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인에 최희정·조은정·임석희 2022-11-23 15:00:01
최 교수는 세포막 단백질의 구조와 작용기전 연구, 조 소장은 소재 국산화와 환경문제 솔루션 개발로 제조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임 책임연구원은 나로호와 누리호 추진기관을 개발하고 발사 서비스 개척을 통해 미래 우주 인력 양성에 기여한 공적이 있다고 재단은 밝혔다. 우수 경력 복귀 여성과학기술인...
마리 퀴리 잇는 노벨화학상 수상자는…114회 걸쳐 189명 영광 2022-10-05 19:31:50
= 세포막 내 수분과 이온 통로 발견, 인체 세포로 수분과 이온이 왕래하는 현상 규명. ▲ 2002년 : 존 펜(미국), 다나카 고이치(일본), 쿠르트 뷔트리히(스위스). =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 분자의 질량과 3차원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을 개발. ▲ 2001년 : 윌리엄 S. 놀즈, K. 배리 샤플리스(이상 미국), 노요리...
KIST "헌팅턴병 뇌기능장애 유발 'FAK 단백질' 규명" 2022-08-28 12:00:05
정상적인 시냅스(신경세포 간 신호 전달 연결지점) 형성에 필수적으로, 뇌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단백질이 정상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인지질 중 하나인 PIP2(phosphatidylinositol 4,5-biphosphate)가 필요하다. 연구팀이 형광분자센서와 실시간 형광이미징 연구법으로 살아있는 헌팅턴...
치매, 마침내 정복? 뇌의 독성 단백질 제거 '신호 경로' 발견 2022-08-25 18:24:29
것인데 핵 바깥의 세포질에서 이뤄진다. 연구팀은 뇌에서 합성되는 아쿠아포린-4(aquaporin 4)라는 단백질에 주목했다. 아쿠아포린은 물의 수송을 담당하는 세포막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도 마찬가지로 긴 사슬 구조의 말단에 조그만 꼬리가 달린 형태로 종종 발견됐다. 처음엔 단백질 합성 과정의 단순한 오류로 치부했다...
올리패스 "OLP-1002 호주 2a상 중…해외 기업과 기술수출 논의" 2022-07-12 11:14:45
계면 활성기를 연결해, 음이온성을 띠는 세포막을 쉽게 통과하도록 설계됐다. 세포투과성이 우수한 만큼 적은 용량으로도 효능을 발휘할 수 있고, RNA에 비해 합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약가가 저렴하다는 설명이다. 해외 제약사와의 공동 연구개발 논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정 대표는 “자세한 이야기를 할 수는 없지만,...
'원하는 세포에 딱' 약물전달 기술에 힘쓰는 제약업체 2022-06-26 06:00:00
개발한다고 밝혔다. LNP는 약물이 세포막을 통과해 세포질 안에서 작용하도록 하는 전달체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mRNA 신약 등 기술적으로 앞선 신약의 경우 이전과는 다른 약물 전달 방법이 필요하다"며 "개발할 LNP 기술을 회사의 어떤 약과 접목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대웅제약[069620]도 코로나 백신·치료제로...
'장(腸) 건강이 뇌 건강' 맞다… '장뇌 축' 작동 메커니즘 확인 2022-04-26 17:45:17
NOD 2가 없는 생쥐는 뇌가 음식 섭취와 체온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체중이 증가했다. 이런 생쥐는 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커졌는데 특히 나이 든 암컷이 더 위험했다. 장과 혈액, 뇌 등에 펩티도글리칸이 존재한다는 건 장 세균의 급격한 증식을 알리는 생물지표라고 과학자들은 지적했다. 뇌의 시상하부 뉴런이 장...
KIST "50일 이상 유지하는 인공 세포막 구조물 개발" 2022-03-22 12:00:09
대폭 향상한 인공 세포막 개발에 성공했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22일 밝혔다. KIST에 따르면 이 기관의 뇌과학창의연구단 김태송 박사 연구팀이 실리콘 기판 위에서 50일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인공 세포막 구조물을 개발했다. 세포 안팎을 보호하는 세포막은 지구상에서 가장 정확하고 정밀한 바이오 센서 중...
단백질 조각이 세포 '방패 역할'…불붙은 펩타이드 치료제 연구 2022-03-18 17:21:08
다량 존재하는 단백질 CLTA-4에 세포막을 잘 통과할 수 있는 단백질 조각을 연결한 펩타이드를 설계했다. 이 펩타이드를 다발성경화증에 걸린 동물에 투여하자 생체 내에서 조절T세포가 늘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다발성 경화증뿐 아니라 류머티즘 관절염, 제1형 당뇨, 알츠하이머(치매), 건선, 크론병 등...
하버드 의대 연구진 "탄저균 독소의 통증 차단 효과 확인" 2021-12-21 16:36:18
중 하나인 '방어 항원(PA)'이 신경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면 세포막에 통로 역할을 할 미세 구멍이 생겼다. 그러면 다른 2종의 탄저균 단백질, 즉 '부종<浮腫> 인자(EF)와 '치사 인자(LF)'가 이를 통해 신경세포 내로 전달됐다. EF와 LF를 묶어서 '부종 독소'라 하는데 이 독소가 신경세포 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