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혈압에 좋다" 중국서 소문나더니…'금값' 2배로 폭등 2025-01-28 15:16:35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소 담석이 중국에서 비만과 고혈압 등 치료에 사용되며 국제 금값의 두 배가 넘는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주요 소고기 생산지에서 '담석 사냥' 열풍이 불고 있다. 美에 위고비가 있다면…中에는 '소 담석'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이지 사이언스] "아픈 주사 대신 먹는 약"…경구용 비만·당뇨 치료제 개발 속도 2025-01-25 10:00:04
비만 환자들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변화를 관찰하는 임상을 완료하고 바이오마커(체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를 발굴하기 위한 후속 연구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다. 일동제약[249420]도 신약 연구개발(R&D) 전담 자회사인 유노비아를 통해 대사성 질환을 겨냥한 GLP-1 계열 신약후보 물질 'ID110521156'을...
메타, 투자 60% 늘린다는데…엔비디아 홀로 급락 [글로벌마켓 A/S] 2025-01-25 08:14:20
상향 기대가 있었다”며 주가 하락의 배경을 설명했다. 당뇨와 비만 치료제를 전문으로 하는 덴마크 기업 노보 노디스크(티커, NVO)는 이날 아미크레틴(Amycretin) 차기 비만 치료제 임상 1b/2a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는 소식에 8.5% 강세를 보였다. 회사측 발표에 따르면 9개월간 매주 20mg씩 투약한 환자 군에서...
[샷!] "44사이즈만 판다"…'마른 몸 강박' 정조준 2025-01-25 05:50:00
'물단식'을 하거나, 정상이거나 심지어 저체중인데도 비만치료제 '위고비'를 먹고, 음식을 씹고 뱉는 등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이 끊이지 않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섭식장애 진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 폭식증 환자는 4천115명으로 2018년(3천108명)에 비해 32% 증가했다. 이중 여성의 비중은...
운동 후 마셨는데…"알츠하이머 위험 높아진다" 경고 [건강!톡] 2025-01-24 13:07:06
"알코올은 비만을 유발하기도 한다"며 "비만은 수많은 암과 알츠하이머병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가는 관문"이라고 밝혔다. 스포츠음료에도 위해성이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세티 박사는 "일반적으로 스포츠음료는 설탕 함량이 매우 높으며, 혈당과 인슐린 수치가 급증해 인슐린 저항성에 영향을 미쳐 알츠하이머병의...
식약처, 올해 해외직구 단속·마약환자 사회복귀 지원 주력 2025-01-21 06:00:13
등 비만치료제의 이상 사례를 모니터링하고 온라인과 의료기관 등의 불법유통·판매, 허위·과대광도 등도 집중 점검한다. 아울러 대형 식중독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김치, 알 가공품 등 국민 다소비 식품에 대한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마약류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관리도 철저히 진행한다....
트럼프 집권 2기…어떤 산업이 뜰 것인가?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5-01-20 08:46:09
잡았고,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비만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당뇨병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비만은 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제2형 당뇨병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관리의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다. 제약사와 바이오테크 기업은 이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신약 개발과 다양한 치료제를 내놓고...
세계적 CDMO부터 ADC·비만치료제까지…위상 높인 K-바이오 2025-01-18 06:00:01
비만 환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제를 개발하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한미약품은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기반 '에페글레나타이드'와 삼중 작용제인 'HM15275'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이들 치료제의 각기 다른 특징에 기반해 심혈관계 위험이 높은 비만 환자는 에페글레나타이드를, 지방간 등에...
[JPMHC 2025] 한미약품 "HM17321와 GLP-1 비만약 병용해 근감소 부작용 해결" 2025-01-16 10:55:48
19억달러를 들여 인수했다. 비마그루맙과 GLP-1 비만약을 병용 투여해 근육량을 보존하면서도 체중 감량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최 센터장은 비마그루맙보다 HM17321이 투약 편의성 면에서 유리한 점이 분명히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가투약이 가능한 피하주사(SC) 제형인 비만약과 달리 정맥주사(IV)로 투약해야 하는...
한미약품 "환자 맞춤형 비만치료제 개발…디지털 치료와도 융합" 2025-01-16 09:00:02
최 센터장은 이들 비만치료제에 대해 "각 환자 특성에 맞는 약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심혈관계 위험이 높은 비만 환자는 에페글레나타이드를, 지방간 등에 문제가 있는 환자는 삼중 작용제를 활용하는 것이 대표적 예시"라고 설명했다. 근육량 감소, 오심·구토 등 기존 비만치료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