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 인간 뇌 닮은 'MRAM 인-메모리 컴퓨팅' 구현…세계 최초 2022-01-13 09:51:40
뇌 신경망에서 뉴런(신경세포)들의 전기 신호를 나노전극으로 초고감도로 측정해 뉴런 간의 연결 지도를 '복사'(Copy)하고, 복사된 지도를 메모리 반도체에 '붙여넣기'(Paste) 함으로써 뇌의 고유 기능을 재현하는 뉴로모픽 칩 기술을 제안했다. 이번에 발표한 논문은 당시 논문의 '뇌 구조 복사 &...
삼성, 인간 뇌 닮은 'M램 인-메모리 컴퓨팅' 세계 최초 구현 2022-01-13 08:22:55
뇌 신경망에서 뉴런(신경세포)들의 전기 신호를 나노전극으로 초고감도로 측정해 뉴런 간의 연결 지도를 '복사'(Copy)하고, 복사된 지도를 메모리 반도체에 '붙여넣기'(Paste) 함으로써 뇌의 고유 기능을 재현하는 뉴로모픽 칩 기술을 제안했다. 이번에 발표한 논문은 당시 논문의 '뇌 구조 복사 &...
AI 전력소비 '100분의 1'로…차세대 전자소자 기술 개발 2021-10-08 16:59:55
스커미온 이동 기술과 접목해 하나의 소자에서 스커미온의 자유로운 생성과 삭제가 가능함을 보였다. 연구팀 관계자는 “3차원 구조에서 스커미온 생성과 소멸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세계 최초”라며 “차세대 반도체인 뉴로모픽 개발에 도움이 될 연구 성과”라고 설명했다. 사람의 뇌는 1000억 개의 뉴런(신경 다발)과...
서경배과학재단, 구태윤 교수 등 `2021년 신진 과학자` 3명 선정 2021-08-30 10:33:20
참석했다. 구태윤 교수는 뉴런을 광학 소자로 바꾸는 혁신적인 기술로 복잡한 뇌의 연결망을 시각화하는 연구를 제시했으며, 새로운 신경 회로를 발굴할 기술로 주목받았다. 양한슬 교수는 피부가 벗겨져도 흉터 없이 회복하는 아프리카 가시쥐에 주목, 사람에게 적용 가능한 조직 재생 기전을 밝힌다. 현유봉 교수는...
사람 두뇌 닮은 'AI칩' 장착…휴대폰을 슈퍼컴처럼 쓴다 2021-07-16 18:13:00
있다. 각각(기억, 연산)의 성능이 진화할수록 두 소자 간 속도 차이로 병목 현상이 생긴다. 반면 우리 뇌는 기억과 연산을 동시에 나란히 수행하는 아날로그 방식이다. 사람의 뇌는 1000억 개의 뉴런(신경 다발)과 1000조 개의 시냅스로 이뤄져 있다. 인체 내 신경계 정보 전달은 뉴런과 뉴런 사이 시냅스에서 이뤄진다....
"뉴런·시냅스 통합한 인공신경섬유소자 개발…신경세포망 역할" 2021-06-03 12:00:15
"뉴런·시냅스 통합한 인공신경섬유소자 개발…신경세포망 역할" KIST 연구팀 "AI 반도체소자 웨어러블·로보틱스 등에 활용할 것"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국내 연구진이 하나의 소자로 신경 시스템의 시냅스와 뉴런 기능을 모방하는 인공신경섬유 소재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3일 광전소재연구단...
뇌와 인공지능 연결한 신인류는 탄생할까 2021-03-29 09:00:52
‘뉴런 친화적 전극(NeuE: neuron-like electronics)’이 그 대표적인 예다. 연구진은 연약한 뇌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체 전극 시스템을 종잇장보다 얇게 가공해 실을 엮어 놓은 형태의 전자소자를 제작했다. 이렇게 제작된 시스템은 기존의 단단한 전극에 비해 뇌 안의 세포와 잘 융화해 부작용 없이도...
인간의 뇌를 닮아가는 반도체…인공지능 시대 주도 2020-11-09 09:01:20
개의 뉴런이 있고, 그 사이에 100조 개의 시냅스가 있다. ‘1000억 개 × 100조 개’가 조합해내는 정보처리 통로는 반도체로 보면 소자에 해당한다. 인간들은 자신의 뇌를 이용해 자신과 거의 유사한 반도체를 만들어 가는 중이다. 반도체가 뇌의 구조를 따라 가려 하지만 아직도 넘지 못하는 벽이 존재한다. 뇌는 매우...
제이엘케이 김동민 대표, 미국국립과학원회보 논문 발표...OLED 소자 뇌세포 반응 조절 2020-08-25 16:02:53
때문이다. 연구진은 광유전학(optogenetics) 기술과 유연성 OLED로 뉴런(뇌세포)을 자극한 후, 관련 내용을 자기공명영상장치(Magnetic Resonance Imaging. 이하 MRI)로 읽어낸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정리했다. 이를 위해 바이러스를 이용해 특정 빛에 반응하는 뉴런(뇌세포)을 개발한 후 머리카락 두께의 약 50분의1 ...
김동민 제이엘케이 대표, OLED 빛·뇌세포 반응 관련 논문 발표 2020-08-25 14:11:59
광유전학(optogenetics) 기술과 유연성 OLED로 뉴런(뇌세포)을 자극한 후, 관련 내용을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읽어냈다. 이를 위해 바이러스를 이용해 특정 빛에 반응하는 뉴런을 개발하고, 머리카락 두께의 50분의 1 정도인 필름형 OLED 소자로 이를 자극하는 데 성공했다. 빛 자극을 통해 동물의 뇌활동을 유발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