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박근혜 정부 출범에 부쳐] (1) 효율·형평간 균형이 필요하다 2013-02-24 16:56:54
대통령은 앞으로 복지를 강화하면서 동시에 침체된 경제도 살려내야 하는 상황을 맞았다. 이와 관련된 정책 추진 과정에서 국민과 국회를 설득하고 때로는 야당의 집요한 견제도 감내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다 ‘국민 행복시대’라는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도 펴나가야 한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앞을 가로막고 있는 두 개의...
[한경에세이] '자본주의의 꽃' 기부문화 2013-02-24 16:52:16
복지 부문을 지원하고자 할 때, 중국 당국에서 깜짝 놀라며 왜 개인이 이런 돈을 쓰느냐며 의아해했다. 자유민주주의가 성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한 부분이 기부 문화이고, 그것은 곧 경제 불균형을 바로잡는 기금이다. 중국이 글로벌 무대에서 성공하려면 하루빨리 기부 문화를 촉진하고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을...
[쉽게 배우는 TESAT 경제] 나라살림 좀먹는 지하경제, 최소 200조…세금 한푼 안내 2013-02-24 16:43:17
등 gdp에 누락 경제활동 일컬어 새정부 복지재원 확보위해 국세청에 전담조직 설치 q. 최근 지하경제 양성화와 관련한 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주요 정책이죠. 하지만 지하경제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번 주에는 김영환 한국은행 국민소득총괄팀 차장이 지하경제에 대해...
역대 정부…경쟁력 '상승', 성장·분배 '후퇴' 2013-02-24 13:17:13
지표를 분석·발표했다.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발표한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김영삼 정부(1993~1997년) 당시 29위였다. 김대중 정부(1998~2002년), 노무현 정부(2003~2007년) 때 32위로 밀려났다가 이명박 정부(2008~2012년)에 다시 25위로 올라섰다.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하는 부패지수는 4.5→4....
국내 기업 59% "박근혜 정부 잘할 것" 기대…대한상의 조사 2013-02-24 11:28:50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19.5%) △과거보다 형평과 복지가 중시되는 정책풍토(11.3%) △기업가정신의 약화(7.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신성장동력 육성 방향에 대해서는 53.9%가 다양한 분야의 과제 발굴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어 △기술개발 지원 확대(16.5%) △자금·세제 지원 확대(14.9%) △신산업분...
역대 정부…경쟁력은 높아졌지만 성장·분배는 후퇴 2013-02-24 11:00:38
고용률은 45.7%(김영삼 정부)에서 40.6%(이명박 정부)로 후퇴했다. GDP 대비 복지지출 비율은 김영삼 정부 3.3%, 김대중 정부 5.3%, 노무현 정부 6.6%, 이명박 정부 9.5%로 점점 높아졌다.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도 10.2%→17.6%→27.3%→32.4%로 상승했다. 이 연구위원은 "새 정부는 경제 활력을 되찾고 삶...
"새정부, 양극화해소·신성장동력 발굴해야" 2013-02-24 11:00:23
이어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19.5%), 과거보다 형평과 복지가 중시되는 정책풍토(11.3%), 기업가정신의 약화(7.6%) 등이었다. 신성장동력 육성 방향은 53.9%가 다양한 분야의 과제 발굴이 필요하다고 했고이어 기술개발 지원 확대(16.5%), 자금·세제 지원 확대(14.9%), 신산업분야 인력양성(7.4%) 등의...
[박근혜 정부 출범] 일자리 만들려면 경기 부양책 펴 수출·내수 살려야 2013-02-24 10:25:48
질 개선을 위한 복지 확대도 가능해진다”고 강조했다. 손 회장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경제성장 주체인 기업의 투자 확대를 유도하고 세제 및 금융지원 강화와 규제개혁을 위한 노력도 지속해 나가야 한다”며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서비스산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지원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박근혜 정부 출범] 검증된 실력자 기용 · 전문가 발탁 '창조경제' 이끄는 파워엘리트 30인 2013-02-24 10:22:43
박근혜 대통령의 싱크탱크였던 국가미래연구원과 2012년 대선 캠프였던 국민행복캠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꼽혔다. ‘대통령 박근혜’를 만드는 과정과 그 이후 정부 출범 과정에 기여한 일종의 공신그룹이다. 이들 출신이 전체의 절반인 15명을 차지할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인수위 출신은 내각에...
['박근혜 정부' 막 올랐다] 아버지의 '한강 기적' 넘어 행복 · 희망의 새 시대 연다 2013-02-24 10:19:20
국정비전을 제시한 것과 비교할 때 국가와 사회를 중시하는 기존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국민의 행복을 국정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 국민이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하겠다는 취지다.‘박근혜 정부’에서는 우선 경제성장 모델이 달라진다. 국가 전체의 총량적 성장에서 국민 중심 성장으로 전환하겠다는 게 박 대통령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