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에따블라디] 낙서에 침수까지…방치된 독립운동가 기념비들 2020-08-10 08:08:08
건넌 산운 선생은 러시아 연해주의 고구려와 발해사를 연구하는 등 국사 연구에 매진해 대표적인 민족 사학자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기도 했다. 이처럼 연해주 현지에서 수난을 겪는 조형물은 장도빈 선생의 기념비만이 아니다. 장도빈 선생 기념비에서 조금 떨어진 라즈돌나야...
김진광 실장, 고구려발해학회상 수상 2020-02-04 17:48:14
제6회 학술상을 받았다. 김 실장은 학술지 ‘고구려발해연구’ 제65집에 게재한 논문 ‘화장묘 조영과 정치세력 변화의 상관성 연구-7∼10세기 발해 고분 사례를 중심으로’로 이 상을 받았다. 김 실장은 중국 옌볜대 발해사연구소 객원연구원과 한중연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지냈다.
"전쟁터 된 韓·中·日 고대사 연구…근대 기반 해석 버려야" 2019-08-29 17:39:40
고대국가로 통일됐다는 분국론이 제기됐다. 발해사는 한국과 중국의 전쟁터다. 한국은 고구려계가 지배층을 형성하고 고구려 문화를 계승했으므로 한국사라고 주장하고, 중국은 말족이 피지배층의 대다수였으므로 말갈인이 운영한 당나라의 지방정권이라고 맞선다. 광개토왕비는 한·중·일의 삼국 전쟁터다....
[신간] 20개 주제로 본 한일 역사 쟁점 2019-05-15 12:56:10
이식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발해사 연구자인 구난희 한중연 교수는 중국에 남은 묘지명에 대해 "삼국사기로는 읽어내지 못하는 고구려·백제 멸망 이후 역사상을 알 수 있는 자료"라며 "번역서 출간으로 고구려와 백제 연구가 심화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452쪽. 2만5천원. psh59@yna.co.kr...
[신간]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정본 발해고 2018-03-30 10:27:03
사학과 교수가 번역했다. 발해고는 발해사를 정리한 최초의 책이다. 유득공은 고려가 역사서를 만들 때 신라와 발해를 함께 다루는 '남북국사'의 관점을 견지하지 않았다는 점을 비판했다. 김 교수는 "유득공은 발해고를 수정하면서 분량을 늘리고 오류를 수정했다"며 "발해를 한국사의 체계 안에서 파악하려 했던...
하나라부터 신해혁명까지…4천년 중국 문명을 집약하다 2017-12-25 11:00:03
번역하면서도 별도로 주석에 설명을 덧붙였다. 예컨대 원서는 발해를 "당 오대 시기에 말갈족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 동북 지역에 건립된 변방 민족 정권"이라고 기술했는데, 이에 대해 역자는 "발해사를 한국의 대부분 학자는 고구려를 계승한 한국사로 보고 있다"고 주를 달았다. 구자원·문승용·서성·김상일 옮김. 각권...
자주국 꿈꾼 대한제국과 러시아의 관계를 고찰하다 2017-11-04 10:55:01
대한제국, 한국의 독립운동, 고구려사와 발해사 연구 등에 관한 발표가 이어진다. 최덕규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전신(電信)의 관점에서 대한제국의 국제 관계를 조명한다. 최 연구위원은 "한반도는 러시아와 중국은 육상으로, 일본과 미국은 해저로 전신이 연결될 수 있는 천혜의 장소였다"며 "대한제국은 '슬로...
동북아 질서 바꾼 1992∼2017…한중수교 25년 주요 일지 2017-08-18 06:23:15
중국 사회과학원, 발해사를 중국사로 편입한 논문 요약본 웹사이트 게재 논란. ▲2007년 말 = 중국, 한국의 최대 수입국 부상 ▲2008.5 = 이명박 대통령 방중, 후 주석과 회담 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 합의. ▲2008.8 = 이 대통령, 베이징 올림픽 참석차 방중해 후 주석과 회담. ▲2008.8 = 후 주석...
[신간] 발해를 찾아서·석기고고학 2017-05-30 18:03:48
= 송기호 지음. 발해사 전공자인 송기호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가 발해 유적이 남아 있는 만주와 연해주를 돌아보고 쓴 답사기. 1993년에 나온 책의 개정판이다. 저자는 개정판 서문에서 "발굴이 많이 이뤄져 발해사 정보가 늘어났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당시에 방문할 수 있었던 유적이 이제는 철망으로 둘러싸인 곳도...
동북아재단 발해 팔련성 학술회의·흥천사 학술 심포지엄 2017-04-12 15:12:57
학자들도 발해사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며 "발해 동경 지역에 관한 국제적 관심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는 미술문화연구소와 함께 조선시대 왕실 사찰로 창건된 흥천사의 역사와 문화재를 재조명하는 학술 심포지엄을 15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다. 흥천사는 1397년 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