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일찍 일어나는 아침형 인간은…" 깜짝 연구결과 나왔다 2023-12-15 12:53:48
연관된 246개 유전자를 확인했다. 이 중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나온 특정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 일찍 일어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인류 직계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는 기원전 30만년전 아프리카에서 진화했다. 1년 내내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비슷했다. 반면 네안데르탈인은 낮이 여름엔 길고 겨울...
"아침형 인간,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덕분" 2023-12-14 17:45:45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 있으면 아침형 인간일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과학저널 '지놈 바이올로지 앤드 에볼루션'(Genome Biology and Evolution)에 실렸다고 14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토니 카프라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샌프란시스코)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오늘날...
"아침형 인간, 네안데르탈이 물려준 유전자 때문일 수도" 2023-12-14 17:27:39
유럽인·아시아인 유전자의 약 2%가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온 것으로 추정된다. 카프라 교수는 이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은 자연의 밤낮 시간대 변화에 더 빨리 적응하는 생체 리듬과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자연의 밤낮 시간대 변화를 더 빨리 파악하고 적응하는 사람이 아침에...
[사이테크+] "4만8천년 전 동굴사자 갈비뼈에 구멍…네안데르탈인 사냥 증거" 2023-10-13 05:00:01
전 동굴사자 갈비뼈에 구멍…네안데르탈인 사냥 증거" 獨 연구팀 "나무 창으로 동굴사자 사냥한 첫 증거…가죽 활용 증거도 발견"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4만8천년 전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공존하다가 멸종한 네안데르탈인이 맹수를 사냥하고 그 가죽을 이용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증거가...
역대 227명째 노벨생리의학상…올해는 '팬데믹 해결사' 듀오 2023-10-02 19:33:20
=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 등 인류 조상 게놈 연구 ▲ 2021년 : 데이비드 줄리어스·아뎀 파타푸티언(미국) = 온도와 촉각 수용체를 발견 ▲ 2020년 : 하비 올터, 찰스 라이스(이상 미국)·마이클 호턴(영국) = C형 간염바이러스를 발견해 간암, 간경변 등 질노벨병 치료 관련 연구에 공헌 ▲ 2019년 : 윌리엄...
코로나19 초기 직격탄 이탈리아,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때문? 2023-09-18 10:19:17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가지면 감염 시 중환자실서 인공호흡기 달 확률 3배" 伊연구진, 대유행 초기 다수 사망자 나온 지역 감염자 1만명 조사 (서울=연합뉴스) 김계환 기자 =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코로나19 중증 증상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사이테크+] "인류 90만년 전 멸종위기 겪었다…번식가능 인구 1천280명뿐" 2023-09-01 03:00:01
제안한 병목 현상은 데니소바인, 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의 공통 조상이 산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와 일치하지만 이 이론은 인류의 고고학 및 화석 증거와 비교해 검증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류가 90만~80만년 전 아프리카 안팎에 퍼져 있었다면 연구팀이 제안한 병목 현상의 원인이 무엇이든 그 영향이 더...
"먼 옛날 기후변화, 이종 인류 간 성관계 촉진" 사이언스紙에 실려 2023-08-11 03:00:01
발견한 화석이 데니소바인 아버지와 네안데르탈인 어머니를 가진 13세 소녀였다는 점이 밝혀졌다. 202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장이 이 연구를 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IBS 연구팀은 종간 교배가 언제, 어디서 이뤄졌는지를 추정했다. 데니소바인은 툰드라와 냉대림과...
"인류조상, 기후변화 때문에 종 뛰어넘은 사랑 가능" 2023-08-11 03:00:00
데니소바인 아버지와 네안데르탈인 어머니를 가진 13세 소녀였음을 확인한 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다른 호모종 간 상호 교배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이뤄졌는지는 그동안 화석 표본과 고대 DNA 유전적 분석만으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팀머만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고기후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이...
매머드와 같이 살았던 벌레, 4만6000년 만에 '꿈틀' 2023-07-28 13:40:40
추정된다. 동시대에 출현했던 네안데르탈인과 매머드, 검치호 등 고대 생명체들과 섞여 살았다. 텔레그래프는 1㎜ 미만 작은 크기의 이 벌레들은 충분한 영양 공급을 통해 다시 생명을 되찾았고 보도했다. 처음 발견된 벌레들은 몇개월밖에 살아남지 못했으나, 새롭게 번식한 벌레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