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우물가 설화'·아스피린…천변만화 '버들 문화'[고두현의 문화살롱] 2023-10-24 18:04:20
버드나무는 물만 있으면 잘 자란다. 낙엽 교목이지만 초겨울까지 잎이 파릇파릇하다. 그만큼 생명력이 강하다. ‘오동나무는 천년 늙어도 항상 그 곡조 간직하고/ 매화는 추운 겨울 꽃 피우나 향기 팔지 않네/ 달은 천 번 이지러져도 본래 그대로이고/ 버드나무는 백번 꺾여도 새 가지가 또 올라오네’(조선 중기...
[더 라이프이스트-손주에게 물려줄 아버지 고사성어] 환경 탓하지 마라 2023-09-06 09:25:58
아버지는 즐겨 쓰던 한시를 암송했다. “오동나무로 만든 악기는 천 년을 묵어도 자기 곡조를 간직하고[桐千年老恒藏曲], 매화는 일생에 추워도 그 향기를 팔지 않으며[梅一生寒不賣香],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본바탕은 변치 않으며[月到千虧餘本質], 버드나무 가지는 백 번 꺾여도 새 가지가 돋아난다[柳經百別又新枝]....
롯데홈쇼핑, 풍납초에 '8호 학교숲' 조성 2023-06-27 09:04:52
500㎡ 면적에 매화나무, 대추나무 등 미세먼지 저감 수목 총 1천600그루를 심고 산책로 등을 만들었다. 롯데홈쇼핑은 지난해까지 도심 속 녹지공간 조성 사업을 진행해왔으며, 올해부터는 학교 숲을 통해 아이들에게 자연 친화적인 쉼터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앞서 지난 14일에는 서울 강서구 송화초등학교에 7호...
개화시기, 온난화로 100년전보다 한달 이상 당겨져 2023-06-13 18:37:40
등 미국·영국 공동 연구팀의 연구 결과 지난 100년 사이 매화는 약 53일, 개나리 약 23일, 벚꽃은 약 21일 개화 시기가 당겨졌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기상청이 1922년부터 전국 기상관측소 74곳에 있는 실험용 정원의 나무, 관목 7종의 개화 시기와 기온 변화를 기록한 자료를 근거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또 종마다...
알레르기 환자 왜 많나 했더니…봄 꽃가루 방사량, 작년의 2.5배 2023-04-27 18:52:04
4~5월엔 소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등 바람을 타고 꽃가루가 운반되는 ‘풍매화’에서 꽃가루가 생긴다. 가을철엔 돼지풀 쑥 환삼덩굴과 같은 잔디류에서 꽃가루가 주로 나온다. 꽃가루는 양이 많거나 항원성이 강할 때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전문가들이 꼽은 항원성 높은 나무는 참나무와 소나무인데, 한국 산림에서 두...
매실·미나리·전복에 꼬막까지…남도의 봄맛 즐기러 가볼까 2023-04-13 09:32:04
어깨 곁으로 흐르고 눈부신 매화가 꽃 대궐을 이루는 오색찬란한 남도의 땅 광양으로 향한다. 온화한 봄기운이 백운산 기슭을 따라 흐르는 새하얀 매화 세상이 되면 광양 지계마을 사람들은 이 매화꽃으로 호사를 누린다. 매화나무 옆에 이 봄을 풍성하게 해주는 건 바로 봄나물. 쑥부쟁이, 머위, 달래 등 뭐든 어리고 연한...
안동 도산서원 매신(梅信), 매화 물결 ‘넘실’ 2023-03-19 12:33:48
전령 매화가 안동 도산서원 일대에 활짝 피기 시작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이번 주에 도산서원 내 80여 그루의 매화가 만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히, 도산서당에서 진도문을 오르는 계단 옆의 매화가 만개하면 창연한 서원과 어우러진 청아한 꽃 향기가 상춘객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매화나무는 만물이 추위에...
"레저 전문가와 봄 여행"…제주신라호텔, 체험 프로그램 선봬 2023-03-09 18:24:14
피는 나무라는 뜻을 가진 황근나무, 백 년에 한 번 꽃을 피워 세기의 꽃이라 불리는 용설란, 빼어난 향기로 정원수의 황제라고 불리는 금목서와 은목서 등 120여종에 달하는 식물을 관찰할 수 있다. 매주 월, 수, 금, 일요일 오전 10시~오후 1시에 진행된다. 유료 프로그램으로 7~13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며 사전 예약...
‘산청 3매’ 향기에 이호신 화백 그림까지 [고두현의 아침 시편] 2023-03-03 06:20:01
한 그루 매화/ 찬 여울 꽃망울 나를 위해 열었네/ 밝은 창에 글 읽으며 향 피우고 앉았으니/ 한 점 티끌도 오는 것이 없어라.” 백매(白梅)인 정당매는 인근 단속사지(斷俗寺址)에 있습니다. 단속사는 통일신라 시대 절인데 지금은 절터와 삼층석탑만 남아 있지요. 정당매는 삼층석탑 뒤쪽 숲속에 있습니다. 고려 말 통정공...
예술위, `2022 아트너스 굿즈 공모전` 시상식 개최 2022-12-23 11:27:50
대상인 아트너스상에는 전통 꽃살문의 격자매화 문양을 원목 펜꽂이에 입힌 정시원 작가의 `다시, 봄`이 선정, 상패와 상금 500만원을 수상했으며 최우수상은 예술위의 예술나무운동을 상징하는 `나무 풍경 자`를 출품한 `이모저모 도모소`팀이 차지, 상패 및 상금 300만원을 수상했다. 그리고 제주의 전통종이예술인 기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