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저비용항공사, 항공기 신규도입 주도…작년 21대 중 18대 2018-02-06 11:00:10
3월 항공법에 따라 최초로 9대를 등록한 이후 2007년 418대, 2010년 514대, 2013년 623대, 2016년 761대 등으로 증가해왔다. 용도별로 보면 운송사업용 369대(46.6%), 비사업용 221대(27.9%), 항공기사용사업 172대(21.7%), 소형항공운송사업 30대(3.8%) 순으로 집계됐다. 운송사업용 369대를 항공사별로 보면 대한항공이...
[현장+] 교육부터 보험까지…LGU+, 드론과 '자유'를 꿈꾸다 2018-01-25 16:16:58
충분하지는 않다"며 "희망적인 것은 항공법이 개정되면서 드론이 법적으로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는 것이다"라고 언급했다.이어 "이후 9~10개월만에 비가시권 승인이라는 빠른 승인을 정부가 내린 것을 보면 정부가 4차산업혁명에서 드론을 중요 산업군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며...
'규제 제로' 중국 vs '규제 지옥' 한국 2018-01-22 17:13:40
비행금지구역이 따로 없나 보네요.” 전파법 항공법 등으로 서울 곳곳이 비행금지구역으로 묶여 있는 한국과는 다른 세상이었다. dji의 선전 본사에서 만난 회사 관계자는 “창업 이후 지금까지 규제로 어려움을 겪어본 기억이 없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해 6월에야 드론 소유등록제를 시행했다.중국판...
['땅콩 회항' 조현아 사건 일지] 2017-12-21 21:43:03
= 국토교통부, 항공법 및 항공안전및보안에대한법률, 운항규정 위반 여부 조사 결정. 대한항공, 입장 자료를 통해 사과. ▲ 12.10 = 참여연대 노동사회위원회, 조 부사장 서부지검에 고발. 조 부사장, 대한항공 부사장직 사퇴. ▲ 12.11 = 검찰, 대한항공 압수수색 및 조 전 부사장 출국금지. ▲ 12.12 = 조 전 부사장,...
미군 파일럿, 제트기로 하늘에 '이상한 형상' 그렸다 적발 2017-11-18 06:37:39
받을 것으로 보이지만, 항공법 위반 혐의로 법적 처벌을 받을 가능성은 작다고 미 언론들은 설명했다. 연방항공관리청(FAA)은 이번 해프닝에 대해 "'공중 글씨쓰기'가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지 않았다면 우리가 할 일은 없다. 도덕성을 감시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전해왔다. leslie@yna.co.kr (끝) <저작권자(c)...
'비행금지구역' 서울광장서 첫 드론레이싱 국제대회 열려 2017-11-12 14:29:54
하나로 마련됐다. 항공법상 비행금지구역은 원칙적으로 드론 운행이 금지되나 관계 기관의 승인을 얻으면 비행이 가능하다. 경량 드론은 승인이 불필요하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외 정상급 선수 16명이 출전해 실력을 겨뤘다. 이 가운데 강창현 선수가 우승을 차지, 상금 700만원과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드론레이싱 외에...
"김해신공항은 정치적 산물… 가덕도 대안 검토해야" 2017-11-08 22:51:18
항공법에 의한 장애물 조사와 분석이 없다"며 밝혔다. 최 박사는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현행 항공법 81조에 근거해 김해신공항을 건설하려면 인근 산봉우리 3곳 등 약 6천600만 입방미터(㎥)의 장애물 절취가 불가피하고 소음 관련 검토는 전혀 다뤄지지 않은 점은 큰 문제"라고 밝혔다. 그는 "김해신공항 건설사업 타당성...
"김해신공항은 정치적 산물… 가덕도 대안 검토해야" 2017-11-08 17:44:58
항공법에 의한 장애물 조사와 분석이 없다"며 밝혔다. 최 박사는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현행 항공법 81조에 근거해 김해신공항을 건설하려면 인근 산봉우리 3곳 등 약 6천600만 입방미터(㎥)의 장애물 절취가 불가피하고 소음 관련 검토는 전혀 다뤄지지 않은 점은 큰 문제"라고 밝혔다. 그는 "김해신공항 건설사업 타당성...
문재인 정부 규제개혁의 핵심은 '포괄적 네거티브' 2017-10-19 09:00:05
다른 사례를 들면 드론의 경우 항공법 시행규칙에 농업·촬영·관측 분야에만 허용한다고 규정돼 있던 것을 국민안전·안보 등을 저해하는 경우 이외에는 모든 분야에 개방함으로써 각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드론이 등장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한 것이다. 정부는 기존 규제에도 불구하고, 신사업을 시도해 볼 수 있도록...
文정부, 미래 산업환경에 맞춰 각종 규제 '재설계' 착수 2017-09-07 15:30:01
항공법 시행규칙에 농업·촬영·관측 분야에만 허용한다고 규정돼 있던 것을 국민안전·안보 등을 저해하는 경우 외에는 모든 분야에 개방했다. 새 정부는 한 발 더 나아가 신산업·신기술이 법령 개정 없이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의 주요 개념과 용어의 정의를 '포괄적'으로 개정하고, 제품·서비스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