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하이빔]국제 유가와 유류세, 그리고 수소 2022-04-05 15:33:36
교통에너지환경세법에 규정된 휘발유 1ℓ의 세금은 475원, 경유는 345원이다. 그런데 정부는 30%의 범위 내에서 해당 금액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그래서 지난해 10월까지 10% 높은 교통세를 부과해 왔다. 교통세 10% 인상은 잘 드러나지 않아 국민 저항도 적었던 탓이다. 그런데 국제 유가 상승세가...
[단독] 유류세 인하 30%로 확대…휘발유 ℓ당 82원 내린다 2022-03-27 17:01:59
교통세가 법정세율이 아닌 탄력세율을 기준으로 책정되고 있어 인하폭이 더 커질 수도 있다. 교통세의 탄력세는 529원으로 법정세(475)보다 많아 30%를 할인하면 절대적인 인하금액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유류세는 516원까지 떨어져 휘발유 가격이 58원 추가 인하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폭이...
[다산 칼럼] 유류세 집착 못 버리는 정부 2021-10-28 17:12:26
‘교통세’라는 이름으로 처음 도입됐다. 교통 관련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 필요한 재원 확보가 목적이었다. 10년 동안 운영하기로 했던 교통세가 ‘에너지소비 현대화’와 ‘환경보호’라는 어설픈 핑계 덕분에 ‘교통에너지환경세’로 둔갑해서 살아남았다. 2021년 세수 목표만 15조7000억원에 달한다. 기획재정부는...
기름값 얼마나 내려갈까…휘발유 최대 7%↓·경유 6%↓ 2021-10-24 05:31:22
(*10월 셋째 주 전국 평균 가격. 오피넷) (*교통세는 휘발유 리터당 529원, 경유 리터당 375원(교통·에너지·환경세법 시행령 제3조의2(탄력세율)) *주행세는 교통세의 부가세(26%). 교육세는 교통세의 부가세(15%). 부가세는 공급가액의 10%(여기서는 세금에 붙는 부가세를 별도 계산) ┌──────┬──...
유류세 15% 내리면…휘발유값 120원 싸질듯 2021-10-21 17:10:08
것은 유류세다. 유류세 중에선 교통·에너지·환경세법에서 규정한 교통세 비중이 크다. 세법에 따르면 교통세는 휘발유 L당 475원, 경유 340원으로 정해져 있다. 단 시행령을 통해 30%의 탄력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한 현재 적용 세액은 휘발유 529원, 경유 375원이다. 각각 약 11%, 10%의 탄력세율이 적용됐다....
1800원 넘은 휘발유 가격…유류세 인하하면 얼마나 떨어질까 [강진규의 데이터너머] 2021-10-21 10:34:16
차지하는 것은 유류세다. 유류세 중에선 교통·에너지·환경세법에서 규정한 교통세 비중이 크다. 세법에 따르면 교통세는 휘발유가 L당 475원, 경유가 340원으로 정해져있다. 단 시행령을 통해 30%의 탄력세율을 적용할 수 있도록 돼있다. 이를 반영한 현재 적용 세액은 휘발유 529원, 경유 375원이다. 각각 약 11%, 10%의...
유가 치솟자 유류세 인하 추진 2021-10-20 17:22:09
교통세 529원과 교육세·주행세 등 약 746원(41.1%)이 유류세다. 홍 부총리는 “2018년 사례를 참고해 유류세를 내리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18년 국제 유가가 배럴당 80달러를 넘어서자 그해 11월부터 이듬해 8월까지 유류세를 인하했다. 인하폭은 첫 6개월간 15%, 이후엔 7%였다. 이 조치로 휘발유값은 50~100원가량...
"한국은 세금공화국"…커지는 세제개편 목소리 [이슈플러스] 2020-11-06 12:57:54
지적하는데요. 유류세에 붙는 교통세를 지금보다 30% 정도 내리고 너무 많은 세목도 좀 단순화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앵커> 신기자, 정부의 세금에 대한 인식과 정책 방향 자체에 문제는 없나요?<기자> 지난해 법인세·근로소득세 등 7개 주요 세목 징수액이 162조1,000억 원(국세청 자료)입니다. 2년...
[새해 달라지는 것] 노후차 폐차하고 신차 사면 개소세 70% 감면 2019-12-30 09:00:03
판매 시 교통세 부과 = 등유나 부생연료유 등을 경유 차량용 연료로 판매하면 교통·에너지·환경세를 부과한다. ▲ 휘발유 자연감소 공제율 축소 = 휘발유 자연감소 공제율을 매달 제조장 반출 수량의 0.5%에서 0.2%로 축소한다. 내년 4월 반출물량부터 적용한다. ▲ 해외직구 구매대행자에 대한 연대 납세의무 부과 등 =...
이언주 "유류세에 탄력세율 적용해야" 2019-05-09 14:41:30
교통세, 지방주행세, 교육세 등 고정세금 746원이 붙고 부가세까지 합치면 휘발유 1ℓ에는 870원이 돼, 국제유가가 0원이어도 휘발유 값은 ℓ당 900원 이하로 떨어질 수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이 의원이 2018년 8월 대표 발의한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일부개정법률안‘, ’개별소비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