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명지대, 반도체공학과 신설…수능100%로 디자인학부 지원 가능 2022-12-26 17:55:14
문예창작학과와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를 모집하고, 자연캠퍼스(용인)에서는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스포츠학부(체육학·스포츠산업학 전공), 예술학부(영화 전공), 건축학부(건축학 전공)를 모집한다. 실기·실적(실기우수자 전형)은 바둑학과, 예술학부(피아노 전공, 성악 전공, 아트앤멀티미디어작곡 전공,...
명지대학교, 1004명 선발…학부 또는 단과대 단위로 모집 2021-12-22 15:34:05
인문캠퍼스(서울)에서는 문예창작학과와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를 모집하고, 자연캠퍼스(용인)에서는 디자인학부, 스포츠학부(체육학·스포츠산업학 전공), 예술학부(영화 전공), 건축학부(건축학 전공)를 모집한다. 실기·실적(실기우수자 전형)은 바둑학과, 예술학부(피아노 전공, 성악 전공, 아트앤멀티미디어작곡...
세계가 인정한 교육 인프라…미래형 융합인재 '明·知·人' 키운다 2021-11-28 14:09:24
학과별 평가 등 각종 외부 기관 평가에서 높은 성적을 거뒀다. 영화·뮤지컬학부, 바둑학과, 아랍지역학과, 미술사학과, 문예창작학과 같은 특성화된 학과들은 교육의 획일화를 막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성과로 증명된 연구 역량우수한 교수진 역시 명지대의 저력을 뒷받침하는 핵심 역량으로 꼽힌다....
2022학년도 정시 1004명 선발…학부·단과대학 단위 모집 2021-11-28 14:04:48
인문캠퍼스(서울)에서는 문예창작학과와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를 선발한다. 자연캠퍼스(용인)에서는 디자인학부, 스포츠학부(체육학·스포츠산업학전공), 예술학부(영화전공), 건축학부(건축학전공)를 모집한다. 실기고사의 성적이 당락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기·실적(실기우수자전형)은...
[2022학년도 대입 전략] 문과생, 미적분·기하 따로 풀어보고 수학 선택과목 변경 검토해야 2021-05-31 09:02:13
모두 발표된다. 목표 대학과 학과의 수시요강을 살피면서 구체적인 지원전략을 세워가야 한다. 수시에서 학생부 위주 전형을 목표한다면 본인의 내신 평균등급으로 지원이 가능할지, 지원전공과 관련해 동아리 탐구활동 등 비교과 이력은 풍부한지 등 꼼꼼한 점검이 필요하다. 내신등급이 낮은 학생이라면 논술전형에...
"아이가 먹을까봐 끔찍"…우유팩 열다가 '화들짝' 놀란 이유 2021-05-14 06:00:08
용기에 바둑알 모양 초콜릿을 담은 '최강 미니 바둑 초콜릿' 등을 판매했다. 세븐일레븐 역시 시멘트 회사인 천마표와 손잡고 '천마표 시멘트 팝콘'을 선보이며 시멘트 포대 디자인을 상품 패키지에 그대로 활용했다. 아모스 문구사의 딱풀과 유사한 '딱붙캔디'도 판매했었다. 문제는 유아동이...
고광일 고영테크놀러지 대표 "한번 꽂히면 직진…틀 갇히면 혁신은 없다" 2021-05-11 17:40:16
△1957년 충북 청주 출생 △1976년 서울고 졸업 △1980년 서울대 전기공학과 졸업 △1982년 서울대 제어계측학과 석사 △1981~1983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 △1989년 美 피츠버그대 공학박사 △1989~1997년 LG산전 연구소 산업기계연구실장 △1997~2002년 미래산업(주) 연구소장 △2002~현재 (주)고영테크놀러지 대표...
"우버·아마존처럼…AI 활용해 새 가치 창출하는 시장 키워야" 2020-11-11 17:31:22
2016년 구글 알파고가 이세돌 프로 바둑기사를 누른 일도 언급했다. 조던 교수는 “수백~수천 개의 컴퓨터를 동원해 바둑판 위에서 가능한 수를 찾은 것”이라며 “지능을 가졌다기보단 검색과 계산을 더 잘했다고 봐야 한다”고 평가절하했다. 복잡한 계산을 더 빨리 할 수 있도록 고안한 알파고가 인간의 지능을 지녔다고...
마이클 조던 교수 "새로운 가치 만드는 AI 시장 키워야"[글로벌인재포럼 2020] 2020-11-11 12:02:01
했다. 2016년 구글 알파고가 이세돌 프로 바둑기사를 누른 일도 언급했다. 조던 교수는 “수백~수천 개의 컴퓨터를 동원해 바둑판 위에서 가능한 수를 찾은 것”이라며 “지능을 가졌다기보단 검색을 더 잘했다고 봐야 한다”고 평가절하했다. 복잡한 계산을 더 빨리 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 지닌 지능을 지녔다고 볼 수 ...
"인간 넘어선 로봇, 수백년 뒤에나 가능…AI 일자리 창출 간과 말라" 2020-10-18 17:13:32
2016년 구글 알파고가 이세돌 프로 바둑기사를 누른 이후 코딩 교육 열풍이 불고 있다. 조던 교수는 여기에 따끔한 일침을 가했다. 그는 “성인도 이해하지 못할 C언어(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초등학생에게 가르칠 필요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학과 인문학, 계산적 사고 등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가져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