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베트남 대미 무역흑자 역대 최대…트럼프 관세 표적 우려 2025-02-06 12:35:56
미국산 항공기와 액화천연가스(LNG) 등의 수입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또 군사 장비, 인공지능(AI)용 반도체 등 미국산 고가품을 더 많이 구매해 대미 흑자 폭을 줄일 것임을 시사했다. 시바 애널리스트는 베트남의 수출은 삼성전자, 인텔 등 다국적 기업들이 주도하기 때문에 줄이기 어려우며, 대신 대두·면화·육류 등...
시진핑 '콜백' 기다리는 처지 된 트럼프…애써 괜찮은 척 "서두르지 않겠다" [글로벌 관세전쟁] 2025-02-05 16:59:31
단일 품목으로 수입규모가 크고 미국 내에서 정치적 파급효과가 클 수 있는 대두가 대상에서 빠지는 등 실질적인 타격이 적은 상품을 골랐다는 뜻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미국에 대한 보복조치는 드라마틱하지만 효과는 제한적이며,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중국...
미중 2차 무역전쟁, 극적 타결이냐 확전이냐…전세계 주시 2025-02-05 11:27:08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는 중국 전체 수입량의 각각 1%와 3%에 불과하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미국 반도체 회사 엔비디아에 이어 이번에는 구글을 타깃으로 삼았는데, 구글은 중국 내에서 광고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관련 사업을 제외하고 검색 엔진 등 핵심사업은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에서 미미...
예상외 (트럼프) 관세 품목 [원자재& ETF 뉴스] 2025-02-04 08:27:21
기존의 곤조를 유지할 듯 합니다. 캐나다산 가스 수입 둔화에 대한 우려가 불거지며 미국 천연가스 선물은 장중 내내 10% 내외의 상승권 보여주고 있습니다. 역시나 관세 문제로 대두와 밀 선물도 1%대 올라가고 있고요, 금 선물도 2,858달러를 뚫으며 역대 최고치를 재경신했습니다. 다만, 팔라듐과 백금 선물은 급등에...
트럼프발 관세폭탄 영향...국제유가·금값↑, 美천연가스↓ 2025-02-04 07:54:13
내외의 상승률을 보여줌. 캐나다산 가스 수입 둔화 우려 때문. - 대두와 밀 선물 : 관세 문제로 1%대 상승. - 금 선물 : 2858달러를 뚫으며 역대 최고치 재경신. - 암호화폐 시장 :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주저앉았으나 멕시코에 대한 관세 유예로 10만 달러 회복. - 섹터별 ETF : XLE 에너지 ETF 0.7% 상승, XLY 임의소비재...
건설사 하루 2곳씩 폐업…또 '4월 위기설' 2025-02-03 17:37:01
이후 위기설이 본격적으로 대두됐던 것 아닙니까? 그러다 좀 잠잠해진 줄 알았는데 다시 이렇게 위기감이 감도는 이유는 뭔가요? <기자> 사실 건설업계에서는 공포가 커졌으면 커졌지 잠잠해진 적은 없다고 입을 모읍니다. 시평 16위로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태영건설의 경우 정부가 나서서 유동성을 공급했기 때문에...
"1억 투자했으면 두 달 만에 5000만원 벌었다"는 주식 정체가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2025-02-02 07:00:04
지역으로부터 수입하는 해상그리드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며 사업 성장 가능성을 높게 봤다. AI가 키운 해저통신망 사업 … “글로벌 해저케이블 시장 167% 증가” 두 번째는 인공지능(AI) 모멘텀으로 촉발된 해저통신망 사업이다. 그는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인터넷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챗GPT 등장으로...
"이제 오렌지주스도 못 사먹겠네"…초유의 상황에 '비명' 2025-01-24 08:38:37
생산국이다. 대두는 우리나라가 미국에서 들여오는 주요 수입 농산물로, 미국 남부에 위치한 루이지애나주에서 가장 많은 물량을 들여온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행한 2024년 수입식품 등 검사연보에 따르면 2023년 루이지애나에서 수입된 대두 중량은 약 50만9000t으로 미국 내 다른 주보다 월등히 많다. 그해 한국이...
中, 브라질산 콩 일부 선적 중단…"업체 5곳 위생 기준 미충족" 2025-01-22 22:08:51
전 세계 대두 수출량의 60% 이상을 구입하고 있으며, 브라질은 중국의 주요 공급국이라고 통신은 짚었다. 미국과 무역 갈등을 겪기 전까지 미국에서 대두를 주로 수입했던 중국은 대두와 같은 농산물을 브라질 등 남미에서 구매하는 방식으로 미국에 무역 보복을 했다. su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고환율에 산업계 대부분 '흐림'…원자재가·해외투자 이중고 2025-01-20 12:00:17
것으로 보인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원부자재 수입 비중이 높은 중소업체는 고환율 지속 시 생산 부진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식품산업도 원자재 가격 상승 부담을 지적했다. 국내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비중은 31.8%로, 밀, 대두, 옥수수, 원당 등 주요 원재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