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Cover Story - part.5] “한 큐에 끝낸다” 다중기작으로 알츠하이머병 공략 나선 아리바이오 2021-06-17 09:47:01
또 다른 의미가 있다. 뇌혈관이 느슨해지는 건 혈관주위세포(pericyte)가 많이 망가졌기 때문인데, CREB 경로를 활성화하면 혈관주위세포가 상당 부분 복구된다. 정 대표는 “복구된 혈관주위세포는 뉴런의 사멸을 억제하고 새로운 뉴런을 생성시킨다”며 “뇌혈관장벽(BBB) 형성에 관여하는 별아교세포(astrocyte)와도...
[Cover Story - part.5] “뇌의 염증 유발하는 뉴런 주변 세포 공략한다” …임상 2상 진입에 성공한 디앤디파마텍 2021-06-17 09:34:02
제시된 신경염증 가설은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가 사이토카인을 분비해 별아교세포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별아교세포가 신경독성 물질을 분비해 이상단백질을 축적시킨다는 것이다. 즉 사이토카인에 의해 발생하는 뇌의 염증이 결국 신경세포 사멸로 이어져 퇴행성 뇌질환이 유발된다. 디앤디파마텍의 ‘NLY01’은 염증...
[K-바이오 프런티어] 멥스젠, 인간 장기 모사칩으로 동물실험 한계 뛰어넘는다 2021-04-27 09:20:02
플라스틱 모사칩 윗부분에는 혈관 내피세포를 2차원으로 배열한다. 아랫부분에서는 별아교세포 등 내부조직 세포를 3차원 공간에서 배양한다. 2차원 세포장벽이 3차원 공간 에서 배양된 세포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교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멥스젠 모사칩의 차별점이다. 실제 인체 내 환경에서처럼 세포들이 상호작용할...
과기정통부 뇌과학 원천기술개발사업 성과 가시화 2021-04-20 12:00:08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연구팀은 별아교세포에 의한 성체 뇌의 시냅스 재구성이 정상적 신경회로망 유지와 기억형성에 필수적인 기전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별아교세포는 뇌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세포로, 신경세포를 연결하는 기본 단위인 시냅스와 모세혈관과 접촉한다. 뇌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세포다. 정은지 연...
삼성이 지원한 카이스트 교수팀, '뇌 기억 유지 방식' 규명 2021-01-05 13:00:02
뇌에서 뉴런을 도와 뇌 항상성 유지 역할을 수행하는 세포로 '별아교세포', '미세아교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등으로 구성된다. 별아교세포는 시냅스와 모세혈관에 접촉해 혈관에서 시냅스로 대사 물질을 운반하거나, 이들의 기능을 조절한다. 뇌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미세아교세포는 죽은...
카이스트 정원석 교수, 새로운 '성인 뇌 기억' 방식 제시 2021-01-05 13:00:01
뇌 항상성 유지 역할을 수행하는 별아교세포, 미세아교세포, 희소돌기교세포 등으로 구성돼 있다. 현재까지는 이 세포 중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를 제거하는 주된 세포로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이번에 성장한 생체의 뇌에서도 미세아교세포보다 별아교세포가 더 활발하게 시냅스를 제거한다고 처음으로 밝혀냈다. 형광...
낮밤 바뀐 올빼미족, 뇌질환·신경장애 '위험' 2020-09-04 10:36:42
이 부위에 있는 별아교세포는 일주기 리듬을 복원하는 데 관여한다. 밤낮이 바뀐 지구 반대편에 가도 시차적응을 하는 것은 별아교세포 덕분이다. 동시에 별아교세포는 뇌척수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지기 역할을 한다. 별아교세포에서 발현되는 ‘아쿠아포린4’라는 수용체가 뇌척수액의 이동을 결정해 수면 중 글림프...
뇌에도 기생충이? 소교세포 '면역 경보'로 꼼짝 못 한다 2020-08-01 14:01:17
있다. 미세아교세포가 IL-1α를 분비하려면 스스로 죽어야 한다는 점도 이채롭다. 해리스 박사는 "톡소플라스마 같은 병원체로부터 뇌를 구하려면 미세아교세포가 먼저 죽어야 한다"라면서 "그러지 않으면 인터류킨이 미세아교세포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면역계에 위기 상황을 알릴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해리스 박사팀은,...
"후보선수 같았던 뇌 성상세포, 장기기억 형성에 핵심 기능" 2019-08-26 17:27:18
성상세포의 신경아교 전달물질 분비를 차단하면 인지 기능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전기 '감마 진동'이 꺼진다는 걸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번에 성상세포가 제 기능을 못 하면 생쥐의 장기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했다. 성상세포가 칼슘 이온 신호를 방출하는 데 필요한 IP3R2 수용체를 유전공학 기술로...
면역세포의 배신?…뇌종양 성장 돕는 면역세포 발견 2019-06-04 15:13:51
한 명꼴로 걸린다. 하지만 어린이에게 NF1이 발생하면 시신경 아교종(optic glioma)이라는 저 악성(low-grade) 뇌종양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증상은 없지만, 뇌와 눈을 연결하는 시신경을 손상해 약 20%의 환자에게 시력 이상과 실명을 유발한다. 게다가 NF1으로 생기는 종양은 치료가 아주 까다롭다고 한다.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