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메가서울·교통…접점 없는 '수도권 氣싸움' 2023-11-16 18:26:40
카드 문제, 쓰레기 매립장 등 공통 현안을 논의했다. 경기 김포시의 서울 편입 주장으로 빚어진 세 광역지방자치단체의 갈등을 누그러뜨리는 자리가 됐다는 평이 나온다. 그러나 주요 현안에 대한 시각이 첨예하게 엇갈린 탓에 뚜렷한 결론을 내기는 어려웠다는 평가다.◆교통카드 정기권 통합 논의세 지자체장은 이날 서울...
김포시장 만난 오세훈 "기피시설 안 넘긴다" 2023-11-06 18:22:28
쓰레기매립장 등을 떠넘길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서는 “주민 기피 시설을 (편입이) 논의되는 지자체에 넘기거나 할 생각은 없다”고 했다. 유정복 “실현 불가능한 정치쇼” 직격국민의힘 소속인 유 시장은 이날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메가시티 서울은) 실현 불가능한 허상이자 국민 혼란만 일으키는...
오세훈-김병수 내일 만난다…'서울시 김포구' 논의 2023-11-05 14:21:23
4매립장은 인천시와 김포시에 걸쳐있다.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개장 이후 30년 넘게 서울·경기 쓰레기까지 처리하면서 많은 환경 피해를 겪고 있다며 대체 매립지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앞서 언론 인터뷰에서 김포의 서울 편입으로 인한 효과를 설명하면서 "수도권매립지 제4매립장이 김포 땅이라...
주민친화형 '자원 회수시설' 추진…'시민이 안심하는 자원순환도시'로 순항 2023-07-23 16:23:01
위해 광역위생매립장 만장에 대비한 2-2단계 조성공사를 2020년부터 시작해 지난 5월 완료했다. 이 시설은 이달 중 폐기물을 반입할 계획이다. 송용수 광주시 기후환경국장은 “SRF시설과 공공음식물 자원화 시설 운영을 통해 ‘2045 탄소중립 실현’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앞으로 건립할 자원회수 시설을 안정적인...
오세훈-김동연 "수도권 3자 협의체 만들자" 2022-06-13 17:52:50
공약으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노선 조기 완공과 서울 도시철도 노선의 경기도 연장, 서울·경기도 간 광역버스 신설과 증편 등을 제시했다. 김 당선인도 GTX 노선 연장과 신설, 고속철도(KTX)·수서고속철도(SRT) 연장 등을 공약했다. 3개 광역단체 간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수도권 쓰레기 매립장 운영 연장 문제도...
울산 여천천·태화강역 일대…친환경 생태공원 탈바꿈한다 2022-03-21 17:50:48
둘레길도 조성한다. 매립장과 돋질산을 아우르는 생태숲 조성 사업에는 550억원을 투입한다. 수소복합허브와 연계울산시는 이 사업을 삼산·여천 매립장 바로 옆에 있는 태화강역의 수소복합허브 조성 계획과 연계해 태화강역 주변을 수소 기반 문화·관광·자연이 어우러진 울산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이재현 서구청장 "매립지 종료·GTX-D 직결…쓰레기·교통 지옥에서 벗어나겠다" 2021-05-27 15:57:03
재공모하고 있다.“대형 매립장만을 찾는다면 2500억원의 특별지원금에도 움직이는 지자체는 한 곳도 없을 것이다. 발생지 처리원칙에 입각해 환경부가 주도적으로 폐기물 감량과 재활용, 지자체별 자체 매립장 조성 등 다양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자원순환 신경제모델을 발표했다.“쓰레기 재활용과 처리기술에...
박남춘 “쓰레기 대체 매립지 재공모 참가 안한다” 2021-05-06 15:09:53
가면 서울에도 친환경 쓰레기매립장 부지가 있다고 봅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환경부 장관의 수도권 3개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대체 매립지 재공모 결정에 대해 인천 참가 불가를 재확인 했다. 쓰레기 재활용을 늘리고, 직매립 방식에서 소각재만 매립하는 친환경 쓰레기 정책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대체 매립지...
쌍용C&E, SOC 확대에 시멘트 수요 증가…친환경 사업으로 비용 절감 2021-04-21 15:08:18
일반폐기물 매립장으로 건설하기 위해 지역주민과 협의하고 있다. 또 중장기적으로 추가 폐석회석광산 부지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등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일회용 용기 사용이 늘어 폐플라스틱과 폐비닐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이를 처리할 방법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쌍용C&E의 행보가 주목받는...
울산 성암소각장 1.2호기 재건립 추진...사업비 1900억원 2020-02-11 08:39:05
울산의 생활폐기물 처리 시설은 성암동에 소각장과 매립장으로 구분돼 2012년 10월부터 민간투자 사업으로 위탁 운영되고 있다. 소각장 시설 용량은 1일 650t으로, 하루 평균 552t이 처리되고 있다. 매립장 시설 용량은 261만5천㎥로, 하루 평균 178t의 생활폐기물이 매립되고 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