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빨대·동전 등 '깨알지시' 맛들인 트럼프…'민생엔 손놔' 지적도 2025-02-15 19:59:24
1개월 사이에 15.2% 올랐으며, 1년 전과 비교하면 53% 치솟았다. 올해 1월의 계란 가격 상승률은 2015년 6월 이래 거의 10년만에 최고치였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에너지 및 식품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으며, 이는 7개월 만에 최고치다. limhwaso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신입은 안 뽑나요?"…4년만 최대폭 하락한 청년 고용률 2025-02-15 08:00:02
동월대비, 즉 2024년 1월 대비 0.1%p 상승했으니까 나쁘지 않게 보이죠. 하지만 핵심은 그 밑줄입니다. 전체 고용률은 늘었는데 청년층 고용률은 오히려 빠졌습니다. 하락폭은 1.5%p입니다. 그것도 2021년 1월 이후 4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빠졌습니다. 2021년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시절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지난 1월...
청년 일자리 22만개 줄고 노인은 34만개 늘었다 2025-02-14 17:53:44
1월 전체 취업자는 2787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만5000명 증가했다. 전체 취업자가 늘었지만 15~29세 청년층은 360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만8000명 줄었다. 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하던 2021년 1월(-31만4000명) 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청년 고용률은 지난해 5월 이후 9개월째 내리막을 걷고 있다. 1월...
[사설] 급감하는 청년 일자리…더 절실해진 직무급 임금 체계 2025-02-14 17:39:29
지난달 15~29세 청년층 취업자가 전년 동월 대비 21만8000명 줄었다는 우울한 소식이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1월(-31만4000명) 이후 4년 만의 최대 감소폭이다. 청년 고용률은 44.8%로 지난해 5월 이후 9개월째 떨어졌다. 기업들이 수시 경력직 위주로 직원을 뽑아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신규 채용이 줄어든...
어두워진 정부 경기 진단…"내수 회복 지연·하방압력 증가" (종합) 2025-02-14 11:44:09
동월보다 3.3% 각각 감소했다. 1월 속보지표에서도 국내 승용차 내수 판매량이 10.5% 감소하고, 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율이 5.4%에서 1.7%로 둔화하는 등 부정적 요소들이 나타났다. 작년 12월 건설투자는 전월보다 1.3%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비로는 8.3% 감소했다. 4분기 전체를 봐도 건설투자는 전기보다 3.2% 줄었다....
미국 시장 훈풍에 상승세 이어가는 코스피·코스닥 2025-02-14 11:25:59
노동부가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동월보다 9.7%, 전월보다 0.5% 각각 올랐으나, 전월 대비 상승폭이 둔화되었고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오름세가 꺾였기 때문이다. 이에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전장보다 12bp(1bp=0.01%포인트) 이상 떨어진 연...
"경기 하방 압력 증가"…3개월째 이어진 잿빛 전망 2025-02-14 10:00:08
비내구재(1.0%) 증가에도 내구재(-4.1%)와 준내구재(-0.6%)가 줄면서 전년 동월 대비 3.3% 감소했다. 건설 분야의 경우 지난해 12월 건설기성(불변)은 1년 전 같은 달보다 8.3% 줄었다. 토목공사에서 10.9% 감소했지만, 건축공사(5.9%)가 증가하면서 하락 폭을 줄였다. 작년 4분기 건설 투자(GDP 속보치)는 전기 대비 3.2% ...
어두워진 정부 경기 진단…"내수 회복 지연·고용 애로 지속" 2025-02-14 10:00:03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매 판매는 전월보다 0.6%, 전년 동월보다 3.3% 각각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전월보다 1.3%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비로는 8.3% 감소했다. 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1.2로 전월보다 3.0 포인트(p) 증가했지만, 여전히 기준값인 100을 밑돌았다. 두 달 연속 고용 관련 부정적인 표현이 경기 진단에 담긴...
[고침] 경제(환율·유가 상승에 1월 수입물가 넉 달째 오…) 2025-02-14 09:05:36
기준)의 경우 수입물량지수(110.30)와 수입금액지수(130.65)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8%, 7.1% 하락했다. 수출물량지수(101.49)와 수출금액지수(112.75)도 각각 10.7%, 11.1% 내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3.79)는 전년 동월 대비 3.1% 올라 19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출 가격(-0.4%)보다 수입 가격(-3.4%)이 더...
고환율에 더해진 고유가…1월 수입물가 2.3% 상승 2025-02-14 08:57:38
기준)의 경우 수입물량지수(110.30)와 수입금액지수(130.65)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8%, 7.1% 하락했다. 수출물량지수(101.49)와 수출금액지수(112.75)도 각각 10.7%, 11.1% 내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3.79)는 전년 동월 대비 3.1% 올라 19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출 가격(-0.4%)보다 수입 가격(-3.4%)이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