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류세 인하, 4월까지 연장…농축수산물 할인지원 300억 추가 투입 2025-02-06 15:41:27
업체 자체 할인(20%)을 합쳐 최대 40%까지 가격을 낮춘다는 계획이다. 과일과 채소의 할당관세 물량 37만t도 신속히 도입하고, 최근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는 배추와 무는 정부 가용물량 등을 활용해 매일 200톤 이상 도매시장에 공급하기로 했다. 최근 가격이 높아진 석유류와 김 등 생활 밀접 품목에 대해선 매주 부처...
농식품장관 "배추·무 최대 40% 할인지원"…이달 직수입도 2025-02-06 14:00:01
62.3%, 42.4% 올랐다. 평년 가격은 지난 2020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무는 한 개에 2천958원으로 1년 전보다 86.9% 비싸고 평년보다 56.6% 올랐다. 농식품부는 오는 4월 중순부터 출하되는 봄배추와 무의 공급량을 늘리고자 봄 작형 재배 면적 확대를 지원한다. 농협을 통해 봄배추와...
[단독] 가격 두 배 뛰자…정부, 이달 중국산 무 '직수입' 2025-02-06 11:00:01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어서다. aT 농산물 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전날 기준 무(상품) 소매가격은 개당 2958원으로, 전년(1583원) 대비 86.9% 높고 평년(1889원)과 비교해도 56.6% 뛰었다. 전날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무는 전년 동월 대비 79.5% 상승했다. 배추는 이미 직수입절차가 시작됐다....
돼지 도매가격 10년 전 수준 2025-02-05 17:12:03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가격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돼지 도매가격은 지난 1월 말 기준 ㎏당 4758원으로 2015년 초 4800원가량과 비슷하다. 돼지고기 가격은 지난해 9월 9205원까지 뛰었지만 곧바로 떨어졌다. 국산 돼지고기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돼지고기 수입량 증가다....
설 지났는데도 배추·무 고공행진 2025-02-05 17:10:02
무 등의 도매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5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가격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기준 배추 도매가격은 ㎏당 1341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7.4% 올랐다. 같은 기간 무 도매가격도 ㎏당 1304원으로 161.59% 급등했다. 배추 도매가격은 작년 9월 2988원까지 치솟았다가 11월...
미래에셋 "금호석화, 올해 수익성 개선 제한적…목표가↓" 2025-02-05 08:41:53
"페놀 제품의 스프레드(제품과 원료 가격 차이)가 과거보다 축소됐고 전력도매가격(SMP·전력구입가격)이 낮아져 에너지 및 기타 영업이익률이 하락할 것"이라며 이처럼 판단했다. 또한 "부타디엔 가격 상승으로 합성고무 제품 가격에 인상분을 전가해야 하는데, 전방 시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가격 인상에 어려움을 겪을...
"오이무침 해먹어야 겠네"…무 깍두기 담그려던 주부 '한숨' 2025-02-05 06:21:01
등의 도매가격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5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가격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배추 도매가격은 ㎏당 1379원으로 전년(685원)보다 2배 올랐다. 같은 기간 무 도매가격도 ㎏당 1237원으로 141.1% 급증했다. 배추 도매가격은 작년 9월 2988원까지 치솟았다가...
K참치 '대항해 시대'…美 참치캔시장 절반 장악 2025-02-04 23:19:36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에 따르면 방콕 참치 도매시장에서 가다랑어 가격은 2023년 6월 t당 2000달러에서 2024년 8월 1250달러까지 하락했다가 지난해 12월에는 1540달러로 오르는 추세다. 참치산업으로 안정적 성장을 일궈온 회사들은 저마다 사업 다각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동원산업은 통조림 제조 기술을...
전기요금 지역 차등…상반기중 도입 무산 2025-02-04 18:01:27
“도매시장부터 지역별 가격제를 단계적으로 마련해 ‘연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올해 상반기 도매시장, 내년 초 소매시장에서 지역별 차등 요금제를 시행하겠다는 계획이 틀어진 셈이다. 현재 한국전력은 발전소가 생산한 전기를 지역 구분 없이 동일한 가격에 사들인다. 소매 전기요금도 전국에서 똑같이...
지자체간 복잡한 셈법에…지역별 전기요금제 도입 난항 2025-02-04 16:00:41
전력 도매전기요금제 차등화를 내년(2025년) 상반기 도입을 목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최근 보고된 올해 업무 계획에서는 목표 일자가 늦춰졌다. "도매시장부터 지역별 가격제를 단계적으로 마련하고 시간대별 수급상황을 고려한 계시별 요금제를 개선해 '연내' 추진하겠다"고 적혔다. 현재 한전은 발전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