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정약용이 말년에 꺼내든 책은 기본 중 기본 '소학' 2020-11-12 17:53:17
두 책은 사서삼경의 좋은 구절만 선별한 책으로 사대부의 필독서였지만 지향점은 정반대였다. 《심경》이 유학의 가장 높은 경지에서 마음을 들여다보는 심오한 구절을 정리했다면 《소학》은 가장 낮은 곳에 뿌리를 내린 뒤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수양과 상대를 대할 때의 몸가짐을 강조한다. 저자는 “다산이 공부의...
[책마을] "뻔한 생각은 이제 그만"…세종의 창조적 리더십 2020-07-30 18:08:51
보는 방안을 규정한 《속육전》을 근거로 사서삼경을 통째로 외워야 하는 강경시험은 보지 말고, 논술을 보는 제술만 실시하라고 명했다. 세종은 각종 사안에 대해 신하들에게 열린 질문을 하고, 다양한 의견을 섞어 새로운 방안을 찾아냈다. 생각의 세계를 열어두면 창조성이 증가한다. ‘생각’ 위에서 ‘생각’할 수 있...
古미술품 1500여 점 한자리에 2020-07-22 17:59:42
말끔하고 단아하다. 책장·약장·찬장 등 용도가 다양했던 장, 옷가지를 넣었던 롱, 서책이나 엽전, 그릇 등을 보관했던 궤, 음식이나 차를 차렸던 소반, 책을 올려놓고 읽었던 서안 등 다양한 고가구도 선보인다. 특히 배나무와 가래나무로 만들어 사서삼경 80권을 보관했던 사층책장, 주칠장 등이 주목된다. 서화동...
[책마을] 조선 최고 천재 화가, 民草 얼굴서 행복을 발견하다 2019-12-05 17:22:19
과거시험을 통하지 않고 6품직을 받으면 사서삼경에 관한 시험을 봐야 했는데 여기서 낙방한 것. 영조의 배려로 재시험의 기회가 주어져 파직은 면했으나 모욕감과 수치심으로 인한 상처가 컸다. 생계를 위해 퇴근 후 그림을 그려 광통교에 내다 팔아야 했다. 신선도든 산수화든 주문을 거절하는 법이 없었다. 사례도 주는...
가깝고도 낯선, 작지만 강한 나라 베트남 2019-06-25 10:21:03
속하는 나라다. 수천 년간 한자를 사용했고, 사서삼경과 같은 유교 경전을 필수 교양으로 삼았으며, 과거제도를 통해 관리를 뽑았다. 조선 사신과 베트남 사신이 청나라에서 한자로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할 정도였다. 명절도 다른 동남아 국가와 달리 설, 청명, 단오, 추석 같은 동아시아 전통 명절을 따른다. 그 날짜 ...
[천자 칼럼] 한·중·일 고전(古典)의 빛과 그늘 2019-04-02 17:57:05
기본 경전인 사서삼경(四書三經)은 한자문화권의 인문학 교과서였다. 한·중·일 3국은 이 고전(古典)의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서로 다른 근세를 경험했다.우리나라에서는 9세기 《계원필경(桂苑筆耕)》과 고려시대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등을 고전으로 꼽는다. 일본에서는 8세기...
日 새 연호, 중국 아닌 일본 고전 첫 인용 의미는(종합) 2019-04-01 15:52:05
그간 일본의 연호는 사서삼경으로 대변되는 중국 고전에 나오는 좋은 글을 인용해 한자(漢字) 두 자로 만들어온 게 일반적인 관례였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출전이 명확히 확인되는 서기 10세기 이후 일본 연호의 출전을 보면 서경(書經)이 36차례로 가장 많고, 그다음이 역경(易經) 27차례, 시경(詩經) 15차례라고 한다....
日 새 연호, 중국 아닌 일본 고전 첫 인용 의미는 2019-04-01 14:46:00
그간 일본의 연호는 사서삼경으로 대변되는 중국 고전에 나오는 좋은 글을 인용해 한자(漢字) 두 자로 만들어온 게 일반적인 관례였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출전이 명확히 확인되는 서기 10세기 이후 일본 연호의 출전을 보면 서경(書經)이 36차례로 가장 많고, 그다음이 역경(易經) 27차례, 시경(詩經) 15차례라고 한다....
[신간] 흐름에 맞게 나를 지켜내는 인생의 공식 64 2019-03-29 09:45:09
'주역'은 사서삼경 가운데 하나인 유교 경전이지만 우리에게는 기복과 관련된 미신이나 반대로 우주의 이치를 궁구하는 어려운 철학 정도로만 받아들여 진다. 이 책은 주역이 세상의 이치를 이야기하는 까닭은 하늘 위가 아니라 땅에 발을 딛고 서 있는 우리에게 제대로 사는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서라는 취지로...
[인문학이야기] "상반되는 존재야말로 진정한 파트너" 2019-02-10 08:01:04
= 주역(周易)은 유교 경전인 사서삼경 중 하나다. 중국 고대 주(周)나라의 역(易)을 뜻한다. 역은 '변한다'는 뜻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에서 인간의 규범을 발견한 것을 말한다. 주역을 영어로 'The Book of Change'(변화의 책)로 번역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夏), 은(殷), 주(周) 때 각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