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멸종된 동물 '사일러신'…유전자 가위로 되살린다 2022-03-11 17:31:33
흔했지만 지금은 멸종했다. 11일 미국 라이스대, 베일러 의대 공동 연구팀 ‘에이든 랩’에 따르면 사일러신을 되살리기 위한 중요한 합성생물학 단서가 최근 발견됐다. 사일러신과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인 주머니개미핥기(numbat)를 연구하다 나온 성과다. 사일러신과 주머니개미핥기는 3500만~4100만 년 전 조상이 같다....
HLB테라퓨틱스, FDA에 안구건조증藥 허가신청 전 회의 자료 제출 2022-02-03 11:27:05
안구 표면질환 분야 전문가인 스티븐 플러그펠더 베일러의대 교수에게 사전 검토를 받았다는 설명이다. 플러그펠더 박사는 “약 1000명의 피험자군에 대한 통합 데이터에서 증상(Symptom)과 징후(Sign) 개선이 나타나고 안전성과 내약성도 입증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안구건조증 임상에서 증상과 징후에 대한...
림프절 T세포는 힘 못 쓴다? 암세포 죽이는 T세포 따로 있다 2021-09-15 16:34:04
연구에 참여한 미국 베일러의대의 컴퓨터 생물학자인 청차오(Chao Cheng) 박사는 "이들 T세포의 유전자 발현 프로필(profile)은 매우 독특해, 혈류를 타고 순환하는 T세포는 물론이고 피부 등에 상주하는 기억 T세포와도 확연히 달랐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다음 계획은, 이들 기억 T세포가 림프절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삼양바이오팜USA, 스페인국립연구위원회와 신약후보 기전 연구 2021-09-01 13:27:36
목표로 연구 중이다. 삼양바이오팜USA는 베일러의대의 이현성 박사와도 3년 간의 연구 협력을 체결하고, 면역관문억제제의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환자들과 sMIC 발현 간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 중이다.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의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환자들을 식별하기 위해 sMIC를 활용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고바이오랩, 신임 연구소장에 강윤경 박사 선임 2021-08-17 11:33:00
베일러 의대 전임 강사 및 플로리다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분자세포생물학 및 기능유전체학 등 생물학 전반을 섭렵했다는 설명이다. 유한양행 경영관리본부 이사, 차바이오그룹 차종합연구원 부원장 겸 글로벌 R&BD실장 등을 역임했다. 중장기 연구개발 전략 수립, 주요 후보물질 기술이전 등을 총괄했다. 강 신임 소장은...
[르포] "백신이 델타 이긴다"…美선 거의 사라진 마스크 쓰기 2021-07-22 06:55:00
사각지대로 꼽힌다. 피터 호테즈 베일러의대 국립열대의학대학원 원장은 “어린이 감염이 늘고 있는데, (9월) 새 학기가 시작되면 새로운 고비를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내 일각에선 실내 마스크 착용을 다시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리애나 웬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백신 접종자와 미(未)...
"美 델타변이 비중 20%…백신 미접종자 감염 급증" 2021-06-23 17:25:56
호테즈 베일러 의대 교수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델타 변이는 우리가 본 변이 중 가장 전염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는 의미다.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면 델타 변이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 화이자 백신의 델타 변이 예방률은 88%, 아스트라제네카는 60%로 추산된다. 하지만 델타...
브룩스 "미사일 제한 해제에 놀랐다", 힐 "매우 잘된 정상회담" 2021-05-26 11:01:06
답했다. 이밖에 백신 전문가인 피터 호테즈 베일러의대 교수는 한국 기업들의 백신 위탁 생산 협력 등을 가리켜 "한국이 세계를 위해 커다란 공헌을 하는 것"이라며 "한국은 훌륭한 (백신) 파트너가 될 역량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firstcirc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세균 킬러' 박테리오파지, 슈퍼버그 잡는 '게임 체인저' 부상 2021-02-10 17:59:10
이 연구를 수행한 미국 베일러 의대 과학자들은 9일(현지 시각) 미국 미생물 학회 저널 'mBio'에 관련 논문을 제출했다. 파지는 지구 생물권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개체로 알려졌다. 하나의 세균 개체에는 최소 10종의 파지가 감염해 있을 거로 추정된다. 다제내성균의 차단과 관련해 파지가 관심을 끄는 건,...
"北 김정은, 중국산 코로나19 백신 접종했다" 2020-12-01 08:08:49
업체의 백신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 베일러 의대의 피터 J. 호테즈 박사의 말을 인용해 중국에는 백신 개발기업 시노백과 캔시노바이오를 포함해 최소 3~4개의 서로 다른 백신이 존재한다고 전했다. 카지아니스 국장은 중국의 백신 개발이 기록적인 속도인 것은 분명하지만 3상 임상시험 자료가 공표되지 않아 백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