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와이바이오로직스, PD-1 항체 美 특허 등록…임상 속도 2021-12-24 10:55:19
대상은 YBL-006을 포함한 PD-1 항체 10종과 약학조성물, 핵산, 전달체(벡터), 형질 전환 세포주, 생산방법 등이다. YBL-006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 PD-1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회사는 지난 9월 유럽항암학회 'ESMO 2021'에서 YBL-006의 임상1상 용량확장시험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백신센터 완공…"연간 26억도스 생산" 2021-12-01 14:22:10
있다. 관계사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의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백신 여러 종류를 동시에 생산해도 교차오염 위험이 낮도록 설계됐다. 설비의 유연성으로 인해 생산성도 높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스푸트니크V 백신과 같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전달체) 계열 백신뿐 아니라 메신저 리보핵산(mRNA) 계열 백신 등으로...
“CMO·CDMO 성장동력 충분…삼바·마이크로디지탈 관심” 2021-11-30 08:47:33
기업 이벨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는 약 2827억달러로 전체 의약품 시장의 31% 수준이었다. 2026년에는 38% 비중인 5516억달러로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다. 바이오의약품 전체 제조 시장 대비 CMO 생산 비중은 2020년 18%에서 2025년 24%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임윤진 연구원은 “지속되는...
[탐방노트]펨토바이오 “새로운 CAR-NK 제조법 개발…내달 美 특허 출원” 2021-09-10 09:04:11
경우 벡터인 바이러스 자체의 독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올 들어 연이어 고배를 마시고 있는 유전자치료제도 벡터로 인한 부작용이 문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6일(현지시간) 바이오마린 파마슈티컬의 'BMN307' 임상 1·2상에 대해 중단 결정을 내렸다. 전임상 마우스 연구에서 최고 투여량 그룹 7마리...
순탄치 않은 유전자치료제 개발…美 바이오마린도 임상 중단 2021-09-07 09:02:08
사용하는 전달체(벡터)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6일(현지시간) 바이오마린 파마슈티컬의 'BMN307' 임상 1·2상에 대해 중단 결정을 내렸다. BMN307은 페닐키톤뇨증(PKU)에 대한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이다. 페닐키톤뇨증은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PAH)’의 결핍으로 인해...
[이우상의 글로벌워치]유전자가위 관심 '폭증'…'러브콜' 잇따라 2021-08-30 16:20:48
중형급 제약사인 버텍스 파마슈티컬즈는 유전자 편집기술을 보유한 벤처기업과 공격적인 공동개발 계약을 잇따라 체결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 4월 크리스퍼 테라퓨틱스와 9억달러 규모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크리스퍼 테라퓨틱스는 지난해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가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3분기 본격 생산"…삼바·SK바사, 백신 CMO 실적 기대감 2021-07-23 17:42:29
달부터는 mRNA 방식의 모더나와 바이러스 벡터방식의 스푸트니크V, 항원항체 방식의 노바백스 백신이 본격 위탁생산됩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올해 2월부터 안동공장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생산중이고, 노바백스 백신은 미국 FDA로부터 사용허가를 기다리는 상황에서 공급을 위한 준비를 다 마친 상태입니다. 특히...
식물 이용한 코로나 백신 '눈앞'…한국도 '그린 백신' 개발 속도 2021-07-13 15:29:39
‘파마 팩토리(Pharma Factory)’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2022년까지 계속되는 두 프로젝트에는 1500만유로(약 202억원)가 투입된다. 바이러스에 즉각 대응 가능식물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생산에는 크게 두 가지 생명공학기술이 적용된다. 하나는 식물의 게놈에 외부 유전자를 도입, 자손 세대에서도 목적 단백질을...
휴온스, 러 1회접종 백신 국내판권 확보…한국코러스도 위탁생산(종합) 2021-07-07 10:18:41
방식인 스푸트니크V처럼 아데노바이러스를 벡터(전달체)로 이용하며, 예방 효과는 79.4%, 면역력 유지 기간은 3∼4개월 정도로 알려졌다. 올해 2월 말부터 러시아, 아랍에미리트(UAE), 가나 등에서 약 7천명을 대상으로 임상 3상 시험을 하고 있다. 휴온스는 스푸트니크 라이트를 국내 허가받고자 추진할 계획이며, 빠른...
휴온스, 러 1회 접종 백신 '스푸트니크 라이트' 국내 판권 확보 2021-07-07 09:38:47
2회 접종 방식인 스푸트니크V처럼 아데노바이러스를 벡터(전달체)로 이용하며, 예방 효과는 79.4%, 면역력 유지 기간은 3∼4개월 정도로 알려졌다. 올해 2월 말부터 러시아, 아랍에미리트(UAE), 가나 등에서 약 7천명을 대상으로 임상 3상 시험을 하고 있다. 휴온스는 스푸트니크 라이트의 국내에서 허가받고자 추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