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전자 노사, 17일 임단협 본교섭 재개 2024-10-10 21:33:30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이 오는 17일 임금·단체협약(임단협) 본교섭을 재개한다. 전삼노 집행부는 10일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오는 17일 (전삼노를 비롯한) 삼성전자 5개 노조 대표와 사측 교섭위원 간 상견례를 진행하고, 본격적인 교섭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17일까지 시간이 많이 남았기 때문에...
대법 "대리기사도 근로자"…파업·단체교섭 가능해졌다 2024-10-02 17:35:26
맺은 대리운전업체에 단체교섭을 요구하자 회사 측은 “대리운전 기사는 노조법상 근로자의 지위에 있지 않다”며 이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노조법 제1조는 헌법에 근거해 근로자의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을 보장하고 있다. 특수고용직 근로자와 사용자의 법정 싸움에서 노조법상 근로자 지위 인정 여부가...
"대리기사도 노조법상 근로자" 첫 대법 판단…파업·단체교섭 길 열렸다 2024-10-02 10:32:19
아울러 재판부는 대리기사에게도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 등 노동3권을 인정하는 게 헌법 취지에도 부합한다고 봤다. 대법원도 원심 판단이 정당하다고 보고 그대로 확정했다. 다만 상고심 전에 '손오공' 대표가 사망해 상고심에선 친구넷 대표만 재판을 받았다. 국토부에 따르면 국내 대리기사는 2013년...
비조합원 임금인상률 어떻게? 소수노조 사업장의 딜레마 2024-10-01 16:23:13
노동조합의 단결력을 약화시키거나 단체교섭권을 침해하는지 문제될 수 있다. 실제로 노동조합이 회사의 위와 같은 근로조건 협의에 대하여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며 금지를 구하는 가처분을 구하거나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제기한 적이 있는데, 법원은 노조법상 사용자가 노조법상의 노동조합이 아닌 근로자단체와 근...
[사설] 국회신뢰도 OECD 꼴찌권…삼척동자도 알만한 이유 2024-09-20 18:05:56
도입하는 화물자동차 운수법, 가맹점주단체에 단체교섭권을 부여하는 가맹사업법 개정안 등이다. 한결같이 현금 살포로 재정을 악화시키거나 시장경제 원리에 상치되는 반기업적 법안이다. 이런 와중에 국가 대계를 위한 법안들은 표류하고 있다. 전력망 확충 특별법’과 ‘방사성폐기물 특별법’ 등 주요 에너지 법안의 국...
소송에 시위해도 "노조 아냐"…경찰 '직장협의회' 뭐길래 2024-09-04 14:38:58
말한다. 직협은 노동조합과는 달리 노동 삼권(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의 핵심인 단체교섭권이 없어 활동에 제약이 많다. 직협은 기구 특성상 기관장과의 '협의'만 가능하다. 사용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교섭을 거부하는 경우 '부당노동행위'가 인정될 수 있는 노동조합과는 달리, 협의를 거부한다...
삼성전자 노조, 실패한 파업 재시동…교섭권 확보 '꼼수' 2024-08-29 19:23:25
대표교섭권을 확보한 지 1년이 지났지만 사측과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전자 5개 노조 중 어느 곳이라도 단체협약 체결을 위한 교섭 요구를 하게 되면 전삼노의 대표교섭권은 없어진다. 쟁의 행위도 불가능하게 된다. 그동안 전삼노는 "다른 조합이 교섭 요구를 하면 조합의 단결을 해치는 것"이란...
[단독] 한양증권, 복수노조 출범..."고용보장 불발시 쟁의" 2024-08-20 15:54:12
조합원보다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노조가 되면 대표 교섭권을 확보해 사측과 임금협상과 단체교섭을 할 수 있다. 새 노조는 '고용 보장'과 함께 '매각 위로금'을 지급할 것을 요구할 예정이다. 특히 지배주주가 바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비정규직을 중심으로 고용 불안이 큰 상황이다. 한양증권...
'몸집불리기' 나선 삼성전자 전삼노…갈등 장기화 우려 2024-08-11 06:45:00
대표교섭권은 유지되고 있다. 전삼노의 대표교섭권은 지난 5일까지 보장됐는데, 이후 사측에 교섭을 요구한 삼성전자 내 다른 노조가 없기 때문이다. 전삼노를 비판해온 삼성전자 3노조인 동행노조가 사측에 교섭을 요구할 경우 전삼노는 대표교섭 노조 지위를 잃게 된다. 다만 동행노조가 이를 위한 체계를 갖추기까지는...
"판매금 회계 강제분리"…티메프 사태에 불붙은 '플랫폼 규제' 2024-08-05 17:48:39
단체교섭권을 부여하거나, 불공정거래 행위가 확인되면 매출의 10%까지를 과징금으로 거둬가는 등 파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플랫폼 업계는 온플법이 최초로 논의된 2020년부터 반대 의견을 내고 있지만, 머지포인트와 이번 티몬-위메프 사태를 거치면서 그동안 "업계의 자율 규제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을 가졌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