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독일 머크, 송도에 바이오 교육센터 설립 2016-10-06 13:54:14
머크 생명과학사업부 최고경영자(ceo)는 “한국 바이오·제약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세계 곳곳에 비용 효율적인 신약 개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문 교육센터를 짓고 있다”고 설명했다.m랩 콜라보레이션센터는 10명의 전문가들이 상주한다. 머크의 고객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과학철학 대가 장하석 교수 23일 ETRI 강연 2016-09-22 15:14:07
주제로 창의성과 관련된 과학사사례를 중심으로 발표하며, 강연이 끝난 뒤에는 젊은 과학자들과 만남의 시간도 가질 계획이다. 장하석 교수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물리학과를 나와 스탠퍼드대학에서 물리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20대 후반의 나이에 영국 런던대 과학철학과 교수로 임용됐다. '장하석의...
나비 248종에 우리말 이름 붙여줘…미국·영국서도 감탄한 '한국의 파브르' 석주명 2016-09-04 17:48:56
에스페란토어 보급에도 힘을 쏟았다.석주명의 죽음은 한국 과학사에서 가장 큰 비극이자 풀리지 않는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됐다. 6·25전쟁 당시 국립과학박물관 동물학 연구부장이던 그는 국군이 서울을 수복한 직후인 1950년 10월6일 집을 나섰다가 총에 맞아 숨진 채 발견됐다. 자신의 분신과도 같던 15만마리에 이...
[책꽂이] 행동경제학 강의 등 2016-09-01 17:26:23
과거 학자의 이론을 들여다보는 독특한 방식으로 들려주는 과학사 강의.(이강환 옮김, 시공사, 496쪽, 2만2000원)아동·청소년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주는 몸 이야기 몸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세포부터 눈, 귀, 심장, 콩팥, 뇌까지 우리 몸이 어떤 원리로 움직이고 반응하는지 쉽고 재미있게 알려준다.(이...
[주목! 이 책] 게놈 익스프레스 2016-08-25 18:18:10
dna 기능을 추적하는 과학사의 험난하면서 긴박한 여정을 통해 유전이란 질서를 유지하며 거대한 흐름을 이어온 생명체의 신비를 밝힌다. 유전의 법칙을 통계적으로 증명해낸 최초의 생물학자 멘델과 끈질기고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형질 위치를 추적해낸 모건, dna 구조를 발견한 왓슨과 크릭 등 유전자의 역사를 써내려간...
[책꽂이] 나는 왜 괜찮은 아이디어가 없을까? 등 2016-08-25 17:34:13
대표적인 과학 원전들을 소개하며 과학사의 흐름을 짚어준다.(수잔 와이즈 바우어 지음, 김승진 옮김, 윌북, 340쪽, 1만5800원)●위안텅페이 삼국지 강의 ‘삼국지’의 51개 주요 장면을 중심으로 황건적의 난부터 진의 삼국통일까지의 역사를 흥미롭게 풀어냈다.(위안텅 페이 지음, 심규호 옮김, 라의눈, 864쪽,...
9월 문 여는 경희미래창조스쿨…취업·창업 '꿈을 현실로' 2016-08-15 16:00:24
세계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더한다.또한 미래학, 과학사, 예술철학 분야의 국내외 석학을 적극 영입하고 연계 클러스터와 협력해 융복합 교과와 실천 프로그램을 강화할 계획이다. 경희대 관계자는 “관·산·학 협력사업도 전개해 기후변화로 대표되는 문명사적 대전환과 고등교육 환경 변화에 적극...
배아줄기세포·유전자 가위…복제양 돌리가 남긴 '위대한 유산' 2016-07-03 19:59:14
마감했다. 네이처는 20세기 과학사에 기념비적인 돌리를 추모해 이례적으로 부고 기사를 냈다. 돌리 사후 동물 복제기술은 발전을 거듭했다.이 교수는 “미국 복제쥐 큐뮬리나는 일반 쥐 수명의 95%에 이른다”며 “기술이 발전하면서 복제동물과 일반 동물의 차이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국내 공항과...
과학이 정치에 휘둘리지 않게 대통령에게도 직언한 최형섭 2016-07-03 19:56:56
않는 과학은 불모(不毛)이고 과학이 없는 기술은 시든다”는 과학사학자 데릭 솔라 프라이스의 말을 즐겨 인용했다. 扁?과학자들은 지금도 최 박사가 kist 소장과 과기처 장관으로 재임하던 시기를 한국 과학의 황금기라고 평가한다.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책마을] 중독의 시대…쾌락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2016-06-16 18:29:28
프록터 스탠퍼드대 과학사학과 교수는 《우리를 중독시키는 것들에 대하여》에서 “과잉 섭취는 생물학적 문제지 개인의 성격적인 결함 때문이 아니다”며 “현대인들이 중독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한다.강한 자극은 뇌신경전달물질 균형을 교란해 우리 몸이 그런 자극을 계속 원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