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압타바이오, MSD와 면역항암제 병용 임상시험 협력 2024-08-01 16:57:44
환자를 대상으로 압타바이오의 신규 표적 면역항암제 'APX-343A'와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병용요법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APX-343A는 CAF(암 관련 섬유아세포) 생성을 원칙적으로 억제하고 암 조직 내 면역세포 침윤 증가를 유도한다고 압타바이오는 설명했다. hanju@yna.co.kr (끝)...
'30조원' MASH 시장 경쟁 치열…레즈디프라 이을 다음 타자는 2024-06-11 08:32:45
받은 레즈디프라와 같은 표적인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THR)-β, 섬유아세포성장인자(FGF)21 등 삼파전으로 좁혀진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에 일라이릴리와 베링거인겔하임이 연달아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발표하면서 GLP-1이 MASH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높였다. FGF21은 GLP-1 못지않게 유망한 표적으로 여겨진다. FGF21 표...
아이리드비엠에스, 유럽간학회서 간섬유증 혁신신약 연구성과 발표 2024-06-10 14:11:14
섬유화증 치료제 ‘IL1512’에 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IL1512는 간과 폐 등의 장기 섬유증을 치료하는 경구용 약물로 개발중인 CXCR7(C-X-C chemokine receptor 7) 작용제(agonist) 기전의 혁신 신약(first in class) 후보물질이다. CXCR7은 케모카인 리간드(chemokine ligand) 중 CXCL11과 CXCL12에...
테고사이언스, 주름개선용 세포치료제 식약처 최종허가 획득 2024-05-22 10:36:50
21일 식약처로부터 주름개선용 자기유래 섬유아세포치료제 로스미르에 대한 최종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공시했다. 당초 로스미르는 2017년 식약처로부터 임상 3상을 진행하는 조건으로 하는 조건부허가를 받아 먼저 시장에 나왔다. 이에 따라 테고사이언스는 임상 3상을 수행해 지난해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통계적인 우월...
넥셀, 신약개발에 응용가능한 심장모델개발 2024-05-02 17:26:37
조직화를 통하여 심근세포, 섬유아세포, 내피세포 등을 차례로 분화시켜 다양한 인간의 심장세포 구성을 재현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넥셀 관계자는 “허혈성 재관류(Ischemic Reperfusion) 손상을 유도해 임상 환경에서 발생하는 급·만성 심장 질환(급성 심근경색증, 심장 섬유화)을 재현한 질병 모델을 성공적으로...
압타바이오,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 '청신호' 2024-04-29 18:58:32
암관련섬유아세포(CAF)를 억제하는 효능에 관한 것이다. CAF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항암 치료 표적이다. 아직 CAF를 표적하는 항암제가 상용화된 사례는 없다. 대부분 초기 연구 단계다. CAF는 암세포 주변에서 암세포의 성장과 침습, 전이를 돕는 역할을 한다. CAF가 형성되면 암세포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
'슬로우 에이징' 시대…요즘 MZ 사로잡은 피부 탄력 관리법은 2024-04-29 11:21:28
체내에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면서 섬유아세포를 자극해 콜라겐 재생을 촉진하는 원리다. 줄어드는 콜라겐을 다시 활성화한다는 점에서 HA 필러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외부 물질로 즉각적인 변화가 확인되는 기존 필러와 달리 쥬베룩 볼륨은 자체 콜라겐이 형성되는 만큼 시술 ...
신라젠 '펙사벡' 연구 결과 미국암연구학회 발표 2024-04-09 10:35:37
내피세포·섬유아세포와 공동 배양될 때 종양 유도 혈관 생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즉 펙사벡은 위암 인체 세포 3차원 공동 배양 모델에서 종양 유도 혈관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는 종양 세포 사멸뿐만 아니라 종양 유도 혈관 생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신라젠 관계자는 “이 연구는 위암...
신라젠, 인간모사칩에서 펙사벡 효능 확인 2024-04-09 10:18:35
및 섬유아세포와 공동 배양될 때 종양 유도 혈관 생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쉽게 말해, 펙사벡이 위암 인체 세포 3차원 공동 배양 모델에서 종양 유도 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했다는 뜻이다. 신라젠 관계자는 “종양 세포 사멸뿐만 아니라 종양 유도 혈관 생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디앤디파마텍, FAP 타깃 방사성의약품 물질·용도특허 美 등록 2024-04-02 09:32:22
중인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 (FAP) 타깃 방사성의약품에 대한 원천 물질특허 및 용도특허를 미국에 등록했다고 2일 밝혔다. FAP는 다양한 고형암에서 종양미세환경(TME)에 분포해 있는 암연관섬유아세포(CAF)가 과활성화돼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CAF가 과도하게 암세포 주변에 분포할 경우 암세포를 보호하고 면역반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