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가족 통관부호로 고급 와인 반입한 수입업자 적발 2024-10-21 11:33:26
사용을 가장한 상용품 밀수입 등 관세 사범이 110건(530억원), 지재권 침해 사범이 4건(19억원), 불법 식의약품 밀수입 등 보건사범이 11건(58억원), 마약 사범이 18건(1억원)으로 조사됐다. 관세청은 국내·외 전자상거래업체와 협업해 유해 식·의약품, 지재권침해 의심 물품 등 불법·부정 수입 물품의 온라인 유통에...
대림동 中상점 털었더니…'마약 밀거래' 적발 2024-09-24 13:31:15
기준치(3㎎/㎏ 이하)를 초과해 국내에 반입할 수 없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반입금지 사실을) 몰랐다"고 진술했지만, 2년 전에도 같은 의약품을 팔다가 적발된 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압수한 제품들의 성분분석을 의뢰하는 한편, 불법 의약품 밀수입 경로 등에 대해 추가 수사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특송화물 늘었지만 더딘 인력지원…마약 적발량 4년간 9.6배로 2024-09-22 07:11:10
통해 밀수입하려다가 적발된 마약 중량은 약 10배로 늘었다. 2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로 반입된 특송화물 건수는 지난해 1억4천112만8천건이었다. 이는 4년 전인 2019년 5천253만6천건보다 169% 늘어난 규모다. 이를 담당하는 세관 인력은 같은 기간...
옷·가방 밀수하는 항공사 직원들…올해만 12건 적발 2024-09-15 08:13:47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항공사 직원이 밀수입을 하다 적발된 사례는 119건으로 나타났다. 금액으로 보면 3억6200만원에 이른다. 연도별로는 2020년 26건(7300만원), 2021년 32건(8500만원)을 기록했다. 2022년엔 21건(6200만원)으로 줄었지만 지난해에 다시 28건(1억400만원)으로...
항공사 직원이 밀수? 의류·가방·신발 등 5년간 119건 적발 2024-09-15 07:33:02
직원이 밀수입으로 적발된 건수는 119건으로 집계됐다. 금액으로는 3억6천200만원 수준이다. 연도별로 2020년 26건(7천300만원)에서 2021년 32건(8천500만원)으로 늘었다가 2022년 21건(6천200만원)으로 줄었다. 지난해는 28건, 1억400만원으로 다시 증가했다. 올해는 7월까지 3천800만원 규모로 12건이 적발됐다. 품목별로...
지난해 마약밀수 613억원어치 적발..1년전 대비 18% 증가 2024-09-09 06:31:19
비교하면 5배 넘게 폭증한 수치다. 밀수 경로별로는 국제우편을 통한 밀수입이 327㎏(약 251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특송화물(275㎏·약 199억원), 항공 여행자의 직접 반입(148㎏·약 151억원) 등 순이었다. 마약 품목별로는 필로폰이 총 438㎏(약 408억원)으로 가장 많이 적발됐다. 이른바 '클럽 마약'으로...
관세청 드론, 내년부터 운용 안해…4년여간 적발실적 없어 2024-09-05 06:31:10
못하기도 했다. 드론은 지난 7월까지 4년여간 밀수입 적발 실적을 올리지 못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정부는 14대의 드론을 도입하는 데 9억8천900만원의 재정을 투입했다. 1대당 7천만원꼴이다. 이를 운용하기 위한 예산으로는 5년간 4억4천200만원을 편성했다. 드론 도입·운용에 14억여원을 투입한...
와인인데 음료수로 둔갑…'담배·술' 밀수입 상반기 287건 적발 2024-08-20 06:17:07
밀수입 적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담배와 주류 밀수입 적발 규모는 287건이었다. 담배가 256건, 주류가 31건이다. 금액으로는 담배 16억원, 주류 13억원 등 모두 29억원이다. 담배·주류 밀반입 건수는 2020년 271건에서 2021년 96건으로 줄었다가 2022년 276건으로 다시 늘어 지난해에는 711건으로...
"설마 내가 산 것도?" 싸게 팔던 'S사 텀블러' 알고 보니… 2024-08-16 15:48:29
특송화물의 증가 추세로 위조 상품 밀수입이 증가해 특송화물에 대한 모니터링과 정보분석을 강화하고,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히 단속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소비자들에게 공식 쇼핑몰이 아닌 곳에서 정품 가격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는 제품은 위조품일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위조 상품의 밀수·유통·판매...
해외직구로 미허가 동물용 의약품 밀수한 수의사 적발 2024-08-13 09:45:47
동물용 의약품 10억원 상당을 밀수입한 수의사를 적발해 서울중앙지검에 기소 의견으로 송치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의사 A씨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스페인 온라인 사이트에서 구매한 국내 미허가 동물용 의약품을 자가사용 물품으로 가장해 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현재 개인이 직접 쓸 목적으로 온라인 등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