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듀프리토마스쥴리코리아, 임직원 고용 안정과 미래 보장 위한 후속 방침 발표 2024-02-08 12:40:06
듀프리토마스쥴리코리아(이하 DTJ)는 어려운 경영 상황 속에서도 임직원들의 고용 안정과 미래 보장 등을 골자로 한 후속 방침을 8일 발표했다. 관계자는 "DTJ코리아는 작년 12월말, 유일한 사업장인 듀프리토마스쥴리면세점의 면세점 특허를 김해공항세관이 일방적으로 취소함에 따라 사실상 폐업 위기에 처하였음에도...
김해공항 롯데면세점, 듀프리 빈자리 메운다…주류·담배도 판매 2024-01-31 18:51:49
독점적으로 판매하던 듀프리토마스쥴리코리아의 면세점 운영권이 취소된 데 따른 것이다. 관세청은 듀프리코리아가 중소기업으로 위장해 수년간 부정하게 영업했다고 보고 면세점 운영권을 취소했다. 이에 김해공항에서 주류·담배를 판매하는 신규 면세 사업자를 선정할 때까지 롯데 면세점이 주류와 담배를 판매하기로...
김주남 롯데免 대표 "멜버른공항점 2027년까지 매출 3천억 목표" 2023-07-13 12:12:16
듀프리가 운영하던 매장을 인수 후 영업을 개시했다. 사업 기간은 오는 2033년 5월까지로 총 10년이다. 롯데면세점은 현재 약 1,090평(3,592㎡) 매장을 오는 2027년 약 1,704평(5,634㎡) 면적까지 확장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연 매출 3천억 원 규모의 공항면세점으로 재단장한다는 목표다. 멜버른공항공사에 따르면...
롯데면세점, 호주 멜버른공항점 개점…"연매출 3000억 목표" 2023-07-13 09:50:32
공항점 사업권을 획득했다. 이에 따라 기존 사업자인 스위스 듀프리가 운영하던 매장을 인수해 지난달부터 영업을 시작했다. 사업 기간은 2033년 5월까지 10년간이다. 롯데면세점은 현재 3592㎡ 규모의 매장을 2027년까지 5634㎡ 면적으로 확장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연 매출을 3000억원 규모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멜...
롯데면세점, 호주 멜버른공항점 개점 행사…연매출 3천억원 목표 2023-07-13 09:13:31
멜버른 공항점 사업권을 획득했다. 기존 사업자인 스위스 듀프리가 운영하던 매장을 인수해 지난달부터 영업을 시작했으며, 사업 기간은 2033년 5월까지다. 현재 매장은 약 1천90평 정도지만, 롯데는 2027년까지 1천704평으로 넓혀 연 매출 3천억원 규모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멜버른 공항점은 화장품과 향수, 주류, 담배...
롯데·신라면세점, 스위스 듀프리에 '2·3위 자리' 내줘 2023-04-04 06:11:00
데이빗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면세점 순위는 스위스 듀프리가 매출 9조3천890억원을 기록하며 롯데와 신라를 따돌리고 2위에 올랐다. 앞서 2019년 중국 국영면세점그룹(CDFG)이 글로벌 면세점 매출 순위 1위를 기록한 뒤 매출 순위는 CDFG에 이어 롯데, 신라, 스위스 듀프리 순이었다. 면세업계는 수익성 강화를 ...
중국 국영면세점그룹, 인천공항 사업권 노린다 2023-02-27 07:30:00
출국장 면세점의 비중이 높아 스위스 듀프리가 입점할 경우 타격이 클 수 있다. 이번 입찰 사업권은 롯데·신라·신세계·CDFG 등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일반사업권 5개와 동화·그랜드관광·경복궁·듀프리 등이 해당하는 중소·중견 사업권 2개로 구성됐다. 계약기간은 향후 10년으로 기존의 `기본 5년+옵션...
인천공항 면세점 입찰전에 中·스위스업체 가세…국내업계 긴장 2023-02-27 06:10:01
스위스 듀프리가 입점할 경우 타격이 클 수 있다. 이번 입찰 사업권은 롯데·신라·신세계·CDFG 등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일반사업권 5개와 동화·그랜드관광·경복궁·듀프리 등이 해당하는 중소·중견 사업권 2개로 구성됐다. 계약기간은 향후 10년으로 기존의 '기본 5년+옵션 5년'보다 안정성을 크게 높여...
KAC 온라인 면세점, 항공기 탑승 1시간 전에도 구입 가능 2023-02-03 16:27:12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롯데·듀프리토마스쥴리코리아·경복궁·동무 등 4개 면세업체와 함께 공항전용 온라인 면세플랫폼을 도입한다. 현재 온라인 면세점은 항공기 탑승시간 기준 3~5시간 전까지 면세품을 구매해야 한다. 공사 관계자는 "공사와 면세업체는 올해 안에 서비스 운영을 개시하고 향후 단계적으로 사업 참여...
"중국을 밖에서부터 포위"…롯데면세점의 역발상 투자 [박동휘의 컨슈머 리포트] 2022-11-15 08:49:39
신라면세점은 부동의 1위인 스위스 듀프리에 이어 글로벌 ‘빅3’를 형성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상황이 바뀌고 있다. 중국이 하이난을 중심으로 자국 면세 산업을 적극 육성하면서 글로벌 1위 자리가 중국 업체(CDFG)로 바뀌었다. 트래블 유통 산업의 중국 의존도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면세점 업계 관계자는 “LVM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