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검색제왕' 지위 탐내는 오픈AI…이젠 가입 안해도 챗GPT서치 쓴다 2025-02-06 10:20:42
”며 “우리도 오픈소스 전략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수익 창출 목적에서 유료 회원 우선으로 자사 서비스를 공개해왔지만, 저비용 고성능을 앞세운 딥시크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외연을 최대한 넓히는 게 우선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구독제 강화하는 애플…'애플 인바이츠' 출시하고 애플케어 가격 인상 2025-02-05 09:43:22
구독료는 13.99달러로 사실상 인상됐다. 애플의 지난해 4분기 서비스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늘어난 263억4000만달러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돌았다. 전체 매출의 20%가 넘는 수치다. 덕분에 애플은 중국 시장 부진으로 인한 아이폰 판매 부진을 상쇄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팔란티어 주가 첫 100달러 돌파…1년 새 시총 6배 불어나 2025-02-05 04:48:08
팔란티어의 매출 구조가 AI 가격 하락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매수 의견을 냈다. 그동안 팔란티어에 대해 ‘비중 축소’ 의견을 유지해온 모건스탠리는 이날 팔란티어의 투자 등급을 ‘동일비중’으로 조정하고 목표 주가를 60달러에서 95달러로 높였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노동집약 웹툰 생태계, AI 비서가 혁신할 수 있죠" 2025-02-04 18:32:09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를 모두 활용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현지 대형 엔터테인먼트 및 테크 업체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는 “K웹툰에 대한 할리우드 영화산업의 관심이 지대하다”며 “올 한 해 본격적으로 준비해 미국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샘 올트먼의 반성…"오픈AI 잘못된 길 걸어와, 오픈소스로 전환 검토" 2025-02-02 18:16:58
마이크로소프트(MS), 스라이브캐피털 등 투자자들의 의지에 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일한 수익원인 챗GPT 구독료가 사라지면 적자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다. 오픈AI는 현재 소프트뱅크 등을 대상으로 400억달러(약 58조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나선 상태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중국 치켜세웠던 젠슨 황 '변심' 2025-02-02 17:25:55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딥시크 쇼크에 지난달 27일 하루 만에 시가총액이 6000억달러(약 860조원)가량 증발하자 태도를 180도 바꿨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는 엔비디아가 중국에 수출 중인 저사양 칩에 대해서도 금수 조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gentleman과 좋은 만남"…트럼프, 젠슨 황과 무슨 얘기 했나 2025-02-02 15:55:25
H800은 2022년 미국 정부가 고사양 AI 칩의 대중 수출을 제한한 뒤 중국 시장용으로 출시된 저사양 칩이다. 엔비디아는 2023년 H800도 수출이 제한되자 지난해 H20을 출시했는데,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수출 제한을 H20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이러다 中에 다 뺏긴다"…'딥시크 쇼크'에 돌변한 오픈AI [송영찬의 실밸포커스] 2025-02-02 14:57:02
지 한 달 만이다. o3 미니의 가격은 직전 경량형 추론 모델인 o1 미니와 비교해 63% 떨어졌다. 딥시크가 ‘가성비’를 앞세우자 이에 대항해 가격 경쟁력을 높인 것이다. 올트먼 CEO는 “o3 미니는 직전 모델 대비 응답 속도와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美 자존심 회복할 것"…실탄 확보 서두르는 실리콘밸리 2025-01-31 18:05:27
지배적이다. 실리콘밸리 AI업계 관계자는 “딥시크는 미국 빅테크의 자존심에 상처를 내면서 AI산업의 글로벌 경쟁을 더 치열하게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고성능 컴퓨팅 파워, 저전력 에너지 인프라 구축 등에 미국 정부와 빅테크가 더 많은 돈을 쏟아부을 것이란 얘기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AI 규제 탓에…中서 죽쑨 애플 2025-01-31 17:44:19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애플 인텔리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장에서는 아이폰16이 더 잘 팔렸다”며 “중국에서도 애플 인텔리전스를 도입하기 위해 중국 규제당국과 협력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도입 시점과 관련해선 “정해진 타임라인은 없다”고 밝혔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