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베트남 노동자 평균 임금, 상반기에만 7.4% 상승 2024-07-31 22:48:27
베트남 최저임금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가장 임금이 높은 하노이·호찌민의 경우 이제 월 496만 동(약 27만원)까지 올랐다. 이는 10년 전과 비교하면 80% 가까이 치솟은 것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또 민간보다 상대적으로 박봉인 공무원 최저임금은 월 234만 동(약 12만7천원)으로 30% 인상됐고 공무원 연금액은 15%...
KB손해보험, 3년 만에 희망퇴직 실시…115명 퇴직발령 2024-07-31 19:12:19
직원으로 임금피크제 진입자와 예정자도 포함됐다. 희망퇴직자는 최대 월급여 36개월 분의 특별퇴직금 외에 생활안정자금, 전직지원금 또는 학자금, 본인과 배우자 건강검진비 등을 지급 받으며, 희망자에 한해 계약직 재고용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KB손해보험은 이번 희망퇴직 조치에 대해 "향후 인력 재배치를...
KB손보, 115명 희망퇴직 발령…"3년만에 인력재배치" 2024-07-31 18:20:38
직원으로, 임금피크제 진입자와 예정자도 포함됐다. 최대 월급여(연급여의 1/12) 36개월분의 특별퇴직금을 지급하고, 추가로 생활안정자금, 전직지원금 또는 학자금, 본인과 배우자 건강검진비 지급과 희망에 따라 계약직 재고용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KB손해보험 관계자는 "승진 적체 등에 있어 숨통이 트일...
[르포] 사도광산 조선인 노동자 전시실 가보니…'강제'는 없었다(종합) 2024-07-28 21:31:00
광산 노동자 생활'이라는 이름이 붙은 전시실은 입구에서 복도를 지나고 계단을 올라가니 나타났다. 전시실 공개에 맞춰 배포된 안내 자료에 따르면 전시실 위치는 옛 어료국 사도지청 건물 2층이었다. 전시실은 면적이 약 22㎡로 그다지 넓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입구 오른쪽에는 1935∼1954년 무렵 사도 광산에서...
[르포] 日사도광산 박물관에 "조선인 가혹한 노동"…'강제'는 빠져 2024-07-28 18:19:34
광산 노동자 생활'이라는 이름이 붙은 전시실은 입구에서 복도를 지나고 계단을 올라가니 나타났다. 전시실 공개에 맞춰 배포된 안내 자료에 따르면 전시실 위치는 옛 어료국 사도지청 건물 2층이었다. 전시실은 면적이 약 22㎡로 그다지 넓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입구 오른쪽에는 1935∼1954년 무렵 사도 광산에서...
필리핀 가사도우미 신청자 몰려…대다수는 맞벌이 가정 2024-07-27 20:11:38
있다. 최저임금, 4대 보험비 등을 고려할 때, 하루 4시간 서비스를 이용하면 월 119만원가량이 든다. 시범 사업을 신청한 가정 유형을 보면 맞벌이가 234가정(62.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다자녀 64가정(20.6%), 임신부 43가정(13.9%), 한부모 10가정(3.2%) 순이었다. 자녀 수는 1자녀가 138가정(44.5%)으로 가장 많았고...
"이모님 모실게요"…하루 4시간이면 월 119만원 2024-07-27 17:55:25
있다. 비용은 시간당 최저임금(올해 9천860원)과 4대 사회보험 등을 포함, 하루 4시간 이용한다면 월 119만원가량이다. 신청 방법은 서비스 제공기관인 ㈜홈스토리생활(대리주부) 또는 ㈜휴브리스(돌봄플러스) 앱에 회원 가입을 한 다음 '서울시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을 클릭하면 된다. (사진=연합뉴스)
병장 월급과 비슷한 9급 1호봉…"최소 월 16만원 인상해야" 2024-07-22 14:18:35
△2025년 공무원 임금 31만3000원 정액인상 △정액 급식비 8만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각 3만5000원 인상 △낮은 연차 공무원 처우개선을 위한 정근수당 지급기준 개선 △공무원 임금 현실화를 위한 봉급조정수당 지급 및 현실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등 6개 사항을 요구했다. 하지만 정부가 정액 인상에...
[천자칼럼] "북한은 뇌물공화국" 2024-07-21 17:13:50
배급제여서 임금 개념이 희박하다. 국제앰네스티 등 인권단체와 탈북자에 따르면 주민 대부분이 월급을 못 받고, 받더라도 북한 환율 기준 1달러에도 못 미친다. 배급제가 붕괴한 뒤에도 마찬가지다. 한 탈북자는 “오히려 직장에 자기 돈을 갖다 바쳐야 한다”고 폭로했다. 배급이 끊어지자 장마당이 형성됐고, 여기에서...
[토요칼럼] '육아퇴직'의 또 다른 가치 2024-07-19 17:56:15
고용 경직성이 여성의 지속 가능한 사회생활을 가로막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사회에서 고용 유연성이 터부시되는 건 고용주의 착취가 만연했던 산업화 시절에 대한 기억과 외환위기 당시 대규모 정리해고의 트라우마 때문인지 모른다. 하지만 고용이 경직돼 있다는 건 취업이 경직돼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선진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