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국 살길은 제조업 AI 전환뿐"…민·관 2조5000억원 투자 2024-07-22 10:30:01
선 보였다. LG전자는 자율제조 역량 집대성한 디지털 등대공장인 LG스마트파크 구축하고 층간 물류 자동화, 머신러닝 활용한 설비 이상 사전 감지, AI기반 품질 검사, 혼류생산 대응 부품 자동 공급 시스템 등을 개발한 바 있다. LG전자에 따르면 이 같은 AI자율제조를 통해 LG전자의 생산성은 17% 향상되고 물류면적은 30%...
[시론] '메이드 인 인디아'와 韓 기업 2024-07-15 17:25:08
국가’이므로 마케팅 활동에 제약이 있다. 디지털 기술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SNS가 인기 있지만 또 다른 인구 대국인 중국과 비교해 도시화율이 매우 낮아 디지털 경제가 전국적이라기보다는 주로 도시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모디 총리가 상품서비스세(GST)를 통일해 주마다 달랐던 복잡한 세제가 ...
OECD 경제계, 하반기 완만한 성장 전망…지정학적 갈등은 우려 2024-07-09 06:00:08
간 무역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특히 운송장비 제조에 대한 영향까지 고려하면 동유럽 등에서는 물류뿐 아니라 관련 장비 교역에 대한 상당한 압력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OECD 회원국 경제단체들은 올해 하반기 기업 환경에 대해서도 대체로 긍정적 전망했다. 전체 회원국 경제단체의 81%는 하반기 기업 경쟁력...
"에스토니아의 청정 식품 산업, 韓 사로잡을 가능성 충분해" 2024-06-19 10:08:59
기여를 해왔습니다. 이들 기업의 성공은 에스토니아의 디지털 인프라가 얼마나 잘 발달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특히, 이런 혁신적인 기술은 식품 산업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2024년 걸푸드(Gulfood)에서 이노베이션 상을 받은 에스토니아의 발트해 연안 최초 및 유일한 귀리 음료/요거트 제조업체 유크(YOOK)는 연간...
한·우즈베크 경제인들, 광물 공급망 구축·첨단산업 협력 강화 2024-06-14 23:07:16
한국과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를 체결해 경제 협력의 폭이 넓어졌다. 양국의 핵심 협력 분야로는 공급망, 첨단산업, 에너지, 인프라 등이 꼽힌다. 허철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장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 현황과 전략을 소개하며 "지질자원연구원이 보유한 스마트 드론 탐사...
푸틴, 경제협력 '최고의 패' 들고 중국 찾아(종합) 2024-05-16 23:55:38
겸 극동전권대표, 드미트리 체르니셴코 디지털·과학 담당 부총리, 타티야나 골리코바 문화·보건·교육 담당 부총리, 비탈리 사벨리예프 교통 담당 부총리, 엘비라 나비울라나 중앙은행 총재 등 경제 분야 고위급이 방중 대표단에 이름을 올렸다. 안톤 실루아노프 재무장관, 막심 레셰트니코프 경제개발장관, 알렉산드르 ...
[아프리카를 가다] ① 지구촌 마지막 '성장 엔진' 2024-05-12 07:01:04
연결하는 카중굴라 대교는 남아프리카 물류의 '대동맥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이 강점을 가진 방산과 IT·디지털 등도 점차 협력을 확대할 분야다. 이 밖에 농업과 농산물 가공업, 의료보건, 화장품과 식품 등 소비재 등을 유망한 협력 가능 분야로 코트라(KOTRA)는 꼽았다. 이런 잠재력과 가능성에도 아프리카...
홍콩투자청, 무역협회와 홍콩 진출길 확대 논의 2024-05-10 16:08:48
크래프트 테크놀로지스, 홍콩무역발전국 등의 실무진이 연단에 올라 각 분야의 경영 환경을 발표하고 토론이 이뤄졌다. 이날 세미나에는 사이버 포트를 비롯해 홍콩과학기술원, 크래프트 테크놀로지스, 홍콩무역발전국 등의 실무진이 연단에 올라 각 분야의 경영 환경을 발표하고 토론이 이뤄졌다. 헨리 리 사이버 포트...
정부·재계·주한외교사절 한자리에…"투자 인센티브 확대해야"(종합) 2024-04-30 19:25:25
분야(복수응답)는 재생에너지(77.0%), 관광·물류(70.5%), 제약·바이오(65.6%), 이차전지·배터리(62.3%) 순으로 조사됐다. 그린에너지·디지털 혁신, 국제무역 환경 변화 등 전 세계가 동일한 과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경제안보를 지키기 위한 '가치 파트너'(Value Partner)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자원,...
정부·재계·주한외교사절 한자리에…"투자 인센티브 확대해야" 2024-04-30 18:33:44
분야(복수응답)는 재생에너지(77.0%), 관광·물류(70.5%), 제약·바이오(65.6%), 이차전지·배터리(62.3%) 순으로 조사됐다. 그린에너지·디지털 혁신, 국제무역 환경 변화 등 전 세계가 동일한 과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경제안보를 지키기 위한 '가치 파트너'(Value Partner)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