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프린세스가 내게 물었다…어서와 승마는 처음이지? 2021-05-27 17:23:21
사극 속 고구려인처럼 타는 건 당돌한 기대였다. 50분 동안 말 위에 앉아있었을 뿐인데 허벅지가 후들거렸다. 지난 18일 경기 고양시 ‘로얄새들승마클럽’을 찾았다. 승마의 시작은 말과의 교감이다. 기자가 이날 타게 된 말의 이름은 ‘프린세스’. 가까이서 본 말은 생각보다 거대했다. 소심하게 말의 머리를 쓰다듬으며...
몽골·티베트 등 아시아 각지로 흩어진 고구려 유민…불모지 개척, 접경세력과 전투에 이용당했다 2021-05-24 09:00:12
716년에 간토 지역 7개 군에 흩어져 살던 고구려인 1799명을 모아 무사시(武藏, 사이타마현) 지역에 고마군(高麗郡)을 설치했다(《속일본기》). 수장은 고구려 사신단의 부사였던 약광(若光)이었는데, 사후에 ‘고려명신(高麗明神)’으로 히다카(日高)시 고마(高麗)신사의 신주로 모셔졌다. 고구려인 정착 1300주년인...
고구려 멸망이후 10년 끈 나·당 전쟁 이겼지만 대륙 잃은 한민족, 동아지중해 조정역할 약화 2021-05-17 09:00:13
찬 고구려인이었다. 국제관계로 봤을 때 튀르크인이나 소그드인 상인들의 도움을 받았을 테지만 초원과 산록, 사막을 지나 무려 4000여㎞를 행군한 것이다. 구국외교에 실패한 고구려인들은 그 후 어떻게 됐을까? 당나라는 667년 9월부터 고립무원인 고구려를 총력을 기울여 공격했다. 다음해인 668년 6월 말부터 7월 초...
성주 양만춘의 지도력과 고구려인의 자유의지, 고립무원 상태의 안시성 '승리의 기적' 이끌어냈다 2021-05-03 09:00:55
《고구려 해양사연구》). 고구려인 자유의지가 창조한 기적안시성의 승리는 국가시스템, 기술력, 경제력 그리고 성주 양만춘의 지도력과 고구려인의 자유의지가 창조한 ‘기적’이었다. 그런데 중국 사료와 당 태종을 칭송한 《삼국사기》는 이름 없이 그저 ‘안시성 성주’로만 기록했다. 괴이한 역사기록과 사람들이다....
수 대체한 당, 주변국 복속하며 중화중심 체제 노려…내분 휩싸인 고구려, 당과 백제·신라 연결 차단 주력 2021-04-26 09:02:24
말을 타고 고구려 영토를 질주하면서 고구려인이 돼가던 나는 요동으로 건너가 안시성을 찾았다. 산 위로 올라가 점장대 자리에서 성안의 골짜기와 멀리 산들을 바라보던 중 두 단어가 떠올랐다. ‘기적’ 그리고 ‘자유의지(free will)’였다. 둘레 4㎞에 불과한 이 산성에서 당 태종이 지휘하는 최강의 10여만 대군을...
치밀한 준비로 수나라와 16년 전쟁 승리한 고구려…동아시아 종주권 확고히 하며 위상 한껏 드높여 2021-04-19 09:01:12
격퇴했다. 또한 고구려인의 자유의지와 힘, 애국심과 강이식, 고건무, 을지문덕 같은 인재들을 활용했다. 미·중의 ‘새 그레이트 게임’에 낀 잼너트(jam nut: 큰 너트 사이에 넣는 얇은 작은 너트) 상태로 전락하는데도 사분오열된 채 사대주의와 반도사관에 허우적거리는 지금의 한민족은 과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中박물관 "발해는 당나라 지방정권…융합 거쳐 중화민족 돼" 2021-04-18 07:07:07
전문가 "고구려인이 세운 국가…중화민족은 후대 개념" 반박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최근 한국과 중국간 역사·문화 분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측이 한국 고대사인 발해(698~926년)에 대해 자국 역사상 지방정권 정도로 서술하고 있는 것으로 18일 확인됐다. 과거 발해가 있었던 중국 지린(吉林)성의...
진주만공습 사진 싣고 '대동아전쟁' 미화 우익교과서 검정 통과(종합) 2021-03-30 21:20:57
광개토대왕비의 관련 내용은 당시 고구려인이 과장해서 서술한 것으로 인식하는 최근 연구 경향에 배치되는 서술이라고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는 평가했다. 임나(가야)의 영역을 과장되게 묘사한 지도와 중국에 조공한 목적이 한반도 남부에 대한 군사적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기술도 임나일본부설에 입각한...
[속보] `임나일본부설` 日우익 역사교과서 검정 통과 2021-03-30 19:27:03
임나 병합 시기와 연결하는 것이 당시 고구려인이 과장해서 서술한 것으로 인식하는 최근 연구 경향에 배치되는 서술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이 교과서에는 임진왜란을 `조선출병`으로 기술했고, 지도의 제목을 `조선출병지도`라고 기술했다. 일본이 일으킨 태평양전쟁은 `대동아전쟁`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러일전쟁에 ...
'임나일본부설' 입각 日우익 역사교과서 검정 통과 논란 2021-03-30 18:30:09
광개토대왕비의 관련 내용은 당시 고구려인이 과장해서 서술한 것으로 인식하는 최근 연구 경향에 배치되는 서술이라고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는 평가했다. 임나(가야)의 영역을 과장되게 묘사한 지도와 중국에 조공한 목적이 한반도 남부에 대한 군사적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기술도 임나일본부설에 입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