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R&D는 비용 아닌 투자…신진 연구자 훈련은 대학이 효율적" 2023-10-05 15:36:28
미국 UC버클리 교수, 롤프 뮐러 독일 자를란트대 교수,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등 생물공학 분야 학자, 학생, 기업 관계자 2천500여명이 참석했다. '바이오 테크놀로지의 시대'를 주제로 860편의 최신 연구성과가 소개됐으며, 생물공학 분야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해 롯데케미칼[011170]에 올해 생물공학회...
국내외 바이오 전문가 내달 부산에…생물공학회 국제심포지엄 2023-09-15 18:23:27
샬머스공대 교수 등이 나선다. 국내에서는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이 최신 연구성과를 소개하며, 최고 권위 학술지 네이처 편집장인 마그달레나 스키퍼 박사도 강연한다. 학회 세션으로는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바이오테크놀로지, 생물공정 스케일업 기술 등 20개 주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올해...
코로나19 백신 효과 높이는 방법, 국내 연구진이 찾았다 2023-07-06 00:00: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단장 김빛내리 서울대 석좌교수)은 이런 연구성과를 내 관련 논문을 세계 3대 학술지 '셀'에 실었다고 5일 발표했다. RNA는 DNA의 복사본으로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우라실 네 가지 염기 성분으로 이뤄져 있다. 기능에 따라 mRNA, 마이크로RNA 등으로...
[한경에세이] 'DNA의 날'을 아시나요 2023-04-21 17:58:09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가 이끄는 국내 연구팀이 DNA가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 RNA(miRNA)’의 생성 원리를 규명한 것이다. 핵심 단백질 ‘다이서’의 작동 원리와 3차원 구조를 밝혀냄으로써 유전질환과 암의 원인을 찾는 것은 물론 RNA 기반 치료제 개발을 위한...
김빛내리 IBS RNA연구단장 "miRNA 기반 암 치료제, 10년 내 개발 가능하다" 2023-02-24 17:55:46
서울대 생명과학연구동에서 한국경제신문과 만난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겸직·사진)은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두 건의 연구 성과를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IBS·서울대 공동연구팀은 마이크로RNA 생성 원리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또 유전자 치료제 개발...
[그래픽] 마이크로RNA 생성 과정 및 기능 2023-02-23 11:13:21
생성 과정 및 기능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연구팀은 다이서의 원리와 구조를 밝힌 두 연구 결과를 2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동시에 발표했다.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일문일답] 김빛내리 IBS RNA연구단장 "10년내 새 RNA 치료제 기대" 2023-02-23 01:00:02
[일문일답] 김빛내리 IBS RNA연구단장 "10년내 새 RNA 치료제 기대" "오랜 기간 축적된 융합 연구 빛나…다이서와 드로셔 연구 우리나라가 가장 앞서"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은 마이크로RNA(miRNA)를 만드는 데 관여하는 단백질 '다이서(DICER)'의 핵심 작동...
마이크로RNA 만드는 '다이서' 원리 밝혔다…RNA치료제 새 가능성 2023-02-23 01:00:01
만드는 '다이서' 원리 밝혔다…RNA치료제 새 가능성 김빛내리 IBS 단장팀, 다이서 원리·구조 규명한 연구 2건 '네이처' 발표 miRNA 생성 과정 마지막 퍼즐 맞춰…RNA 간섭 활용 치료제 개발 기대 "'생명과학계 최대 난제 중 하나 풀었다…암과 다이서 연관성도 밝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런던 Eye] 뉴턴·다윈 거쳐간 영국 왕립학회에 첫 한국인 과학자 2022-06-27 08:00:02
머스크도 회원이 됐다. 이상엽 부총장은 서울대 김빛내리 교수와 함께 지난해 첫 한국인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발됐다. 왕립학회는 매년 10명 이내 외국인 회원을 별도로 뽑는다. 미국 국립과학원에 이미 한국인이 여럿 가입된 것과 비교하면 꽤 늦은 셈이다. 통상 가입식은 7월이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작년 신규 회원이 ...
주영석 지놈인사이트 대표, 인간유전체기구 우수상 수상…한국인 두 번째 2022-05-24 14:13:10
건 2017년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후 두 번째다. 비영리 국제기구 HUGO는 매년 경력 15년 이내의 젊은 과학자 두 명을 선정해 첸 우수상을 수여한다.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인간 유전체학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만한 업적이 있거나, 새로운 치료법 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간 유전체학 발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