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남극에 떠 있는 얼음, 예상보다 빨리 녹아"…경고 쏟아졌다 2024-06-28 09:41:15
남극 대륙 주변 바다에 떠 있는 거대한 얼음(빙붕)이 녹은 물이 기존 관측치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물은 슬러시 상태로 있는데, 빙붕이 녹는 속도가 예상보다 더 빠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경고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스콧극지연구소(SPRI) 레베카 델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과학 저널 네이처...
남극 빙붕 계속 녹는다…"절반 이상은 슬러시" 2024-06-28 05:45:24
대륙을 둘러싼 바다에 떠 있는 빙붕은 내륙의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한다. 빙붕 녹은 물이 증가하면 빙붕이 불안정해지거나 붕괴할 수 있으며 이는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매년 여름 날씨가 따뜻해지면 남극 빙붕 표면에 녹은 물이 고인 호수가 나타나는데, 물의 무게로 인해...
[사이테크+] "남극빙붕 녹은 물 57%는 슬러시 상태…녹는 속도 더 빠른 듯" 2024-06-28 05:00:01
배 이상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극 대륙을 둘러싼 바다에 떠 있는 빙붕은 내륙의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한다. 빙붕 녹은 물이 증가하면 빙붕이 불안정해지거나 붕괴할 수 있으며 이는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매년 여름 날씨가 따뜻해지면 남극 빙붕 표면에 녹은 물이 고인...
빙하에 스민 따뜻한 바닷물..."해수면 상승 가속" 2024-06-26 16:01:17
대륙을 뒤덮은 빙상(氷床·대륙빙하) 아래로 따뜻한 바닷물이 스며들어 얼음이 녹는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미국 CNN 방송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영국 남극연구소(BAS)는 이날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에 실린 논문에서 남극 빙상이 해저와 맞닿는 선을 따라 바닷물이 배어드는...
남극 빙하에 따뜻한 바닷물 스며…해수면 상승 임계점 다가오나 2024-06-26 15:38:01
남극 빙하에 따뜻한 바닷물 스며…해수면 상승 임계점 다가오나 "온난화 속 해빙 속도 급변할 수 있어"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남극 대륙을 뒤덮고 있는 빙상(氷床·대륙빙하) 아래에 따뜻한 바닷물이 스며들면서 얼음이 녹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미국 CNN 방송이 25일(현지시간)...
"남극 '얼음벽'에 난 구멍, 소용돌이가 원인" 2024-04-12 09:25:08
빙하가 바다로 흘러 들어간 뒤에도 떨어지지 않고 빙하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수백m 두께의 얼음벽인 빙붕(ice shelf)은 대륙 위 빙하가 바다로 유입되는 속도를 늦추고 외부에서 오는 따뜻한 바닷물을 막는 역할을 한다. 서남극 아문센해에 위치한 스웨이츠 빙하는 현재 남극에서 가장 빠르게 녹고 있다. 스웨이츠 빙...
지구 극한점 맞아? 남극 기온, 38.5도 '껑충'…"인류재앙 예고" 2024-04-07 18:57:34
빠르게 굴복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왔다. 서쪽 남극의 빙하는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녹고 있고, 남극 대륙 주변 바다에 떠 있는 해빙 역시 급격히 감소 중이다. 호주 태즈메니아대 연구팀은 지난주 기후 저널(Journal of Climate)에 발표한 논문에서 "남극 기후에 남극 생태계와 지구 기후시스템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식목일이니까, 환경 콘텐츠 볼까…메릴 스트립부터 톰 히들스턴까지 2024-04-05 11:15:58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북극의 빙하가 90% 이상 사라진 2037년을 배경으로 한 ‘2050: 벼랑 끝 인류’는 기후 변화로 폐허가 된 세상에서 살아가는 미래 인류의 모습을 그려내 눈길을 모은다. 특히 ‘2050: 벼랑 끝 인류’에는 해수면 상승으로 침수된 도시부터 산소통을 메고 다녀야 하는 일상, 환경 문제에 직면한 세상...
극지연구소, 우리 기술로 3천500m 두께 얼음 탐사 2024-03-05 11:05:51
방식으로 새롭게 개발된 빙하 레이더는 헬기를 사용했을 때보다 탐사반경이 6배 이상인 1천500㎞까지 늘어났다. 총탐사 거리는 2천800㎞ 레이더로 확인한 빙하의 평균 두께는 3천m에 달했다. 연구팀은 2018년부터 4년간 연구 끝에 최대 4천m 깊이까지 정밀 분석이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의 레이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사이테크+]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 대규모 감소 1940년대 이미 시작됐다" 2024-02-27 09:00:55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스웨이츠 빙하는 대륙 빙상이 바다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 서남극 빙상의 안정성을 조절한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 빙하는 1970년대부터 빠르게 녹는 게 관측됐으나 그 시작이 언제인지는 불명확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2019년 쇄빙연구선 너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