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전자, 1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밑돌 전망"-LS 2025-02-05 08:49:31
HBM이 더욱 돋보이기도 하기 때문"이라며 "128GB 고용량서버메모리모듈(RDIMM)의 수익성은 HBM과 유사한 수준인 만큼 메모리 반등에서는 경쟁사와의 수익성 차이가 축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요 인공지능(AI) 칩 공급자가 플래그십 제품군에 지속해서 경쟁사 HBM을 선호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하지만 ASIC...
포스코퓨처엠, 지난해 순손실 2천억..."바상경영 돌입" 2025-02-03 17:10:45
혁신과 함께 연구 개발(R&D)을 강화하여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계획이다. 프리미엄 제품인 하이니켈 양극재뿐만 아니라 중저가 신제품을 연구 개발하고, 저팽창 천연흑연, 고용량 실리콘탄소복합체 음극재 등을 만들어 글로벌 음극재 시장도 선점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28년까지 전고체 배터리용과 건식...
"올해도 노사관계 변수"…K반도체, 연초부터 발목 잡히나 [김대영의 노무스쿨] 2025-02-03 13:00:04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31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올 1분기 반도체 분야 약세가 지속되면서 실적 개선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회사는 "DS부문은 상반기에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장기 경쟁력 강화와 고용량·고사양 제품의 포트폴리오 구축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대영...
포스코퓨처엠 작년 2천313억원 순손실…적자 전환(종합) 2025-02-03 12:47:06
음극재에서도 저팽창 천연흑연 음극재, 고용량 실리콘탄소복합체(Si-C) 음극재 등 고부가제품 개발을 통해 세계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포스텍 등과 협업해 미래 시장을 주도할 차세대 전지용 소재 개발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배터리 산업의...
LG '스탠바이미 2' 출시…"AI가 맞춤 화면 제공" 2025-02-02 18:21:01
전작의 후방향 스피커보다 사운드가 훨씬 또렷해졌다. 또 고객 편의성을 강화했다. 원거리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하이 LG, 스포츠 경기 결과 알려줘” “볼륨 높여줘”라고 말하면 제품에 장착된 마이크가 인식해 작동한다. 고용량 배터리를 적용해 전원 연결 없이 최대 4시간 사용할 수 있다. 가전 구독 서비스로도...
LG전자, 스탠드 분리형 '스탠바이미2' 출시 2025-02-02 10:35:06
있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고용량 배터리 탑재로 더 선명하고 오래가는 ‘LG 스탠바이미2’를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LG 스탠바이미2는 '이동식 라이프스타일 스크린'인 ‘LG 스탠바이미’의 4년 만에 선보이는 신제품이다. LG전자는 후속작에 바라는 고객의 목소리를 제품 기획 단계부터 반영,...
LG전자 히트작 스탠바이미2 출시…이동성 편리성 강화 2025-02-02 10:28:53
제품에 탑재된 마이크가 이를 인식해 작동한다. 고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전원 연결 없이 최대 4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다. 가전 구독 서비스로도 이용할 수 있다. 국내 출하가는 129만원이다. 백선필 LG전자 TV상품기획담당은 "고객 목소리를 담아 완전히 새로워진 스탠바이미 2를 앞세워 고객에게 나만의 공간에서 즐기는...
LG전자, 이동성·사용성 강화 '스탠바이미 2' 국내 출시 2025-02-02 10:00:00
기존 제품보다 화질이 향상됐으며, 고용량 배터리 탑재로 전원 연결 없이 최대 4시간 사용한다. 또 화질·음질 인공지능(AI) 프로세서 알파8 2세대를 탑재, AI가 영상과 사운드를 분석하고 보정해 콘텐츠에 최적화한 화면과 서라운드 사운드를 전달한다. LG전자는 후속작에 바라는 고객 목소리를 제품 기획 단계부터 반영,...
삼성 영업익 급감 경보…2분기 HBM·파운드리 '큰손' 확보 사활 2025-01-31 17:46:48
샘플을 공급했다. 삼성전자는 최첨단 공정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해 고용량 고성능 제품 판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D램은 10나노미터(㎚·1㎚=10억분의 1m) 5세대(1b 나노) 제품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서버용 DDR5와 PC·모바일용 LPDDR5X의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32기가비트(Gb) DDR5 기반의 256기가바이트(GB)...
아쉬운 반도체 실적에…삼성전자 CFO "지지해달라" 말까지 2025-01-31 15:47:43
경우 고객사 재고 조정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고사양·고용량 제품 수요 대응을 위한 첨단 공정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라고 했다. D램의 경우 1b 나노 전환을 가속화한다. DDR5와 저전력더블데이터레이트(LPDDR)5X 공급 비중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낸드는 V6에서 V8 공정 전환을 진행하고 서버용 V7 QLC S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