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다시 '독립신문 창간정신'을 새기는 까닭은 … 2023-04-03 10:00:22
그 이유를 ‘상하귀천이 다 보게’ 하고 ‘아무라도 신문 보기가 쉽고 말을 알아보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라는, 신문의 글쓰기 원리를 생각할 때 지금 다시 봐도 무릎을 치게 하는 선구자적 혜안이다. 후대 언론인들은 그 정신을 이어받아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삼아 매년 기념하고...
하~ 이놈의 띄어쓰기를 어쩔껴 2023-03-29 18:27:54
상하귀천이 모두 보게 함이오, 또 구절을 띄어 쓰는 것은 알아보기 쉽도록 함이다”고 한글 전용과 띄어쓰기 이유를 밝혔다. 세종의 정음 창제 이유, ‘어엿비 녀겨’와 맥을 같이한다. 몇 백년 동안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었다. 단지 불편을 참았을 뿐이다. 그렇게 ‘알아보기 쉽도록 한’ 띄어쓰기가 127년이 지난 오늘날...
[데스크 칼럼] 국어원은 띄어쓰기 혁신에 나서라 2023-03-29 17:33:32
의미심장하다. “언문으로 쓰는 것은 남녀 상하귀천이 모두 보게 함이오, 또 구절을 띄어 쓰는 것은 알아보기 쉽도록 함이다”고 한글 전용과 띄어쓰기 이유를 밝혔다. 세종의 정음 창제 이유, ‘어엿비 녀겨’와 맥을 같이한다. 몇 백년 동안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었다. 단지 불편을 참았을 뿐이다. 그렇게 ‘알아보기 쉽...
‘조선 정신과 의사 유세풍2’ 닫힌 마음 활짝 연 치유의 명대사 넷 2023-02-06 16:10:11
신분의 귀천에 과도한 집착을 보이기 시작한 것. 유세풍은 뼈 아픈 좌절과 상실을 경험했던 자신의 과거를 빗대어 이서이의 마음을 열었다. “자기 자신으로 살고 싶다”라는 서은우의 말이 모든 걸 잃고 방황하던 자신을 일깨웠다면서, “갖지 못한 것을 잊고, 가진 것만을 귀히 여기십시오. 자신이 스스로를 귀히 여겨야...
[시사이슈 찬반토론] 플랫폼 기반 새 서비스에 반대하는 전문자격사 단체, 정당한가 2022-10-24 10:00:08
최고의 전문가들이다. 직업에 귀천은 없지만, 상대적으로 중요한 업무를 맡은 것은 사실이다. 건축사들도 현대 사회의 온갖 건물과 구조물을 설계하고 공사를 지휘하는, 안전을 직접 다루는 고도의 전문가 집단에 속한다. 전문가적 지식을 기반으로 제한된 자격증에 바탕한 자체적 시장 질서가 오랜 시간에 걸쳐 구축돼...
이재명, 택시기사 앞에서 "하다 하다 안되면 가는 게 택시" 2022-02-16 15:53:43
페이스북에 "직업의 귀천이 어디에 있으며 택시업계가 탄광과 어떤 유사점이 있는지도 모르겠다"며 "광업과 택시업계 양쪽에 대해 이재명 후보가 매우 왜곡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게 아닌가 궁금하다"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플랫폼 기업에 대해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해 최우기, 임정남 열사 두 분이 안타깝게 돌아가신 일을...
세상을 바꾸는 건 '거대한 혁명'보다 '작은 친절' [고두현의 문화살롱] 2022-01-21 17:52:20
미리 고객에게 알리고 팔아라. 빈부귀천에 따라 손님을 차별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그의 뜻은 대를 이어 지켜졌다. 1986년 봄, 낡은 옷차림의 한 아주머니가 식품부에 들어왔다. 포도 매대 앞에서 한참을 서성이던 그녀는 말없이 울기만 했다. 이를 지켜보던 여직원이 조심스레 다가가 이유를 물었다. 그녀는 “포도를 꼭...
이재명 "비천한 출신" vs 홍준표 "조선시대 이야기" 2021-12-06 09:34:16
자신의 페이스북에 "출생의 귀천으로 사람이 가려지는 세상이라면 그건 조선시대 이야기"라며 "대통령은 지금 그 사람의 처신과 행적, 그리고 나라와 국민을 향한 열정으로 지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라고 적었다. 그는 "지난 탄핵 대선 이후 다시 당 대표가 되었을 때 어느 언론사 간부가 '평시라면 당신이 대통령...
이재명 "비천한 출신이라 논란 많아"…野 "비천하면 형수한테 쌍욕하나" 2021-12-05 17:11:26
꼬집었다. 홍준표 의원은 "출생의 귀천으로 사람이 가려지는 세상이라면 그건 조선시대 이야기"라면서도 "대통령은 지금 그 사람의 처신과 행적, 그리고 나라와 국민을 향한 열정으로 지지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재명 후보가 과연 그동안의 품행, 행적, 태도 등이 대통령으로서 자격이 있는지 여부를...
[이응준의 시선] 용서하지 않을 권리 2021-10-14 17:29:03
정체는 반상이나 귀천 등분이 없고 모든 인민이 평등 자유로 천연한 복리를 다 같이 누리게 하는 것이다. 토지개혁법이 유일한 근본적 해결책이다.” 1949년 4월 27일 농지개혁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1950년 4월 15일(우연이겠지만 마치 놀리기라도 하려는 듯 김일성 생일에) 아직 시행령이 만들어지기도 전인데 대통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