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사진 송고 LIST ] 2018-10-29 17:00:02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기념탑 10/29 16:51 지방 강종훈 유리벽에 둘러싸인 광개토대왕릉비 10/29 16:51 지방 강종훈 헤이그 특사가 잠든 수이푼 강 10/29 16:52 지방 강종훈 최재형 처형 언덕에서 아리랑 연주 10/29 16:52 지방 최영수 서울시 차기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최지 10/29 16:52 서울 강민지...
독립운동 발자취를 찾아서…만주에 서린 한과 얼 2018-10-29 12:00:11
듯 관광명소처럼 꾸며져 씁쓸함을 자아냈다. 광개토대왕릉비는 사면이 유리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높이 6.39m 거대한 비석이 유리관 안에 갇혀 있고, 유리관 내부에서는 사진 촬영도 금지됐다. CCTV로 유리관 내부를 감시해 사진 촬영하면 제재한다고 한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이후 고구려...
[길따라 멋따라] 도토리 떨어지는 소리…서삼릉·서오릉 나들이 2018-10-08 15:08:10
것은 서삼릉으로 접어드는 길 초입에 광개토대왕릉비와 똑같은 비석을 찾아볼 수 있다. 이곳에서 30년 넘게 식당을 해 온 한 사업가가 수년 전 직접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광개토대왕릉을 방문해 실제와 똑같은 모양과 크기로 제작해 한국으로 들여왔다. 광개토대왕릉비 뒤쪽으로 들어서니 각종 장류가 가득한 장독...
경기북부 대학생, 중·러-북한 접경지서 통일 탐방 2018-07-30 07:36:13
돌아봤다. 또 광개토대왕릉비, 장수왕릉(장군총), 발해성터 등 고구려·발해 유적지, 백두산과 두만강·압록강변에서 북한 지역을 조망하며 평화통일과 민족번영을 기원했다. 특히 북·중 교역거점인 도문-남양통상구와 북·중·러 사이에 있는 통상구인 권하세관·권하대교 일원을 둘러보고 실제 현지 무역 종사자로부터...
[ 사진 송고 LIST ] 2018-03-13 10:00:01
03/13 08:01 서울 전수영 탑평리 칠층석탑 상륜부 03/13 08:01 서울 전수영 광개토대왕릉비 탁본 03/13 08:01 서울 전수영 충주 고구려 비 전시관 내부 03/13 08:01 서울 전수영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03/13 08:01 서울 전수영 ‘중앙탑’이라고 불리는 탑평리 칠층석탑 03/13 08:01 서울 전수영 장군총...
[연합이매진]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고구려비 2018-03-13 08:01:08
지린성 지안현의 광개토대왕릉비 탁본, 황해남도의 안악 3호분과 개마무사 관련 자료를 통해 고구려의 흔적을 만나볼 수 있다. 홍문희 문화관광해설사는 "장수왕이 아버지인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광개토대왕릉비를 세웠듯이 문자왕도 할아버지인 장수왕의 영토확장에 대한 공을 기리기 위해 충주 고구려비를...
경상대, 복합문화공간 '박물관·고문헌도서관' 개관 2018-02-21 14:08:19
경상대학교 총장이 기증한 광개토대왕릉비 탁본 재현품이 원형 크기로 전시됐다. 경상대는 앞으로 170석 규모의 대강당과 50석 규모의 교육실에서 지역민을 위한 다양한 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상경 경상대 총장은 "경상대 박물관과 고문헌도서관은 대학을 넘어 지역민 모두에게 활짝 열려 있는, 대학과...
인천 송암미술관, 광개토대왕릉비 새 단장 무료 공개 2018-01-25 15:31:36
광개토대왕릉비의 탁본을 구해 실물 크기로 재현했다. 섬유강화플라스틱(frp)로 만들어졌으며, 높이 6.39m 폭 1m가 넘는 대형 비석이다. 광개토대왕릉비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로, 아들인 장수왕이 414년에 세웠다. 자연석으로 만들어졌으며, 개석(蓋石)이 없는 고구려 석비 특유의 형태를 갖고 있다. 호방한...
[아나톨리아 연대기④] 중국을 떨게 한 고구려·돌궐 연대(종합) 2017-07-31 00:11:16
4면 모두가 사용되는 독특한 비석이 제작됐다. 광개토대왕릉비가 대표적이다. 고구려 특유의 4면비는 제2돌궐제국에서도 나타난다. 돌궐의 비석은 6세기까지 중국 비석과 같은 2면 형태였지만 8세기초부터 4면비 형태로 바뀐다. 그 사이 고구려가 무너지고 그 유민이 당과 돌궐 등에 흩어졌다. 조 교수는 668년 고구려...
[아나톨리아 연대기④] 중국을 떨게 한 고구려·돌궐 연대 2017-07-30 12:30:15
4면 모두가 사용되는 독특한 비석이 제작됐다. 광개토대왕릉비가 대표적이다. 고구려 특유의 4면비는 제2돌궐제국에서도 나타난다. 돌궐의 비석은 6세기까지 중국 비석과 같은 2면 형태였지만 8세기초부터 4면비 형태로 바뀐다. 이 시기 고구려가 무너지고 그 유민이 당과 돌궐 등에 흩어졌다. 조 교수는 668년 고구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