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전기 서정욱 상무, '제19회 전자·IT의 날' 대통령 표창 2024-10-22 10:32:25
높였다. 특히 2013년에는 인덕터용 저손실 나노결정 분말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했으며, 국내 재료 개발 업체를 발굴해 일본에 의존하던 수동부품의 재료 국산화에 크게 기여했다. 또 2023년에는 독창적인 코일 형상 설계와 인쇄 공법을 통해 2개의 코일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한 박막형 커플드 인덕터를 ...
삼성 최고성능 그래픽 D램…1초 만에 영화 60편 처리 2024-10-17 17:51:30
나노급(5세대 10나노급) 미세 공정을 통해 셀 집적도를 높이고 전작 대비 용량을 50% 확대한 덕분이다. 모바일 반도체에 적용되는 저전력 기술을 이 제품에 도입해 전력 효율을 30% 이상 개선했다. 이 제품을 그래픽카드에 장착하면 초당 1.8TB(테라바이트)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30GB짜리 초고화질 영화 60편을 1초...
삼성전자, 저전력 특화 '24Gb GDDR7 D램' 개발 2024-10-17 09:13:06
12나노급 '24Gb GDDR7 D램' 개발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24Gb GDDR7 D램'은 업계 최고 사양을 구현한 제품이다. PC, 게임 콘솔 등 기존 그래픽 D램의 응용처뿐 아니라 AI 워크스테이션, 데이터센터 등 고성능 제품을 필요로 하는 분야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삼성전자, 업계 최초 24Gb GDDR7 D램 개발…내년 초 제품 상용화 2024-10-17 08:41:38
12나노급 미세 공정 적용…30GB 영화 60편 1초에 처리 전력 효율 30% 이상 개선…연내 주요 GPU 고객사와 검증 시작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삼성전자[005930]가 업계 최초로 12나노급 24Gb(기가비트) GDDR7 D램 개발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를 연내 주요 그래픽처리장치(GPU) 고객사의 차세대...
성능 끌어올린 '삼성표 신제품'…업계 최초 개발 D램 공개 2024-10-17 08:38:25
12나노급 24기가비트(Gb) GDDR7 D램 개발을 완료했다. 삼성전자는 17일 인공지능(AI) 워크스테이션·데이터센터 등 고성능 제품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업계 최고 사양의 24Gb GDDR7 D램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PC, 게임 콘솔 등 기존 그래픽 D램 응용처를 넘어 더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서원대학교 2024년 창업도약패키지 선정기업] 연료전지 핵심 소재인 MEA를 개발하는 기업 ‘거림퓨얼셀’ 2024-10-15 22:03:12
채용과 이온들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인더를 나노 분산시켜 적용시킨 전극설계 기술에 있다”며 “이렇게 설계된 전극은 특정 사이즈를 갖는 기공 구조로 바뀌게 되고 나노 사이즈로 분산된 바인더가 더해져 전극층 내부에 연료를 효율적으로 공급 배출해 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허리케인 '헐린' 美남동부 강타…41명 사망·460만가구 정전(종합) 2024-09-28 07:13:31
나노아강을 따라 강제 대피 명령도 내려졌다. 당국은 헐린으로 플로리다,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현재까지 최소 41명이 사망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NYT는 전했다. 플로리다주 탬파 지역에서는 강풍에 교통신호 표지판이 차량에 떨어져 사망자가 발생했고, 노스캐롤라이나에서는 나무가 쓰러지면서...
"미래 에너지로서의 수소 준비해야"…강원도 대학·기업 합심 2024-09-08 12:00:03
수소에너지 전극재료 생산공정기술을 이전받은 나노인텍의 매출이 43% 증가하는 등 대학과 기업의 협업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사업단은 소개했다. 이날 교류회에서 강원대 신소재공학과 김주영 교수는 '수소 액화저장·안전 인프라 기술 개발' 상황에 대해 소개했다. 김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수소 에너지가...
"반도체 크기 확 줄인다"…삼성, 파운드리 승부수 2024-08-22 17:35:37
2027년 2나노미터(㎚·1㎚=10억분의 1m) 공정에 BSPDN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성재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상무는 이날 서울 잠실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지멘스 EDA 포럼 2024’에서 “BSPDN 기술을 적용한 2㎚ 공정에서 만든 칩은 전면에 전력 배선을 넣은 칩보다 면적을 17% 줄이는 게 가능하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커버스토리] '대륙의 실수'는 옛말…차이나 테크의 역습 2024-07-22 10:01:01
나노 공정에 도달했다는 사실과 비교하면 놀라울 정도입니다. 반도체 칩은 나노미터급 숫자가 낮을수록 고부가가치 제품입니다. 이 회사는 지난 1분기 기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세계 시장의 5.7%를 점해 세계 3위로 도약했습니다. 중국은 AI 반도체에 필수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자체 개발에도 박차를 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