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000번 넘게 공연했는데도…호두까기 인형 아직 설렌답니다 2024-12-12 17:19:17
한 번도 한 적이 없네요.” 클라라는 강미선에게 어린 시절부터 꿈과 같은 존재였다. 초등학교 시절엔 ‘어린 클라라’를 연기하는 초등학교 6학년 언니들이 부러웠다. 선화예술중 시절엔 유난히 발레를 잘한 학우들이 어린 클라라를 맡아서 또 부러웠다. “어린 클라라를 끝내 할 수는 없었지만 호두까기 인형의 무대에서...
합병 무산된 두산, 비핵심자산 매각·협업 방안 찾는다 [취재현장] 2024-12-12 15:40:01
산업부 강미선 기자와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강 기자, 먼저 이번 결정의 배경과 무산으로 투자 여력 확보를 어느 정도 놓친 건가요? <기자> 인수합병을 통해 두산에너빌리티는 약 1조2,000억원의 투자여력을 마련할 수 있었는데 실패로 돌아간 겁니다. 회사 측은 이 자금을 전부 원전 사업에 투입해 내년 상반기...
고려아연 23일 주총서 표대결...막판 세 결집 총력 2024-12-03 17:58:41
분쟁의 향방을 가를 중요한 자리로 평가되는데요. 강미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고려아연이 다음달 23일 임시 주주총회 개최를 확정했습니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이 임시 주총 소집을 자체 결정한 것은 의장권을 놓치지 않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됩니다. MBK·영풍 측과 임시 주주총회 개최 관련 법정 소...
현대차, 착용 로봇 '엑스블 숄더' 공개…로봇 양산시대 연다 2024-11-28 08:30:00
전략입니다. 보도에 강미선 기자입니다. <기자> 양쪽 팔뚝 사이에 마치 근육처럼 단단한 라인이 들어간 1.9kg의 조끼. 작업자의 어깨와 팔 근력을 보조해 주는 착용형 로봇입니다. 지금 엑스블 숄더 로봇을 착용했는데요. 걸리적거림이 없이 매우 가볍습니다. 이렇게 위를 바라보는 현장에서 어깨 움직임을 보조해...
한 달 일찍 피어난 발레의 꽃…각양각색의 '호두까기 인형' 2024-11-21 18:26:27
드미 솔리스트(군무진 바로 위 등급)까지 주역을 기용했다. 역시 올초부터 주역에 빠짐없이 캐스팅된 솔리스트 이유림이 여주인공 클라라가 됐고 그와 호흡을 맞추는 호두까기 왕자 역할로는 임선우가 캐스팅됐다. 이 발레단의 대표 수석무용수 부부인 강미선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의 무대도 예정돼 있다. 이해원 기자...
첫 청정수소 발전시장 열렸지만…공기업 잔치 2024-11-19 18:14:41
불참했습니다. 강미선 기자입니다. <기자> 세계 최초 청정수소 발전사업 우선협상대상자가 오는 22일 발표됩니다. 이번 입찰 물량은 총 6,500GWh(킬로와트시)로, 약 740만 명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입니다. 사업자로 선정되면 15년간 수소로 생산한 전력을 공급하게 됩니다. 평가를 좌우하는 최대 요소는...
대동, AI 농업 가속화…"로보틱스 매출 2029년 1300억" 2024-11-17 16:25:51
농업 현장에서 어떻게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지, 강미선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무인으로 작업할 수 있는 자율주행 트랙터입니다. 운전자가 없어도 원격으로 날씨와 시간 제한 없이 작업할 수 있는데요. 이곳 김제 평야 기준 수확량이 16% 이상 증가했습니다. 국내 1위 농기계 기업 대동은 무인 자율주행...
트럼프, 보조금 폐지 가닥…K전기차 밸류체인 '휘청' 2024-11-15 14:51:57
현재 어떤지 강미선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업계에서는 아직 지켜보자는 입장입니다. 자동차와 배터리 업계도 미국 대선 이후 여러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어 당장 보조금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이라는 분위기입니다. 또 기존 행정명령을 폐지하려면 의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의...
트럼프 재집권, 韓 자동차·철강 업계에 '보호무역 경고등' 2024-11-11 18:09:27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강미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트럼프 재집권 이후 한국 자동차와 철강 업계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올해 한국 자동차 수출의 절반 이상이 미국 시장으로 향합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의존도가 높은 만큼 트럼프 행정부가 10~20%의 관세를 부과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