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희대 한의과대학, 본초학 성적 우수 장학금 지급 2025-01-23 17:41:08
그는 “한의과대학이 경희 한의 노벨 프로젝트를 통해 노벨상에 도전하고 있다. 한국이 고유의 과학 지식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는다면 한의학 분야가 가장 가능성 높은 분야라 생각한다. 한의학에서도 기초 학문인 본초학이 가장 큰 잠재력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강 동문은 꾸준한 기부와 더불어 향후 추가...
'김승연의 노벨 과학상 프로젝트'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해외 탐방 성료 2025-01-20 16:18:43
‘한국의 젊은 노벨 과학상 수상자 양성’을 모토로 시작한 국내 최대 규모의 고등학생 과학 아이디어 경진대회다. 지난 13년간 약 1만6000명의 고등학생이 참여해 미래 과학인재 발굴에 기여해왔다. 이번 해외 탐방은 ′24년도 은상 이상 수상 5개팀, 총 10명이 참여했으며, 대회 주제인 ‘Saving the...
한화, '한화사이언스챌린지' 고등학생 독일·네덜란드 해외 탐방 2025-01-20 09:35:39
챌린지는 김승연 회장이 2011년 '한국의 젊은 노벨 과학상 수상자 양성'을 위해 시작한 국내 최대 규모의 고등학생 과학 아이디어 경진대회다. 지난 13년간 약 1만6천명이 참여한 바 있다. 이번 해외 탐방에 참여한 학생들은 세계 10대 천체물리학 연구소 중 하나인 포츠담 천체물리학연구소 방문을 시작으로 베를...
내달 파리서 3차 AI 정상회의…"공익적 활용방안 모색" 2025-01-17 20:20:04
등이 참석한다. 지난해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다론 아제모을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도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정부 수반급으로는 공동 의장을 맡은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참석을 확정했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토요칼럼] 진보는 정치인 아니라 기업인이 만든다 2025-01-17 17:49:03
탄생 100주년을 맞아 지정한 ‘양자 과학과 기술의 해’다. 1925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에르빈 슈뢰딩거가 양자기술의 수학적 기초를 세운 것을 기점으로 했다. 양자컴의 정보처리 기본 단위인 큐비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수학 스승’으로 알려진 다비트 힐베르트가 고안한 힐베르트 공간에서 움직인다. 큐비트...
슈퍼컴 넘어선 양자컴 비밀은…0과 1 모두 될 수 있는 '큐비트' 2025-01-10 18:11:15
유효 큐비트가 작동했다고 본다.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존 프랜시스 클라우저가 양자 얽힘을 인류 역사상 처음 실험실에서 입증했다. 연산량 증가에 따라 비트의 숫자는 2의 n제곱 형태로 폭증하지만 큐비트는 그렇지 않다. 양자컴이 슈퍼컴퓨터보다 훨씬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이유다. 구글은 2019년 시커모어에...
中AI논문, 美 맹추격…상위 10위 기관에 美 6곳·中 4곳 2025-01-09 15:09:35
13위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각각 올랐다. 일본은 50위권 밖으로 이화학연구소(RIKEN)가 64위, 도쿄대가 71위였다. 지난해 상위 50개 기관의 채택 논문 저자 수를 국가별로 보면 1위 미국은 1만4천766명, 2위 중국은 8천491명이었다. NeurIPS 등 3개 학회에는 매년 수만 편의 논문이 제출되며 전문가 심사를 통해 이 중...
19세기 학교서, 20세기 교원이, 21세기 학생 가르치는 나라 2025-01-08 17:35:33
포스텍 총장을 지낸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선진국 중에서 학생을 등급별로 나누는 건 한국이 거의 유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총장을 지낸 오세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는 “현행 입시제도의 근간인 수능의 표준점수화, 내신 9등급 상대평가 등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을 평가해야 한다는...
고려대 의대, 교육수준따라 자살률 최대 13배 차이 2025-01-08 08:52:49
초졸 이하 남성 집단의 높은 자살률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앵거스 디튼의 '절망의 죽음' 이론을 연상시킨다고도 했다. 일상에서 경험하는 절망감이 자살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자살이 단순한 개인 문제를 넘어 계층 간 차이에 내포되는 사회적 격차와 정서적 전이가 반영된 결과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기...
AI 지각생 韓, 반도체·로봇 '제조 SW 생태계' 공략해야 승산 2025-01-07 17:57:31
덕분이었다. 과학기술과 산업의 발전 역시 언어와 수식으로 적힌 논문의 축적을 통해 이뤄졌다. 인공지능(AI)은 이 방벽을 속절없이 무너뜨렸다. 지난해 노벨물리학상과 화학상 모두 AI 기술의 토대를 놓은 과학자들에게 돌아간 것은 인류 사회를 뒤흔든 AI의 파괴력을 인정해서다. AI의 본질은 데이터와 알고리즘,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