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내 자식 생각나"…군인에 공짜로 '특식' 만들어준 사장님 2024-01-22 13:40:19
곤이, 두부, 콩나물 등을 듬뿍 넣고 만든 찌개를 만들었다. 그는 "가게에 1인 메뉴가 없고 탕은 2인분이라 (군인이) 부담스러워할 것 같았다"며 "라면 사리에 공깃밥 두 개를 탁자에 두며 천천히 먹으라고 했다"고 전했다. 당시 군인은 배가 고팠는지 밥 두 그릇을 해치우고 제공된 찌개를 열심히 먹었다고 한다. 식사를...
"이게 4만원이라니 물가 미쳤다"…압구정 포차형 술집 논란 2023-12-07 10:43:50
음주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포장마차처럼 가게 내부에 천막을 치고 플라스틱 의자와 식탁을 배열했다. 옛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초록색 쟁반에 음식을 담아 손님에게 제공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해당 술집을 검색하면 '신상 핫플(명소)'이라는 키워드로 다수의 글이 작성돼 있다. 한 후기 글...
"광장시장 물가, 이 정도였나"…1만5000원 모듬전에 '당황' 2023-11-18 16:12:43
모둠전 1만5000원어치를 시켰는데, 가게 관계자는 "그걸로는 적다. 더 시켜야 한다"며 계속 추가 주문을 요구했다. 이후 등장한 모둠전에는 애호박전 1개, 맛살 1개, 꼬지 1조각, 두부 한조각 등 1만5000원어치라고 보기엔 다소 빈약한 모습이었다. 이를 본 베트남 지인은 "1500원이 아니라 1만5000원이냐"면서 "1500원인줄...
얼얼한 '마라맛' 선보였더니…3주 만에 100만개 팔렸다 2023-11-03 09:30:50
‘두부피’ 건더기를 넣어 가게에서 직접 먹는 듯한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했다. 한국인이 선호하는 사골국물 베이스에 마라와 땅콩, 참깨로 맛을 내고 마라탕 전문점의 1.5단계 맵기를 재현했다. 중국 사천 지방의 향신료인 마라가 마라탕이나 마라샹궈 등 중국요리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더니, 이제는 라면과 같은 한국...
"오늘은 맵기 몇 단계?"…마라탕에 점령당한 대치동 학원가 [현장+] 2023-10-11 20:00:04
채소, 고기, 버섯, 어묵, 해산물, 두부 등 각종 식자재를 넣고 끓인 중국식 요리다. 맵기는 순한 맛부터 신라면 정도의 매운맛, 불닭볶음면 정도의 강한 매운맛, 애호가들을 위한 매운맛 등 1~4단계로 나뉜다. 수십 가지 재료 중 원하는 것들만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조리를 요청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인기를...
95년史 공업사부터 3대째 이은 중식집까지…'백년가게' 발표 2023-08-30 14:05:08
고품질 장류로 청국장을 만든다. 이 가게 대표는 콩과 두부를 철저히 국내산만 고집하는 원칙을 한 번도 어긴 적이 없다. 또 식품위생관리사, 향토음식 전문지도사 등 다수의 자격증을 취득하고 요리경연 프로그램에서 입상하는 등 전문성을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부터 '백년가게'로...
하루 30만 찾는 '바르셀로나의 부엌'…'스린 야시장'엔 500개 점포 즐비 2023-07-06 18:43:20
상권이다. 지상층에는 먹거리를 파는 가게 외에 액세서리·옷을 파는 잡화점, 다트게임·사격 등을 즐길 수 있는 오락실이 즐비했다. 스린 야시장의 백미는 지하 1층 푸드코트다. 관광객뿐 아니라 현지인으로도 북적이는 푸드코트에서는 곱창국수 만두 굴오믈렛 취두부 꼬치 등 다양한 음식을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다....
"횟집 사장님 암 걸렸다더니…" 배달앱 악성 리뷰에 '공분' 2023-05-06 12:32:23
회랑 두부는 썩어도 먹을 정도로 좋아한다. 몇년 전 처음 주문했을 때 감동할 정도로 맛있고 좋았는데 오늘뿐 아니라 최근에는 너무 맛없다”고 혹평했다. 이어 “특히 광어는 항상 말라 있는데 왜 그런 건가”라면서 “사장님 암이라고 하셨는데 아직 살아계시냐. 돌아가셨냐. 제가 새벽에만 시켜서 그런 거냐. 원래 영업...
'유통기한'보다 긴 '소비기한' 도입…식품 폐기 정말 줄어들까 [하수정의 베르니케 영역] 2022-10-18 17:59:03
유통이 가능하다. 냉장(10도 이하) 상태에서 두부(살균제품)의 권장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15일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기한을 적용할 경우 식빵은 유통기한보다 20일, 두부는 무려 90일이 늘어난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참치캔은 5~7년 정도를 유통기한 설정 가능 기간으로 보고 있는데, 소비기한은 유통기한...
"90일 지난 두부 먹어도 된다?"…38년 만에 사라지는 유통기한 [하수정의 베르니케 영역] 2022-10-18 14:43:42
가능하다. 냉장(10도 이하)상태에서 두부(살균제품)의 권장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15일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기한을 적용할 경우 식빵은 유통기한 보다 20일, 두부의 경우 무려 90일이 늘어난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참치캔의 경우 현재 5~7년 정도 유통기한 설정 가능기간으로 보고 있는데 소비기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