BG장은 "지분투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설계인증 절차도 차질없이 진행돼 소형모듈원전 사업에 대한 전망이 밝다"면서 "이번 협력을 통해 미국 원전 시장을 비롯해 캐나다, 영국 등으로 시장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 소형모듈원전 사업 본격 진출 2019-12-22 15:29:30
지분투자를 통해 뉴스케일파워에 대한 주식매매계약과 원자로 모듈 공급을 위한 사업협력계약 체결을 완료했다. 투자금액은 4400만달러(약 510억8400만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뉴스케일파워는 미국 에너지부(DOE) 지원을 받아 소형모듈원전을 개발 중이다. 2026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미국 아이다호주에 짓고 있는 소형원전프로젝트에...
두산중공업, '소형모듈원전' 美 뉴스케일파워 지분투자 완료 2019-12-22 11:25:44
원자로 모듈은 뉴스케일파워가 개발한 소형모듈원전의 핵심 설비로 핵연료를 통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원자력증기공급계통(NSSS)에 해당한다. 뉴스케일파워는 미국 에너지부(DOE) 지원을 받아 소형모듈원전을 개발 중으로, 발전사 UAMPS가 2026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미국 아이다호주에 짓는 첫 소형 원전 프로젝트에...
두산, 세계 최대 에너지 전시회 참가...국산 기술 가스터빈 등 홍보 2019-11-18 15:36:16
중인 소형모듈원전(SMR) 알리기에도 나설 예정이라며, 두 회사는 7월 SMR 사업 협력 계약을 맺은 바 있다고 덧붙였다. 두산인프라코어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시제품을 처음 공개하기로 하고, 배기량 2.4ℓ급 소형디젤엔진에 48V 전기모터를 연결해 100마력의 출력을 내는 모델로, 작은 힘이 필요할 때는 전기모터를,...
두산중공업, 국산화 '가스터빈' 파워젠 전시회서 글로벌 판촉 2019-11-18 11:06:17
함께 추진 중인 소형모듈원전(SMR) 알리기에도 나선다. 두 회사는 7월 SMR 사업 협력 계약을 맺은 바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시제품을 처음 공개한다. 이는 배기량 2.4ℓ급 소형디젤엔진에 48V 전기모터를 연결해 100마력의 출력을 내년 모델로, 작은 힘이 필요할 때는 전기모터를, 큰...
문미옥 차관, 美서 소형원자로 '스마트' 우수성·수출의지 알려 2019-11-15 11:34:52
열린 국제원자력협력체제(IFNEC) 집행위원회에 참석, 한국형 소형원전 '스마트'(SMART)의 우수성을 알리고 정부의 수출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회의에는 릭 페리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 중국·러시아·프랑스 등 18개국 정부 대표, 국제원자력기구(IAEA) 관계자 등이 참석해 국제 에너지 환경변화...
300미터 떨어진 폭발물도 ‘원샷원킬‘...레이저폭발물처리기[방산인사이드] 2019-10-25 17:51:58
발전할 수 있습니다. 국과연과 같이 소형 무인기를 요격하는 무기체계 부터 장기적으로는 로켓이나 포탄, 미사일까지 요격할 수 있는 체계로 발전시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원전시설에 드론 공격을 받았던 사우디와 같은 해외 국가에서 방어 목적으로 우리 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레이저 무기체계에 관심을...
韓, 후쿠시마 오염수 공론화…"지구 해양환경에 영향"(종합2보) 2019-09-17 02:30:07
언급했다. 국내 가동 원전의 안전을 위한 안전기준 강화정책과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원자력안전혁신 프로젝트도 설명했다. 또 유럽사업자요건 인증에 이어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의 표준설계인증서를 획득, 기술력을 인정받은 APR-1400(한국형 원전)과 사우디아라비아와 협력해 상용화를 눈앞에 둔...
"日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에 IAEA·회원국 역할 필요"(종합) 2019-09-17 01:44:57
언급했다. 국내 가동 원전의 안전을 위한 안전기준 강화정책과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원자력안전혁신 프로젝트도 설명했다. 또 유럽사업자요건 인증에 이어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의 표준설계인증서를 획득, 기술력을 인정받은 APR-1400(한국형 원전)과 사우디아라비아와 협력해 상용화를 눈앞에 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