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사] IBK기업은행 2025-01-17 13:22:51
김정희 △명지국제신도시 이균석 △부산진 류혜영 △부평동 최관홍 △대연동 권은경 △울산무거동 전소라 △성서3차단지 정재홍 △영천 이지은 △외동공단 박금경 △영주 최수경 △왜관공단 윤동한 △오송 박현숙 △천안불당 홍성순 △천안아산역 나경진 △봉선동 김윤화 △완주산단 문경은 △블라디보스토크사무소 강문수...
"올해 韓증시에 기회 있다…미 AI 사이클 올라타야" [2025 한경 트렌드쇼] 2025-01-16 18:43:14
안에 완벽한 신도시가 생겨 단지별 시너지도 극대화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동작구에서 가장 비싼 곳은 흑석 뉴타운인데, 흑석 뉴타운은 첫 단지와 마지막 단지의 입주시기가 20년 가까이 벌어져 적정가격을 책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짚었다. "차·명품으로 과시하던 시대 끝…이젠 '가구'의 시대" 올해...
국토부, 4월에 항공안전 혁신방안 내놓는다…백서 발간도 추진 2025-01-13 16:00:01
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 붕괴 같은 안전사고의 재발을 막는다는 구상이다. 전기차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도 내놓는다. 국토부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 배터리를 진단해 위험단계일 경우 소방당국에 자동으로 알리는 서비스의 시범사업을 오는 4월 시행한다. 다음달엔 정부가 배터리 안전기준 적합 여부 등을...
전국 공항 '콘크리트 둔덕' 손본다…교통·건설 전반 안전 강화 2025-01-13 16:00:00
검단신도시 아파트 사례처럼 구조 설계가 미흡해 발생하는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감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가 우수 감리를 인증하는 '국가인증 감리'를 올해 하반기 중 400명 규모로 처음 선발한다. 인증받은 감리자에게는 입찰 가점과 책임감리 자격을...
[인사]KB금융지주·KB국민은행 2025-01-10 17:19:05
▲명지국제신도시종합금융센터 정광호 ▲호평종합금융센터 정동욱 ▲부산PB센터 조민숙 ▲구로벤처종합금융센터 최갑수 ▲갈산역종합금융센터 최대환 ▲방배PB센터 한선희 (지점장) ▲광복동지점 강대훈 ▲시지지점 강현미 ▲매탄디지털시티지점 곽민규 ▲신림남부지점 구경희 ▲옥포지점 권유봉 ▲별내지점 권혁춘...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에 "내 아파트 어떡하나" 2025-01-07 17:14:39
서구 ‘검단신도시 파밀리에 엘리프’(669가구)다. 신동아건설이 시공의 80%를 맡은 현장이다. 지난해 12월 청약 때 618가구 모집에 313가구만 청약해 미달 사태를 빚었다. 입주는 2027년 7월 예정이지만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경기 평택시에 조성되는 ‘고덕국제신도시 A50블록 미래도 파밀리에’(642가구)도 지난해 12월...
[부동산캘린더] 내주 전국서 1천732가구 분양…서울, 일반분양 없어 2025-01-04 06:00:00
국제신도시미래도파밀리에(A50) │1555-4100 │ ││(~1/8)││ │├───────────────────────────┼──────┤ ││경기 평택시 장안동 브레인시티푸르지오(3BL) (~1/8)│1533-0364 │ │├───────────────────────────┼──────┤ ││경기 평택시...
태국 고속도로로 시작한 K-건설…이제 2조달러 향해 달린다 2025-01-03 07:05:02
단순 도급공사서 원전·플랜트로 '발돋움'…SMR·신도시 개발까지 확장 "투자개발사업 확대하고 중남미·아프리카 등 新시장 개척 필요"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국내 기업의 '해외건설 1조달러 수주' 역사는 태국 정부가 발주한 고속도로 건설 공사를 따낸 1965년 11월 시작됐다. 첫 해외건설...
취업자 증가 12만명으로 '뚝'…물가상승률 1.8% [2025 경제정책방향] 2025-01-02 10:40:14
3기 신도시 등 주요 공공사업 공사 실적이 반영되면서 감소 폭이 일부 완화할 수 있다. 내수의 핵심인 민간 소비는 작년 1.2% 증가에서 올해 1.8% 증가로, 설비투자는 같은 기간 1.3% 증가에서 2.9% 증가로 개선될 전망이다. 소비를 짓누르던 고물가·고금리 부담이 줄어들고, 첨단 업종 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