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 1월 소매판매 0.9% 하락 2025-02-14 23:25:15
소비 중 상품 판매 실적을 주로 집계하는 속보치 통계로, 미국 경제의 중추인 소비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여겨진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기준금리 인하 또는 동결 등 통화 신용 정책을 펼 때 물가 고용과 함께 소매판매지수도 고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소매판매 감소의 요인으로 연초 지출 감소, 고금리 지속...
[MZ 톡톡] 세대 소통의 지름길, 디지털 전환 2025-02-14 17:45:51
발간한 주요 유통채널 매출 통계를 보면 온라인 매출이 오프라인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2023년에는 전체 유통업체 매출에서 온라인 매출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50.5%로 절반을 넘어섰다. 이 추세는 앞으로도 꺾이기 힘들어 보인다. 무엇이든 비대면으로 처리해야 했던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속페달을 밟기는 했지만 꼭...
일자리사업 재개에 취업자↑…청년·건설업은 '고용 한파'(종합2보) 2025-02-14 10:54:06
건설업·부동산업·도소매업에서 고용이 부진했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22만4천명, 임시직이 7만2천명 증가했다. 일용직은 11만6천명 감소했다. 상용직 비중은 58.9%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2만1천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7천명, 무급가족종사자는 1만8천명...
건설업 취업자 17만명 줄어…건설 경기 불황에 최대 폭 감소 2025-02-14 08:50:37
취업자도 약 22만명 줄어 4년 만에 가장 많이 감소했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787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3만5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의 여파로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가 5만2000명 감소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1월 취업자 늘었지만...건설업 '최대 감소' 쇼크 2025-02-14 08:17:53
큰 폭으로 줄었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787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5천명 증가했다. 작년 12월에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 영향으로 5만2천명 줄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건설 경기 불황으로 건설업 취업자가 16만9천명 줄어...
[속보] 1월 취업자 13.5만명 증가…한 달 만에 증가 전환 2025-02-14 08:06:43
일자리도 감소세가 이어졌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도 크게 줄면서 고용률 낙폭도 커졌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787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5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 영향으로 5만2000명 줄어들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2보] 1월 취업자 13만5천명↑…건설업 17만 '집계이래 최대' 감소 2025-02-14 08:05:40
큰 폭으로 줄면서 고용률 하락 폭도 커졌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787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5천명 증가했다. 작년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 영향으로 5만2천명 줄어들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 취업자가...
"우울증 치료도 '오픈런' 해야할 판"…3분 만에 '화들짝' 2025-02-13 20:02:01
있다.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는 경기 침체, 고용 불안, 직장 내 스트레스, 개인적인 사유 등으로 정신 건강 문제를 겪는 국민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3분이면 마감돼요"…정신과도 오픈런 시대정신 건강 문제를 겪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인기 있는 정신과는 매월 초 티켓팅으로 선착순 마감되거나 초진 환자 기준 최...
기후변화부터 다문화까지…통계청, 2025 농림어업총조사 벌인다 2025-02-12 17:57:17
내 다문화 가구와 외국인 고용 현황을 조사해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농어촌 실태를 보다 면밀히 분석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읍·면 단위 통계에서 벗어나 약 3만7000개 행정리 수준의 생활시설과 경계에 대한 공간 정보를 바탕으로 더욱 세밀한 소지역 통계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산재로 장기요양 급증"…제도 개선 목소리 2025-02-11 13:52:04
통계는 공개돼 있지 않아 가장 대표적인 산재 질병인 근골격계 질병과 산재신청 다발 업종인 조선 및 자동차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2월 산재보험 제도 특정감사 결과 발표를 통해 산재요양 장기화 문제 등의 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혔으나 산재근로자 장기 요양 경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