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이웃 은하서 태양 5천만 개 질량 가스흐름 포착…별 폭발 잔해" 2024-04-22 09:00:01
[사이테크+] "이웃 은하서 태양 5천만 개 질량 가스흐름 포착…별 폭발 잔해" 호주 연구팀 "초속 200㎞ 속도로 방출된 가스 2만 광년 길이 흐름 형성"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3천6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처녀자리 은하단(Virgo cluster)에서 별의 거대한 폭발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태양 5천만 개 질량의 가스...
[사이테크+] 빅뱅 7억년 후 우주에서 별 탄생 멈춘 '죽은' 은하 발견 2024-03-07 07:34:49
것은 우주 진화 초기에는 예상치 못한 일이라며 이 은하의 '멈춤' 상태가 일시적인지 영구적인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는 불분명하다고 말했다. 루저 박사는 "우주의 처음 수억 년은 매우 활동적인 시기로 많은 가스 구름이 붕괴해 새로운 별을 형성했고 모든 것이 더 빠르고 극적으로 일어난 것 같다"며 "여기에는...
[사이테크+] 빅뱅 4억년 후 초대질량 블랙홀 포착…관측 사상 最古 블랙홀 2024-01-18 05:00:01
소형 은하로, 블랙홀이 은하의 발달을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발견된 블랙홀의 거대한 크기는 블랙홀이 기존 이론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블랙홀이 애초에 '크게 태어났거나'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는 속도가 생각했던 것보다 5배 이상 빠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美연구진 "초창기 우주는 원형 아닌 길쭉한 바나나 모양" 2024-01-06 19:45:53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신생 은하 이미지 약 4천장을 분석한 내용을 담은 논문을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에 제출, 곧 게재될 예정이다. 현존 최고 사양의 우주망원경인 웹 망원경은 거대한 거울과 적외선 센서로 우주 먼지와 가스구름을 뚫고 원거리 파장까지 포착해 가장 멀리 있는 은하, 즉 초창기 은하를...
[사이테크+] 출처 불명 초고에너지 우주선 포착…현대물리학으론 설명 불가 2023-11-24 04:00:00
우주공간을 지나오면서 중간에 있는 은하 등의 자기장 영향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애초 출발점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오마이갓이나 아마테라스 입자처럼 에너지가 큰 우주선은 자기장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날아온 방향을 역추적하면 발생원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아마테라스가 날아온 방향...
[사이테크+] 초기 우주 어린 은하 밝은 빛 비밀은…"폭발적 별 형성 섬광" 2023-10-04 10:10:53
[사이테크+] 초기 우주 어린 은하 밝은 빛 비밀은…"폭발적 별 형성 섬광" 美 연구팀 "초기우주 거대은하는 질량 큰 게 아니라 섬광 탓에 커 보이는 것"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 초기 관측에서 발견된 빅뱅(Big Bang) 수억 년 후의 거대은하들은 실제로 거대한 게 아니라 어린 은하에서...
5번째 여성 수상자 나온 177번째 노벨물리학상…역대 수상자는 2023-10-03 19:42:41
거대자기저항(GMR) 발견에 기여 ▲ 2006년: 존 매더·조지 스무트(이상 미국) =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의 흑체 형태와 이방성(異方性) 발견, 은하와 별의 기원 연구에 기여 ▲ 2005년: 로이 글로버(미국) = 양자 광학이론 이용, 빛의 결맞음 이론 정립 공헌 존 홀(미국)·테오도어 헨슈(독일) = 레이저 정밀 분광학 개발...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 옆 거대한 산소구름 2023-09-17 13:33:54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 옆 우주공간에 활처럼 휜 거대한 푸른빛 플라즈마 구름(사진)이 처음 발견됐다. 17일(현지시간) 영국 그리니치천문대는 ‘올해의 천문 사진가’ 공모전 대상에 안드로메다 은하(M31)의 새로운 모습을 담은 ‘뜻밖의 안드로메다’를 선정했다. 이 사진은 3명의 아마추어 천문 사진가가 프랑스 파리...
日 '달 저격수' 로켓 발사…세계 5번째 착륙 도전 2023-08-27 17:36:47
“은하 중심부 등 우주에서 가장 뜨거운 곳을 주로 관측하며 항성 폭발 이후 발생한 가스 구름이나 초거대 블랙홀이 뿜어내는 광속에 가까운 입자 흐름을 분석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은 작년 12월 다누리가 달 궤도에 안착하면서 세계 일곱 번째로 달 탐사선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2032년 달 착륙선 발사를 목표로...
"우주 가속팽창 암흑에너지, 아인슈타인 우주상수 아니다" 2023-08-07 19:40:02
0.8까지 도달하는 거대한 은하 탐사인 슬로운디지털천구측량(SDSS) 자료를 이용해 암흑에너지의 상태방정식 값을 정밀하게 측정해보니 그 값이 -1과 분명히 다름을 밝혀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SDSS의 은하들이 뭉쳐있는 형태가 시간에 따라 거의 바뀌지 않는다는 성질을 발견하고 이를 알콕-파친스키 방법이라는 우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