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I가 인공 단백질 설계…난치병 극복 길 열렸다" 2024-10-10 17:58:45
로제타폴드’를 개발한 공로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노벨화학상의 주인공이 됐다. 베이커 교수는 단백질 AI 설계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다. 지난 3월 공개된 로제타폴드 최신 버전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단백질까지 만들어낼 수 있다. 난치병 해결의 열쇠가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천재' 허사비스가 이끄는 딥마인드 노벨상까지 거머쥐어(종합) 2024-10-09 23:19:20
프로그램 시리즈인 '로제타'의 최신 모델로 내 놓은 '로제타폴드 올 아톰'(RoseTTAFold All-Atom)은 단백질과 디옥시리보핵산(DNA), 리보핵산(RNA) 등을 설계할 수 있는 혁신적 AI로 주목받았다. 600편 이상의 논문을 쓴 연구자인 동시에 '프로스펙트지노믹스', '아이코사백스' 등 10여개...
컴퓨터와 AI가 밝혀낸 단백질 구조…모든 생명현상 비밀 풀 열쇠 2024-10-09 20:27:28
1990년대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로제타'를 개발했는데, 이후 이를 응용해 완전히 새로운 단백질을 만드는 '드 노보(de novo) 설계' 분야에 뛰어들었다. 완전히 새로운 구조의 단백질을 만들면 로제타가 어떤 아미노산 서열이 이런 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는지 계산해 주는 것이다. ...
노벨 화학상도 AI가 접수…'알파고 아버지' 등 3인 공동수상 2024-10-09 19:57:34
‘로제타’의 개발이다. 이 프로그램은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나아가 새로운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도구다. 이를 통해 질병 치료에 필요한 신약을 개발할 수 있다.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베이커 교수의 제자다. 백 교수는 알파폴드를 개량한 ‘로제타 폴드 디퓨전’이라는 단백질 분자 설계 및 예측...
AI 기반의 '인공 단백질' 도래…바이오의약품·산업분야 폭넓은 활용 예상 2024-04-17 15:56:53
로제타’는 이 분야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초기에는 자연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계산을 통해 일부의 서열만 바꾸면서 열 안정성, 수용성 등 생물리·화학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기술로 개발됐다. 이제는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골격을 가진 인공 단백질을 설계할 수 있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혁신가' 백민경·윤효상 교수, 포니정 영리더상 수상 2023-09-20 17:29:23
저자로 연구를 주도한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AI) 프로그램 '로제타폴드'는 한국인 연구자 최초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의 '2021 최고의 연구'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윤 교수는 2019년부터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조교수로 부임해 누리호의 위성 자세 제어 코드를 6개월 만에 작성해 ...
포니정재단, 올해 영리더상 수상자에 백민경·윤효상 교수 선정 2023-07-18 10:13:42
공개된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인 '로제타폴드'의 핵심 개발자로 연구를 이끌었다. 이 연구로 한국인 연구자 최초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의 '2021 최고의 연구성과'에 선정됐다. 윤효상 교수는 2019년부터 KAIST 항공우주공학과에 조교수로 부임해 누리호의 위성 자세 제어 코드를 6개월...
SK바이오사이언스, '스카이코비원' 영국 승인 획득 2023-05-30 09:22:40
딥러닝 적용 단백질 구조 예측·분석 프로그램인 '로제타폴드(RoseTTAFold)'를 활용했다. 단백질 입체구조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독하는 로제타폴드를 통해 개발해 완성도를 높인 세계 최초의 백신으로 평가받는다. 개발비는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공중 보건 증진을 위한 가능성을 인정받아 EU 호라이즌2020 연구...
윤 대통령 "바이오헬스, 제2 반도체로"…5년내 '1조 신약' 2개 키운다 2023-02-28 18:36:21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의 단백질 구조 분석 AI 알파폴드, 미 워싱턴대의 로제타폴드에 대항할 수 있는 ‘한국형 로제타폴드’도 개발한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아이디어 단계부터 기술 사업화까지 총괄 지원하는 한국형 바이오클러스터를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이지현/오형주 기자 bluesky@hankyung.com
수십년 걸릴 신약개발 난제…AI, 5분 만에 해결 2022-09-20 17:25:27
‘로제타폴드’로 단백질 구조 해독을 약 5분 만에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기술로는 복잡한 단백질 구조로 인해 수십 년 이상 걸리는 난제였다. 백 박사 연구팀의 성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에서 2021년 올해의 혁신 연구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런 성과에 힘입어 정부는 첨단 바이오 연구의 디지털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