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지 사이언스] 음식물 쓰레기를 에너지로…주목 받는 '바이오 리파이너리' 2024-09-14 08:00:07
2세대, 미세조류 등 비식량 원료를 사용하는 3세대가 대표적이다. 1세대는 경작지 등 지속 가능성 문제가 있고 3세대 기술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다. 이에 바이오매스를 활용하는 2세대 바이오 리파이너리 기술이 현재로선 가장 주목받는다. 바이오매스를 에너지로 전환하는 플랫폼으로는 바이오가스화 공정이 있다. 이는...
GOED, 서울 메종 르서클에서 EPA/DHA 오메가-3 컨퍼런스 개최 2024-09-13 11:14:26
미세조류, 어유 등의 다양한 급원 소개, ▲국내 소비자들의 오메가-3 섭취 실태 분석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현장에는 GOED의 주요 회원사인dsm-firmenich, KD Pharma, Golden Omega, Epax, Aker Biomarine등이 오메가-3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소개하는 부스가 마련되었다. GOED 회원 후원사 전시와 오메가-3 앰버서더...
리만코리아, 미세조류 기반 ‘주름개선 비고시 기능성 화장품’ 식약처 인증 2024-08-13 14:44:26
박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로 미세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허가’를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미세조류는 흔히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알려진 미생물로, 지구 대기의 탄소 농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의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원료이다. 연구진은 미세조류 천연 추출...
에쓰오일, 유일바이오텍·고려대와 손잡고 바이오항공유 개발 2024-06-20 09:30:53
고려대와 공동 개발을 통해 미세조류인 유글레나에서 추출한 지질을 공정 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유글레나는 건중량 내 20∼40%의 높은 지질 생산성과 바이오항공유 적합도 90% 이상의 지질로 구성돼 우수한 바이오항공유 원료로 주목받는다. 유글레나 추출 지질을 공정 원료로 활용하면 높은 전환율로 SAF를 생산할 수...
바이오연료로 떠오르는 '미세조류'…식용유·사료 등으로도 활용 2024-06-13 16:25:16
이론상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에서 버려지는 부분 없이 모두 활용하는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디자인이 가능한 셈이다. ○설계 단계서 비용·온실가스 고려해야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를 현실화하려면 설계 단계부터 효율을 극대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지질을 추출한 후 회수된 잔사 바이오매스에서 가수분해 등 추가...
미래 먹거리 '대체해조·수산배양육' 개발에 286억원 투입 2024-05-09 11:00:01
해조류, 미세조류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을 활용해 고기와 흡사하게 제조한 식품이다. 수산 배양육은 어류·패류·갑각류 등 수산 동물에서 유래한 조직이나 세포를 배양해 제조했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해수부는 올해부터 추진하는 대체 해조육 및 수산 배양육기술 개발 사업자로 4개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했다. 대체...
[기고] 녹조를 넘어 기후변화에 강한 국가 물 환경으로 도약하자 2024-02-07 18:53:14
녹조는 미세먼지와 더불어 한국의 대표적인 환경 난제 중 하나다. 녹조는 생활하수, 산업폐수, 농축산 폐수의 유입으로 하수와 호수 내 영양염류가 증가하고 장마 이후의 강한 태양광과 높은 수온의 조건 아래 남조류가 대량 발생하는 현상이다. 인간 활동과 자연환경이 연계된 복합적 결과다. 한국의 녹조 문제는 최근...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김준환 제주대 교수·이존화 전북대 교수 2024-02-05 12:00:06
밝혔다. 김 교수는 미세플라스틱 등 물속 다양한 환경 위해성 물질이 어류 등의 생존에 미치는 내성한계와 독성을 내는 원리를 밝히고, 수산생물에 대한 수질환경기준 지표를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여러 표적 항원을 만들 수 있는 경구투여 방식의 세균 전달 시스템 백신 플랫폼을 개발해 아프리카돼지열병,...
대봉엘에스, '미세조류'를 활용한 펩타이드 화장품 소재 특허 등록 2024-01-26 09:12:32
미세조류'를 활용한 펩타이드 화장품 소재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대봉엘에스는 단백질 함량을 60% 이상으로 높인 배양 기술이 적용된 황금 클로렐라로부터 저분자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과 햇빛만으로 자라는 미세조류는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부합하는 소재다....
"최악의 재난은 날씨"...전문가 사이 1위 2023-12-22 17:47:48
꼽혔다. 중기적(2∼5년) 관점과 단기적(0∼2년) 관점으로는 각각 조류 대발생·해양 오염사고(이상 58.0%), 산불(84.0%)을 골랐다. 정부가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한 재난 분야를 묻는 항목에는 60.5%가 감염병과 가축 전염병을 꼽았다. 그 뒤를 이어 사고 화재 위험물 사고(58.0%), 지진·화산·낙뢰 사고(58.0%), 풍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