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셀인셀즈, 산업기술진흥 유공 대통령 표창 수상 2024-11-27 15:07:30
모사해 수학 계산식으로 확립한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시켜, 자기재생과 자기구조화를 하는 3차원으로 구성된 오가노이드를 만든다. 해당 기술은 지난 6월에 특허가 등록됐다. 해외 오가노이드 기술의 개량 및 보완이 아닌, 세계 최초로 셀인셀즈가 고안한 독창적인 기술이다. 셀인셀즈는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인 조 대...
[2024년 농식품 기술창업 액셀러레이터 육성지원 사업 CEO] 식의약 희소 원료 물질 대량 생산 플랫폼을 개발하는 ‘토포랩’ 2024-11-27 14:39:05
세포 농업 기반 식물조직배양 기술을 활용한 식의약 희소 원료 물질 대량 생산 플랫폼 개발 성과 : 기술보증기금 대상, 경기도지사 표창, 고양시 창업경진대회 3회 수상, 벤처기업 인증, 기업부설연구소,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2회, 고양형 TIPS 및 헴프산업화규제자유특구(경상북도) 보조금 지원 사업 수행 중 이진호 기자...
美 생물보안법, K-제약·바이오에 ‘기회’ 될까[비즈니스 포커스] 2024-11-25 10:08:00
생물체의 세포나 호르몬을 원료로 배양, 정제하는 섬세하고 까다로운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전자공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라이프사이언스솔루션즈(Global Life Sciences Solutions Singapore), 씨그마알드리치코리아(머크 관계사), 써모피셔사이언티픽솔루션스 등으로부터 원재료를 공급받고 있다....
지씨셀 CAR-NK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과제 선정 2024-11-22 15:08:05
세포치료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 지원과제로 선정됐다. 지씨셀은 자사 B세포 림프종 치료제 후보물질인 ‘GCC2004’(CD19 CAR-NK)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올해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비임상 단계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신약...
토포랩, 프리 A 투자 확정 2024-11-20 09:30:01
유치를 마무리했다고 20일 밝혔다. 토포랩은 세포 농업(Cellular Agriculture) 기반 식물조직배양 기술로 인류에게 꼭 필요한 식의약 희소 원료 물질을 대량 생산하는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기술보증기금의 제11기 벤처캠프 대상 수상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작년 6월 기금 단독으로 10억원의 시드 투자를 유치한...
SK바사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차세대 세계일류상품 인증 획득 2024-11-20 09:27:42
4가 세포배양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코트라(KOTRA) 주관 '세계일류상품' 인증에서 국내 독감백신 중 유일하게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은 산업부가 향후 7년 이내 글로벌 점유율 5위 이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은 품목을...
멥스젠, 207억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 2024-11-19 10:09:19
주요 장기 내 세포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모사한 미세생리시스템(MPS)과 다양한 종류의 나노약물 전달체를 고효율 및 고수율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멥스젠은 지난해 11월 세계 최초로 장기 조직 배양 자동화 장비 프로멥스(ProMEPS)를 출시하고 올해 4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으로부터...
힉스컴퍼니, KMF 2024 참가…"반도체·디스플레이 검사 분야 상용화" 2024-10-31 14:48:56
반사·투과 복합형 DHN장비를 이용해 불투명한 세라믹 멤브레인 위에서 배양되는 면역세포의 형상 변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 밖에도 고대역폭메모리(HBM) 패키징 공정 내 검사 수요를 받아 차세대 글라스 기판 기반 패키징 공정용 검사장비 개발을 Fraunhofer IKTS, Fraunhofer IPM과 준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반도체 패...
이기원 "푸드테크는 미래 노동력 부족 해결할 열쇠" 2024-10-29 17:25:32
“업사이클링, 친환경 포장재, 세포 배양육 기술을 통해 낭비되는 자원을 최소화하고 탄소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푸드테크가 농촌 혁신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혁신적인 유통 플랫폼을 잘 활용하면 소멸 위기를 겪는 농촌에서도 냉동김밥, 춘천 감자빵처럼 지역 명물이 탄생할 수...
지원 꽉 막힌 푸드테크…수년째 손놓은 국회 2024-10-24 17:47:25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세포배양식품 생산, 식품 업사이클링 등 10대 기술을 선정해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문제는 이런 지원책을 종합적으로 뒷받침할 근거법이 여전히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정부는 기존의 ‘식품산업진흥법’을 근거 삼아 푸드테크산업 정책을 운용하고 있지만 한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